조스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스마는 사자자리에 위치한 A4 V 분광형의 주계열성으로, 태양보다 크고 뜨겁다. 빠른 자전으로 인해 적도가 부풀어 회전타원체 형태를 띠며, 큰곰자리 운동성단에 속할 가능성이 있다. 고대 그리스어로 허리띠를 의미하는 '조스마'는 이 별의 전통적인 이름이며, 국제천문연맹(IAU)에 의해 공식 명칭으로 등재되었다. 동아시아 별자리에서는 태미원의 일원이며, 중국 별 이름은 태미원오(太微右垣五)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방패자리 델타형 변광성 - 베가
베가는 거문고자리에서 가장 밝고 밤하늘에서 다섯 번째로 밝은 푸른색 주계열성으로, 태양보다 질량과 밝기가 훨씬 크며, 빠르게 자전하는 특징과 별 주위의 먼지 원반, 그리고 동아시아의 직녀성으로 알려져 있다. - 방패자리 델타형 변광성 - 알타이르
알타이르는 독수리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이자 알파 아퀼라에로 표기되며, 아랍어에서 유래한 이름과 견우성이라는 동양 이름으로 불리고, 지구에서 16.8광년 떨어져 빠르게 자전하는 A형 주계열성으로 찌그러진 회전 타원체 모양을 하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미와 상징을 지니고 현대 사회에서도 활용된다. - 큰곰자리 운동성단 - 스카트
스카트는 물병자리 델타별의 고유 명칭으로, 다양한 표기로 불리다 2016년 국제천문연맹에 의해 공식 명칭으로 승인되었으며, 동아시아 별자리에서는 '우림군'에 속한다. - 큰곰자리 운동성단 -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란)은 태양과 유사한 K형 주계열성으로, 행성 b와 두 개의 소행성대, 먼지 원반을 거느리고 있어 외계 행성 탐색의 주요 대상이다. - 사자자리 - 사자자리 뮤
사자자리 뮤는 사자자리에 위치한 K형 적색 거성으로, 라살라스라는 고유 명칭을 가지며, 2014년에 외계 행성 사자자리 뮤 b가 발견되었다. - 사자자리 - K2-18b
K2-18b는 지구에서 124광년 떨어진 적색 왜성 K2-18을 공전하는 외계 행성으로, 대기 중 수증기, 메탄, 이산화탄소, 다이메틸 설파이드가 검출되었으며 생명체 존재 가능성이 연구되고 있다.
조스마 | |
---|---|
위치 정보 | |
![]() | |
명칭 | |
고유 명칭 | 조스마 |
기타 명칭 | 조즈마 조스카 두르 주브라 |
식별 정보 | |
바이어 명명법 | δ Leo |
플램스티드 명명법 | 68 Leo |
기타 식별 번호 | BD +21°2298 FK5 422 GC 15438 GCTP 2614.00 Gl 419 HD 97603 HIP 54872 HR 4357 SAO 81727 NSV 5143 |
관측 정보 | |
시대 | J2000 |
겉보기 등급 | 2.56 |
별자리 | 사자자리 |
특징 | |
분광형 | A4 V |
B-V 색 지수 | +0.12 |
U-B 색 지수 | +0.12 |
변광성 여부 | 의심스러움 |
변광성 유형 | 방패자리 델타형 변광성 |
측성학적 정보 | |
시선 속도 | -20.2 km/s |
고유 운동 (적경) | +143.42 mas/년 |
고유 운동 (적위) | -129.88 mas/년 |
연주 시차 | 55.82 mas |
절대 등급 | +1.29 |
물리적 특징 | |
질량 | 2.2 M☉ |
반지름 | 2.14 ± 0.040 R☉ |
광도 | 15.5 ± 1.8 L☉ |
표면 온도 | 8,296 K |
표면 중력 | 3.91 |
자전 속도 | 180 km/s |
나이 | 0.60–0.75 십억 년 |
2. 물리적 특성
조스마는 분광형 A4 V의 주계열성으로 태양보다 더 크고 뜨겁다. 이 별은 연구가 자세히 되었기 때문에 나이와 크기 측정 자료가 다른 별들에 비해 정확한 편이다. 간섭계로 직접 측정한 이 별의 반지름은 태양 반지름의 약 214%이며 광도는 태양의 15배 이상이다. 별의 외피층에서 발산되는 에너지의 유효온도는 8296 켈빈으로 이 온도에서 조스마는 A형 항성의 특징인 백색의 빛을 띤다. 태양보다 질량이 크기 때문에 조스마는 태양보다 짧은 생을 살며 앞으로 6억 년 후 오렌지색 또는 적색 거성으로 부풀어오른 뒤 백색왜성으로 조용히 축퇴될 것이다.
2. 1. 빠른 자전
조스마는 빠르게 회전하고 있으며 그 자전 속도의 예상치는 180km s−1이다. 지구로부터의 시선방향에 대해 조스마의 자전축 경사각은 38.1°로 이로부터 별 적도에서의 방위각 속도는 약 280km s−1임을 예측할 수 있다. 이렇게 회전함으로써 조스마의 적도는 부풀어올라 별의 외관을 회전타원체처럼 보이게 만든다. 별의 극 반지름은 적도 반지름의 84% 정도이다.2. 2. 큰곰자리 운동성단
조스마는 고유운동을 공유하는 큰곰자리 운동성단일 가능성이 있다. 이 성단의 구성원들은 약 5억 년의 나이를 갖는다.3. 명칭
'''사자자리 델타'''(δ Leonis)는 바이어 명명법에 따른 명칭이며, ''델타 레오니스''(δ Leonis)는 이 별을 라틴어화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조스마'(Zosma), '조즈마'(Zozma), '두르'(Duhr), '조즈카'(Zozca), '조스카'(Zosca) 등의 이름으로 불렸다. 아랍어로는 어깨와 사자 갈기를 모두 의미하는 ''알-주브라''(Al-Zubra, الزبرة)와 '등'을 의미하는 ''두르''(Dhur, ظهر)라고도 불렸다.
