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아 내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지아 내전은 1991년부터 1993년까지 조지아에서 발생한 일련의 무력 충돌을 의미한다. 1991년 조지아의 독립 선언 이후, 소수 민족 분리주의 운동과 즈비아드 감사쿠르디아 대통령에 대한 반대 시위가 격화되면서 내전이 시작되었다. 감사쿠르디아는 쿠데타로 축출되었으나, 그의 지지 세력인 "즈뱌디스트"들의 저항이 이어졌다. 남오세티야와 압하지야에서도 분리주의 운동이 발생하며 조지아는 심각한 영토 분쟁에 휩싸였고, 러시아의 개입으로 내전은 종식되었지만, 정치적 불안정, 경제적 어려움, 그리고 압하지야와 남오세티야의 분리주의 강화라는 심각한 후유증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3년 조지아 - 1992년 압하지야 전쟁
1992년 압하지야 전쟁은 압하지야 독립 요구와 조지아 정부의 질서 회복 시도가 충돌하여 발발, 러시아 개입과 인권 유린 속에 압하지야의 사실상 독립과 미해결 분쟁으로 이어진 전쟁이다.
조지아 내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지도 및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분쟁 명칭 | 조지아 내전 |
일부 | 소련 해체 탈소련 분쟁 압하지야-조지아 분쟁 조지아-오세티야 분쟁 |
기간 | 1991년 – 1993년 12월 31일 |
장소 | 조지아(트빌리시, 루스타비, 밍그렐리아, 이메레티, 구리아) 압하지야 남오세티야 |
결과 | 감사후르디아 정부 축출 압하지야 및 남오세티야 분리주의자, 대부분의 주장 지역 통제권 획득 국가평의회, 조지아 전역 통제권 장악 조지아, 독립국가연합 가입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조지아 정부 (1992년 1월 6일까지) 조지아 국가방위군 즈비아드 감사후르디아 망명 정부 (1992년 1월 6일부터) 즈비아디스트 |
교전국 2 | 군사평의회 (1992년 3월까지) 국가평의회 (1992년 10월까지)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 정부 조지아군 조지아 내무군 조지아 국가방위군 |
지원 세력 | (1993년 10월부터) |
교전국 3 | 남오세티야 분리주의자 (1991-1992) 압하지야 분리주의자 (1992년부터) 캅카스 산악 민족 연맹 (1992년부터) |
지휘관 | |
교전국 1 지휘관 | 즈비아드 감사후르디아 로티 코발리아 주라브 이레마제 아카키 엘리아바 |
교전국 2 지휘관 |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 텡기즈 시구아 자바 이오셀리아니 텡기즈 키토바니 쇼타 크비라이아 기오르기 카르카라슈빌리 보리스 옐친 에두아르트 발틴 |
교전국 3 지휘관 | 류드비크 치비로프 블라디슬라프 아르진바 무사 샤니보프 샤밀 바사예프 |
병력 규모 | |
사상자 규모 |
2. 배경
2. 1. 조지아 독립과 민족 갈등
