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운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조운흘(趙云仡, 1332년 ~ 1404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입니다.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호는 석간(石磵) 또는 서하옹(棲霞翁)입니다.
생애 및 활동:


  • 1357년(공민왕 6년) 문과에 급제하여 안동서기(安東書記)가 되었습니다.
  • 합문사인(閤門舍人)을 거쳐 1361년 형부원외랑(刑部員外郞)이 되었고, 홍건적의 침입 때 왕을 호종하여 2등공신이 되었습니다.
  • 국자감직강, 전라·서해·양광의 삼도안렴사(三道按廉使) 등을 역임했습니다.
  • 고려 말 혼란한 시기에 서해 방백으로 물러나 아미타불을 외며 맹인을 자처하다 벼슬을 버리고 낙향했습니다.
  • 조선 건국 후 강릉부사(江陵府使)로 재직하다 사망했습니다.

일화:

  • 좌의정 김사형이 벼슬을 권했으나 베적삼에 삿갓을 쓰고 나와 읍만 하고 돌아갔다는 일화가 있습니다.
  • 소를 타고 다니며 행려를 구제했고, '누런 소를 타고 청산 옆에 있으니, 추하고 추한 그 풍신은 베 한 필의 가치도 못된다'라는 시를 읊었다고 합니다.
  • 서해도 관찰사 시절 친구가 자신의 이름을 부르자, 자신은 부처가 되려고 염불을 하니 친구도 자신처럼 되려고 하는 것이냐며 크게 웃었다는 일화가 있습니다.
  • 난이 평정된 후에는 눈을 문지르며 병이 나았다고 했다고 합니다.
  • 강릉부사 시절, 강원도 안렴사 박신과 강릉 기녀 홍장의 사랑 이야기에 등장하기도 합니다.

저서:

  • 《삼한시귀감》(三韓詩龜鑑): 고려시대 최해의 『동인지문오칠』에서 좋은 시를 골라 편찬한 시선집입니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시선집 중 하나이며, 이후 시선집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 《석간집》(石磵集): 현재 전해지지 않습니다.

가족 관계:

  • 고조부: 조진규(趙振圭)
  • 증조부: 조정(趙晶)
  • 조부: 조숙령(趙叔鴒)
  • 아버지: 조건(趙虔)
  • 부인: 상주 김씨(尙州金氏) 김득배(金得培)의 딸
  • 아우: 조운개(趙云价), 조운식(趙云式)
  • 누이: 윤을보(尹乙寶)의 부인


조운흘은 고려 말과 조선 초의 격변기에 살면서, 벼슬에 연연하지 않고 은거하며 자신의 삶을 산 인물로 평가받습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