3. 1. 조스마 (Zosma)
'''조스마'''는 고대 그리스에서 '허리띠'를 뜻했는데 이는 별자리에서 조스마가 사자의 엉덩이 부분에 위치한 것과 관련이 있다. 2016년 국제천문연맹은 항성의 고유명칭을 목록화할 목적으로 항성명칭심의위원회(WGSN)를 발족,[9] 동년 7월 항성명칭을 고시하였는데 여기에 조스마(Zosma) 또한 포함되어 공식 명칭으로 등재되었다.[10]동아시아 별자리에서 조스마는 태미우원(太微右垣)의 일원이다. 태미우원은 조스마, 처녀자리 베타, 사자자리 시그마, 이오타, 세타로 이루어져 있다.[11] 이 중 조스마를 단독으로 부르는 명칭은 '''태미우원오'''(太微右垣五)로[12] 서상상[西上相, '서쪽의 첫 번째 재상(宰相)' 또는 '나라의 높은 재상']을 상징한다.[13] R. H. 앨런은 '서상상'을 ''Shang Seang''으로 표기했다.
3. 2. 동아시아의 명칭
동아시아 별자리에서 조스마는 태미우원(太微右垣)에 속해 있다. 태미우원은 조스마, 처녀자리 베타, 사자자리 시그마, 이오타, 세타로 구성되어 있다.[11] 조스마를 단독으로 부르는 명칭은 '''태미우원오'''(太微右垣五)인데,[12] 이는 서상상[西上相, '서쪽의 첫 번째 재상(宰相)' 또는 '나라의 높은 재상'']을 뜻한다.[13] R. H. 앨런은 '서상상'을 ''Shang Seang''으로 표기했다.3. 2. 1. 기타 명칭
'''사자자리 델타'''는 바이어 명명법에 따른 명칭이다. 전통적으로 불려오던 애칭 '''조스마'''는 고대 그리스에서 '허리띠'를 뜻했는데 이는 별자리에서 조스마가 사자의 엉덩이 부분에 위치한 것과 관련이 있다. 2016년 국제천문연맹은 항성의 고유명칭을 목록화할 목적으로 항성명칭심의위원회(WGSN)를 발족,[9] 동년 7월 항성명칭을 고시하였는데 여기에 조스마(Zosma) 또한 포함되어 공식 명칭으로 등재되었다.[10]동아시아 별자리에서 조스마는 태미우원(太微右垣)의 일원이다. 태미우원은 조스마, 처녀자리 베타, 사자자리 시그마, 이오타, 세타로 이루어져 있다.[11] 이 중 조스마를 단독으로 부르는 명칭은 '''태미우원오'''(太微右垣五)로[12] 서상상[西上相, '서쪽의 첫 번째 재상(宰相)' 또는 '나라의 높은 재상'']을 상징한다.[13] R. H. 앨런은 '서상상'을 ''Shang Seang''으로 표기했다.
''델타 레오니스''(δ Leonis)는 별의 라틴어화된 명칭이다.
조스마(Zosma) 또는 조즈마(Zozma)와 두르(Duhr)였으며, 드물게는 조즈카(Zozca), 조스카(Zosca), 어깨와 사자 갈기를 모두 의미하는 아랍어인 알-주브라(Al-Zubra) الزبرة, 그리고 아랍어로 '등'을 의미하는 두르(Dhur) ظهر도 사용되었다.
참조
[1]
간행물
The pronunciations, derivations, and meanings of a selected list of star names
http://adsbit.harvar[...]
1944
[2]
웹사이트
IAU Catalog of Star Names
http://www.pas.roche[...]
2016-07-28
[3]
웹사이트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https://www.iau.org/[...]
2016-05-22
[4]
웹사이트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1
http://www.pas.roche[...]
2016-07-28
[5]
서적
中國星座神話
台灣書房出版有限公司
2005
[6]
웹사이트
香港太空館 - 研究資源 - 亮星中英對照表
http://www.lcsd.gov.[...]
Hong Kong Space Museum
2010-11-23
[7]
웹사이트
English-Chinese Glossary of Chinese Star Regions, Asterisms and Star Name
http://www.lcsd.gov.[...]
Hong Kong Space Museum
2010-11-23
[8]
웹인용
IAU Catalog of Star Names
http://www.pas.roche[...]
2016-07-28
[9]
웹인용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https://www.iau.org/[...]
2016-05-22
[10]
웹인용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1
http://www.pas.roche[...]
2016-07-28
[11]
서적
中國星座神話
台灣書房出版有限公司
2005
[12]
웹사이트
香港太空館 - 研究資源 - 亮星中英對照表
http://www.lcsd.gov.[...]
Hong Kong Space Museum
2010-11-23
[13]
웹사이트
English-Chinese Glossary of Chinese Star Regions, Asterisms and Star Name
http://www.lcsd.gov.[...]
Hong Kong Space Museum
2010-1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