1988년부터 조지아에서는 반정부 운동이 대규모 시위로 이어졌고, 1990년 5월 주권이 선포되었으며, 1991년 4월 9일에 독립을 선언하였다. 같은 해 12월에는 독립이 승인되었다.[11] 즈비아드 감사쿠르디아가 5월에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소수 민족 분리주의 운동은 주로 오세티야와 압하스 민족의 분리 운동이며, 1990년대 초반 새로운 질서에 관한 마무리 승인을 요구했다.[10] 조지아는 강제적으로 민족 분리주의를 단념시키려고 군대를 동원해 대응했다. 1991년 1월 5일 조지아의 국가 요인 경호대는 남오세티야의 수도 츠힌발리로 진입해서 도시를 포위했다. 조지아-오세티야 충돌은 감사쿠르디아 정부가 직면한 첫 번째 중대한 위기였다.[10]
USSR 해체 시기 미국 정부는 국경에 관한 1993년 몰로토프-리벤트로프 협정을 합법적으로 승인했다. 이로 말미암아 조지 H. W. 부시 행정부는 발틱 SSRs의 분리를 공식적으로 지지했지만, 조지아를 포함한 트란스캅카스 지역들의 영토 분쟁과 독립 문제는 다르게 보았다.[11]
2. 2. 시민 동요와 정치적 혼란
즈뱌드 감사쿠르디아 정부에 대한 반대 운동은 중대한 정치적 논쟁을 야기했고, 이는 1991년 말 폭동으로 이어졌다. 9월 2일 트빌리시에서 일어난 대규모 반대 시위에 경찰이 배치되어 많은 저항자가 체포되고 본부가 급습당했으며, 친반대파 신문사는 폐쇄되었다.[1] 이 과정에서 조지아의 주요 준군사 조직인 국가방위군은 친감사쿠르디아와 반감사쿠르디아 두 파로 쪼개졌다.[1] 므케드리오니와 자바 로세리아니는 반대파를 이끌었다.[1]이후 석 달 동안 시위와 바리케이드 설치가 이어졌다. 9월 22일 트빌리시에서 첫 번째 사고가 발생했고, 9월 24일에는 트빌리시에 비상사태 경보가 발령되었다. 10월 4일에는 반-감사쿠리디아 단체들이 감사쿠르디아 옹호자들을 공격하여 대통령 지지자 1명이 살해당했다. 1991년 10월 말경, 기오르기 찬투리아의 지시에 의한 국가 민주당(NDP) 반대파 지도층 대부분이 체포됐다. 이전 국가 안보부 지도자 텡기즈 키토바니의 무장 지원군들이 트빌리시 교외로 철수하여 1991년 12월 말까지 주둔했으며, 세력 다툼은 감사쿠르디아 대통령이 위기의 평화적인 극복을 위한 기회를 남겨두지 않았다는 반대파들의 주장에 의해 격해졌다.
3. 1991-1992년 쿠데타
1991년 12월 20일, 텡기즈 키토바니가 이끄는 국가방위군과 므크헤드리오니를 포함한 무장 반대 세력은 즈비아드 감사쿠르디아 대통령에 대항하여 마지막 공격을 시작했다. 반군은 자바 이오셀리아니를 석방하고 트빌리시 중심부에 바리케이드를 설치했다. 12월 22일, 반군은 여러 관공서를 장악하고 감사쿠르디아와 그의 지지자들이 방어하고 있던 의회 건물을 공격했다. 동시에 이미 도시 대부분을 장악한 반군은 트빌리시 시내 및 주변에서 감사쿠르디아 지지 시위를 잔혹하게 진압하며 군중들에게 발포하여 여러 명이 사망하고 부상을 입었다.
도시의 주 도로인 루스타벨리 거리가 파괴되고 최소 113명이 사망하는 등 격렬한 시가전이 벌어졌다. 1992년 1월 6일, 감사쿠르디아 대통령과 정부 각료들은 아르메니아를 거쳐 체첸으로 피신했고, 이후 18개월 동안 망명 정부를 이끌었다.
4. 즈뱌디스트 저항과 내전의 확산
쿠데타 성공 이후 조지아에는 임시 정부와 국방 위원회가 구성되었다. 자바 로세리아니, 텡기즈 시구아, 텡기즈 키토바니의 3인 정치 체제가 시작되었지만, 1992년 3월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가 트빌리시로 돌아와 국가 원수 자리를 차지했다. 1992년 선거에서 셰바르드나제는 국회 의장 겸 국가 원수로 선출되었다.
즈뱌드 감사쿠르디아가 축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조지아 내부, 특히 농촌 지역과 그의 고향인 서부 조지아 사메그렐로 지방에는 그의 지지 세력들이 남아 있었다. 축출된 대통령의 지지자들인 "즈뱌디스트"들은 자발적인 거리 시위와 무장 투쟁을 통해 새 정부에 저항했다. 친·반 감사쿠르디아 세력 간의 충돌은 1992년과 1993년 내내 계속되었으며, 즈뱌디스트들은 정부 관리를 포로로 잡고 정부군은 보복 공격을 가했다. 1992년 6월 24일 트빌리시에서는 무장한 감사쿠르디아 지지자들이 국영 TV 방송국을 점거하는 사건이 발생했지만, 국가 경비대에 의해 해산되었다.
무장한 즈뱌디스트들은 셰바르드나제 정부가 감사쿠르디아의 출생지인 사메그렐로 지역을 장악하는 것을 막았다. 이 지역은 축출된 대통령 지지자들의 피난처가 되었으며, 므크헤드리오니와 정부군에 의해 자행된 잔혹 행위는 지역 주민과 셰바르드나제 정권 간의 갈등을 심화시켰다.
4. 1. 즈뱌디스트의 저항
쿠데타 성공 이후 조지아에는 임시 정부와 국방 위원회가 구성되었다. 자바 로세리아니, 텡기즈 시구아, 텡기즈 키토바니의 3인 정치 체제가 시작되었지만, 1992년 3월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가 트빌리시로 돌아와 국가 원수 자리를 차지했다. 1992년 선거에서 셰바르드나제는 국회 의장 겸 국가 원수로 선출되었다.즈뱌드 감사쿠르디아가 축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조지아 내부, 특히 농촌 지역과 그의 고향인 서부 조지아 사메그렐로 지방에는 그의 지지 세력들이 남아 있었다. 축출된 대통령의 지지자들인 "즈뱌디스트"들은 자발적인 거리 시위와 무장 투쟁을 통해 새 정부에 저항했다. 친·반 감사쿠르디아 세력 간의 충돌은 1992년과 1993년 내내 계속되었으며, 즈뱌디스트들은 정부 관리를 포로로 잡고 정부군은 보복 공격을 가했다. 1992년 6월 24일 트빌리시에서는 무장한 감사쿠르디아 지지자들이 국영 TV 방송국을 점거하는 사건이 발생했지만, 국가 경비대에 의해 해산되었다.
무장한 즈뱌디스트들은 셰바르드나제 정부가 감사쿠르디아의 출생지인 사메그렐로 지역을 장악하는 것을 막았다. 이 지역은 축출된 대통령 지지자들의 피난처가 되었으며, 므크헤드리오니와 정부군에 의해 자행된 잔혹 행위는 지역 주민과 셰바르드나제 정권 간의 갈등을 심화시켰다.
4. 2. 내전의 확산: 아자리야 자치 공화국
5. 남오세티야와 압하지야 전쟁
소수 민족 분리주의 운동은 기본적으로 오세티야와 압하스 민족 분리 운동이며, 1990년대 초반 새로운 질서에 관한 마무리 승인을 요구했다. 민족적으로 새롭게 국가적 특권을 얻으려는 주장은, 조지아가 강제적으로 민족 분리주의를 단념시키려고 군대를 동원해 대응하게 했다.
=== 남오세티야 전쟁 (1991-1992) ===
1991년 1월 5일, 조지아의 국가 요인 경호대가 남오세티야의 수도 츠힌발리로 진입해 도시를 포위하면서 조지아-오세티야 충돌은 감사쿠르디아 정부가 직면한 첫 번째 중대한 위기가 되었다.
USSR 해체 시기 미국 정부는 1933년 몰로토프-리벤트로프 협정을 합법적으로 승인했다.[10] 이로 말미암아 조지 H. W. 부시 행정부는 발틱 SSRs의 분리를 공식적으로 지지했지만, 조지아를 포함한 나머지 지역들의 영토 분쟁과 독립을 서로 연관지어 생각하지는 않았다.[11]
1992년 2월, 남오세티아에서 산발적으로 러시아가 개입하면서 전쟁의 강도가 단계적으로 커졌다.[12] 내부 불안정과 정치적 혼란을 겪던 셰바르드나제는 러시아와의 전쟁을 피하기 위해 정전 협정에 동의했다. 1992년 7월 14일, 공동 조정 위원회와 러시아-조지아-오세티야 공동 군사 정찰대로 구성된 평화 유지 작전이 개시되었다.[12]
=== 압하지야 전쟁 (1992-1993) ===
1992년 여름, 압하지야의 긴장은 조지아-압하지야 분쟁으로 확대되었다. 8월 14일, 조지아군은 분리주의 민병대를 무장 해제하기 위해 압하지야에 진입했다.[2] 1993년 9월 말, 러시아의 지원을 받는 압하지야 분리주의자들은 반격하여 9월 27일 수후미를 점령했다.[12] 조지아 군의 패배는 압하지야의 조지아인 다수에 대한 인종 청소로 이어졌다.[2] 이 전쟁으로 양측에서 약 2만 명이 사망하고 약 26만 명의 난민과 실향민이 발생했다.[12][2]
5. 1. 남오세티야 전쟁 (1991-1992)
1991년 1월 5일, 조지아의 국가 요인 경호대가 남오세티야의 수도 츠힌발리로 진입해 도시를 포위하면서 조지아-오세티야 충돌은 감사쿠르디아 정부가 직면한 첫 번째 중대한 위기가 되었다.USSR 해체 시기 미국 정부는 1933년 몰로토프-리벤트로프 협정을 합법적으로 승인했다.[10] 이로 말미암아 조지 H. W. 부시 행정부는 발틱 SSRs의 분리를 공식적으로 지지했지만, 조지아를 포함한 나머지 지역들의 영토 분쟁과 독립을 서로 연관지어 생각하지는 않았다.[11]
1992년 2월, 남오세티아에서 산발적으로 러시아가 개입하면서 전쟁의 강도가 단계적으로 커졌다.[12] 내부 불안정과 정치적 혼란을 겪던 셰바르드나제는 러시아와의 전쟁을 피하기 위해 정전 협정에 동의했다. 1992년 7월 14일, 공동 조정 위원회와 러시아-조지아-오세티야 공동 군사 정찰대로 구성된 평화 유지 작전이 개시되었다.[12]
5. 2. 압하지야 전쟁 (1992-1993)
1992년 여름, 압하지야의 긴장은 조지아-압하지야 분쟁으로 확대되었다. 8월 14일, 조지아군은 분리주의 민병대를 무장 해제하기 위해 압하지야에 진입했다.[2] 1993년 9월 말, 러시아의 지원을 받는 압하지야 분리주의자들은 반격하여 9월 27일 수후미를 점령했다.[12] 조지아 군의 패배는 압하지야의 조지아인 다수에 대한 인종 청소로 이어졌다.[2] 이 전쟁으로 양측에서 약 2만 명이 사망하고 약 26만 명의 난민과 실향민이 발생했다.[12][2]6. 1993년 내전
1993년 축출되었던 즈뱌드 감사쿠르디아는 서부 조지아로 돌아와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 정부에 대항하는 반란을 일으켰다. 그는 압하지야 전쟁의 혼란을 틈타 죽디디에서 세력을 결집했고, 압하지야에서 철수한 조지아군 일부를 무장 해제시켜 사메그렐로 지역의 중요한 곳곳에 통제 본부를 세웠다. 전직 대통령의 발전으로, 그는 러시아 군대의 원조를 요청할 수 있게 됐고, 셰바르드나제는 독립 국가 연합(CIS)에 가입하게 되었다. 10월 중순에, 러시아 무기의 증가, 안전 보급로, 기술 지원은 감사쿠르디아에 대항하는 흐름을 돌렸다. 10월 20일에는, 대략 2천명의 러시아 부대가 조지아의 철도를 지키기 위해 이동했다.
1993년 10월 22일, 정부의 군대는 로티 코발디야 대령이 지휘하고 샤메그렐로 주에 주둔한 러시아 군대의 원조를 받고 있는 친감사쿠르디아에 대항하여 전시 태세에 돌입했다. 전직 대통령의 군대는 10월 27일에 역습했다. 막중한 전투는 코비와 세나키 마을 주변으로 집중되었다. 11월 2일,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와 흑해 함대 해군 장군 E. 발틴 총사령관의 동의에 이어, 러시아 해군 부대는 정부를 합병하여 주요 항구 곳곳을 통제하고 마을의 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포티에 상륙했다. 1993년 11월 4일, 정부의 군대는 즈뱌디스트 민병대의 방어선을 톨파하고 11월 6일에는 불필요한 전투없이 죽디디로 진입했다. 즈뱌드 감사쿠르디아와 그의 경호원들은 정부군에 쫓겨 숲속으로 도망쳤다. 그는 12월 말경에 죽었는데 논쟁의 여지가 있다. 후일에 보고된 바에 의하면 감사쿠르디아는 12월 31일에 (서부 조지아의 사메그렐로 지역의) 지카슈카리 마을에서 자신에게 총을 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고 한다. 반란은 짓밟혔고 그 지역은 친정부 준군사조직에 의해서 황폐화가 되었다. 여러 즈뱌디스트 간부들은 이듬 해에 체포되었다.
6. 1. 감사쿠르디아의 귀환과 반란
1993년 9월, 즈뱌드 감사쿠르디아는 압하지야 전쟁의 혼란을 틈타 서부 조지아의 죽디디로 돌아와 셰바르드나제 정부에 대항하는 세력을 결집했다. 그는 압하지야에서 철수한 조지아군 일부를 무장 해제시키고 사메그렐로 지역 대부분을 장악했다. 이에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는 독립 국가 연합(CIS)에 가입하고 러시아에 군사 지원을 요청했다.10월 중순, 러시아의 무기 지원, 보급로 확보, 기술 지원으로 전세는 감사쿠르디아에게 불리하게 돌아갔다. 10월 20일, 약 2,000명의 러시아군이 조지아 철도를 보호하기 위해 이동했다. 10월 22일, 정부군은 러시아군의 지원을 받아 감사쿠르디아파 반군에 대한 공세를 시작하여 사메그렐로 지역 대부분을 점령했다. 11월 2일, 셰바르드나제와 러시아 흑해 함대 사령관 에두아르트 발틴 제독 간의 합의에 따라,[3] 러시아 해병대가 포티에 상륙하여 주요 교통 인프라를 확보했다.[4][5] 11월 4일, 정부군은 즈뱌디스트 민병대의 방어선을 돌파하고 11월 6일 죽디디에 진입했다.[7]
즈뱌드 감사쿠르디아와 그의 경호원들은 숲으로 도망쳤으나, 12월 말 사망했다. 이후 감사쿠르디아가 12월 31일 지카슈카리에서 자살했다는 보도가 나왔지만, 논란의 여지가 있다. 반란은 진압되었고, 친정부 민병대가 그 지역을 점령했다. 이후 몇 년 동안 여러 즈뱌디스트 지도자들이 체포되었다.
6. 2. 러시아의 개입과 내전 종식
1993년 10월 즈뱌드 감사쿠르디아는 압하지야 분쟁을 틈타 서부 조지아의 죽디디로 돌아와 혼란에 빠진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 정부에 대항하는 사메그렐로 지역의 조지아인들을 통합하려 했다. 그는 러시아 군대의 원조를 요청할 수 있게 되었고, 셰바르드나제는 독립 국가 연합(CIS)에 가입하게 되었다. 10월 중순, 러시아 무기의 증가, 안전 보급로, 기술 지원은 감사쿠르디아에 대항하는 흐름을 바꾸었다. 10월 20일에는, 대략 2천명의 러시아 부대가 조지아의 철도를 지키기 위해 이동했다.1993년 10월 22일, 정부군은 로티 코발디야 대령이 지휘하고 샤메그렐로 주에 주둔한 러시아 군대의 원조를 받고 있는 친감사쿠르디아에 대항하여 전시 태세에 돌입했다. 전직 대통령의 군대는 10월 27일에 역습했다. 막중한 전투는 코비와 세나키 마을 주변으로 집중되었다. 11월 2일,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와 흑해 함대 해군 장군 E. 발틴 총사령관의 동의에 이어, 러시아 해군 부대는 정부를 합병하여 주요 항구 곳곳을 통제하고 마을의 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포티에 상륙했다. 11월 4일, 정부군은 즈뱌디스트 민병대의 방어선을 톨파하고 11월 6일에는 불필요한 전투없이 죽디디로 진입했다. 즈뱌드 감사쿠르디야와 그의 경호원들은 정부군에 쫓겨 숲속으로 도망쳤다. 그는 12월 말경에 죽었는데 논쟁의 여지가 있다. 후일에 보고된 바에 의하면 감사쿠르디아는 12월 31일에 (서부 조지아의 사메그렐로 지역의) 지카슈카리 마을에서 자신에게 총을 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고 한다. 반란은 짓밟혔고 그 지역은 친정부 준군사조직에 의해서 황폐화가 되었다. 여러 즈뱌디스트 간부들은 이듬 해에 체포되었다.
7. 내전의 여파와 후유증
3년간의 내전은 십 년간의 정치적 불안정, 지속적인 재정, 경제, 사회적 위기를 초래했다. 상황은 1995년에 안정되기 시작했지만, 극단적인 "즈뱌디스트"들은 테러와 사보타주를 조직했다. 그들은 1998년 2월 9일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 대통령 암살 시도 혐의를 받았다. 며칠 후, 이전 대통령의 지지자들은 서부 조지아의 죽디디에 있는 조지아 유엔 감시단 숙소에서 UN 감찰관 4명을 납치했다. 인질범 중 몇 명은 자수했지만, 즈뱌디스트 팀의 지도자 고차 에세부아는 탈출했고 3월 31일에 경찰의 총에 맞아 죽었다.
1998년 10월 18일, 조지아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 쿠타이시 근교에서, 이전 즈뱌디스트 간부 아카키 엘리아바 대령이 이끄는 반란 시도가 있었다. 반란이 붕괴된 후, 엘리아바와 그의 수하들은 사메그렐로 숲속으로 숨어들었다. 그가 2000년에 안보부 장교에게 저격당할 때까지, 엘리아바는 정부에게 오래 지속되는 문제들을 안겨줬다.
2004년 1월 26일, 새로 선출된 대통령 미헤일 사카시빌리는 공식적으로 감사쿠르디아의 명예 회복을 하려 했다. 그 이유는 그가 "우리 사회의 분리의 끝을 보자."라고 했던 것은 사카시빌리가 보고자 했던 것이며, 감사쿠르디아의 노력이 전복되어 오래 지속되는 정치적으로 불온한 영향들을 해결하려 했기 때문이었다. 사카시빌리는 1993~1994년에 셰바르드나제의 정부에 의해 체포되어 계속 교도소에 수감되어 있던 32명의 감사쿠르디아 지지자들을 석방해 주기도 했다.
조지아와 압하지야, 남오세티야 분리주의자들 간의 관계는 긴장된 상태를 유지했고, 2008년 남오세티야 전쟁으로 이어졌다. 내전은 남오세티야와 압하지야의 분리주의 정서를 더욱 강화시켰고, 이는 2008년 전쟁은 러시아와 조지아 간의 관계를 악화시켰고, 조지아의 영토 통합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7. 1. 정치적 불안정과 테러
3년간의 내전은 십 년간의 정치적 불안정, 지속적인 재정, 경제, 사회적 위기를 초래했다. 상황은 1995년에 안정되기 시작했지만, 극단적인 "즈뱌디스트"들은 테러와 사보타주를 조직했다. 그들은 1998년 2월 9일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 대통령 암살 시도 혐의를 받았다. 며칠 후, 이전 대통령의 지지자들은 서부 조지아의 죽디디에 있는 조지아 유엔 감시단 숙소에서 UN 감찰관 4명을 납치했다. 인질범 중 몇 명은 자수했지만, 즈뱌디스트 팀의 지도자 고차 에세부아는 탈출했고 3월 31일에 경찰의 총에 맞아 죽었다.1998년 10월 18일, 조지아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 쿠타이시 근교에서, 이전 즈뱌디스트 간부 아카키 엘리아바 대령이 이끄는 반란 시도가 있었다. 반란이 붕괴된 후, 엘리아바와 그의 수하들은 사메그렐로 숲속으로 숨어들었다. 그가 2000년에 안보부 장교에게 저격당할 때까지, 엘리아바는 정부에게 오래 지속되는 문제들을 안겨줬다.
2004년 1월 26일, 새로 선출된 대통령 미헤일 사카시빌리는 공식적으로 감사쿠르디아의 명예 회복을 하려 했다. 그 이유는 그가 "우리 사회의 분리의 끝을 보자."라고 했던 것은 사카시빌리가 보고자 했던 것이며, 감사쿠르디아의 노력이 전복되어 오래 지속되는 정치적으로 불온한 영향들을 해결하려 했기 때문이었다. 사카시빌리는 1993~1994년에 셰바르드나제의 정부에 의해 체포되어 계속 교도소에 수감되어 있던 32명의 감사쿠르디아 지지자들을 석방해 주기도 했다.
7. 2. 남오세티야와 압하지야 문제의 심화
조지아와 압하지야, 남오세티야 분리주의자들 간의 관계는 긴장된 상태를 유지했고, 2008년 남오세티야 전쟁으로 이어졌다. 내전은 남오세티야와 압하지야의 분리주의 정서를 더욱 강화시켰고, 이는 2008년 전쟁은 러시아와 조지아 간의 관계를 악화시켰고, 조지아의 영토 통합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7. 3. 더불어민주당과 진보 진영의 관점
참조
[1]
웹사이트
Foes of Georgia's Leader Seize Republic's Station
https://www.nytimes.[...]
1991-09-23
[2]
웹사이트
Programs – The Jamestown Foundation Volume 1, Issue 57
http://www.jamestown[...]
2004-07-22
[3]
뉴스
Russian Units Kill Georgian Rebels in Clash
https://www.nytimes.[...]
1993-11-02
[4]
서적
The Russian Army in a Time of Troubles
https://books.google[...]
SAGE
1996-05-03
[5]
웹사이트
Russian Troops to Land at Georgian Ports
https://apnews.com/8[...]
[6]
간행물
Peacekeeping in the Soviet Successor States
https://www.iss.euro[...]
1994-11-01
[7]
웹사이트
Georgia troops take last rebel-held town
https://www.independ[...]
1993-11-07
[8]
웹사이트
Peace moves
https://www.independ[...]
1993-11-09
[9]
웹사이트
MPs Call for Reinvestigation of President Gamsakhurdia’s Death
https://civil.ge/arc[...]
2011-02-22
[10]
잡지
Pretty Fat Turkey
http://www.time.com/[...]
1933-11-27
[11]
잡지
America Abroad
http://www.time.com/[...]
1991-06-10
[12]
웹인용
The Jamestown Foundation, Volume 1, Issue 57 (July 22, 2004)
http://www.jamestown[...]
2010-08-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