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존 구드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구드릭은 18세기 영국의 천문학자이다. 그는 변광성의 밝기 변화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알골이 식쌍성임을 처음으로 제안했고, β 거문고자리와 δ 세페우스자리의 변광을 발견했다. 이러한 연구 업적으로 1783년 왕립 학회에서 코플리 메달을 수여받았으나, 1786년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된 지 4일 만에 폐렴으로 사망했다. 요크 대학교의 구드릭 칼리지와 소행성 3116 구드릭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세기 네덜란드 사람 - 안토니 판 레이우엔훅
    안토니 판 레이우엔훅은 네덜란드의 과학자이자 현미경의 선구자로서, 직접 제작한 현미경으로 미생물의 세계를 처음 관찰하고 기록했으며, 적혈구, 정자, 근육 섬유 등을 발견하여 동물 조직학 발전에 기여하고 왕립 학회와의 교류를 통해 과학적 인정을 받았다.
  • 18세기 네덜란드 사람 - 자코부스 포옐
    자코부스 포옐은 네덜란드 출신으로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상인으로 활동하며 재산을 모았고, 표트르 3세의 후원을 받았으나 암살로 인해 홀슈타인고토르프 부왕 계획이 무산된 후 함부르크에서 지주로 생활하다 사망했다.
  • 18세기 영국 사람 - 존 애덤스
    존 애덤스는 미국의 제2대 대통령이자 건국의 아버지 중 한 명으로, 미국 독립 혁명 시기 독립 운동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독립 후에는 외교관, 부통령을 거쳐 대통령으로 재임하며 프랑스와의 준전쟁 해결, 해군 창설 등의 업적을 남겼다.
  • 18세기 영국 사람 - 윌리엄 허셜
    독일 태생 영국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은 음악가에서 천문학자로 전향하여 직접 망원경을 제작, 천왕성 발견, 쌍성·심원 천체·적외선 발견, 태양계 운동·은하수 구조 연구 등 천문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여동생 캐롤라인 허셜 또한 여성 천문학자로서 업적을 남겼다.
  • 네덜란드의 천문학자 -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크리스티안 하위헌스는 네덜란드의 과학자로서 진자시계와 밸런스 스프링 시계를 발명하고 토성의 위성 타이탄을 발견했으며 빛의 파동설을 제시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업적을 남겼다.
  • 네덜란드의 천문학자 - 안톤 판네쿡
    네덜란드 천문학자이자 마르크스주의 이론가인 안톤 판네쿡은 은하수 구조 및 항성 분포 연구에 기여하고 천문학사를 저술했으며, 평의회 공산주의 이론을 발전시켜 사회주의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존 구드릭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존 구드릭의 초상
존 구드릭의 초상
인물 정보
이름존 구드릭
출생1764년 9월 17일
출생지흐로닝언
사망1786년 4월 20일
사망 원인폐렴
국적영국
민족알 수 없음 (제공된 문서에 명시되지 않음)
종교알 수 없음 (제공된 문서에 명시되지 않음)
서명알 수 없음 (제공된 문서에 명시되지 않음)
학력 및 경력
분야천문학
직업알 수 없음 (제공된 문서에 명시되지 않음)
활동 기간알 수 없음 (제공된 문서에 명시되지 않음)
근무 기관알 수 없음 (제공된 문서에 명시되지 않음)
모교알 수 없음 (제공된 문서에 명시되지 않음)
지도 교수알 수 없음 (제공된 문서에 명시되지 않음)
지도 학생알 수 없음 (제공된 문서에 명시되지 않음)
업적
주요 업적변광성 연구, 특히 알골 변광 연구
수상코플리 메달 (1783년)
회원왕립 학회 회원

2. 생애와 업적

존 구드릭은 변광성 알골을 관측하고 그 변광 메커니즘을 제안한 것으로 유명하다. 당시 이미 몇몇 변광성이 알려져 있었지만, 구드릭은 오늘날 식변광성으로 알려진 개념을 처음으로 제시했다.[1] 1783년 왕립 학회에 연구 결과를 발표하여 코플리 메달을 수상했고, 1786년에는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구드릭은 어릴 때 성홍열을 앓아 청력을 잃었다. 에든버러의 농학교와 워링턴 아카데미에서 공부한 후, 요크에서 부모님과 함께 살면서 이웃이었던 에드워드 피곳과 교류하였다. 에드워드 피곳은 변광성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었으며, 구드릭에게 관측할 변광성 목록을 주었다. 구드릭은 거문고자리 β별과 세페우스자리 δ별이 변광성임을 발견했다.

요크 대학교의 구드릭 칼리지와 소행성 (3116) 구드릭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 1. 초기 생애

존 구드릭(John Goodricke)은 증조부 존 구드릭 경(Sir John Goodricke, 1617–1670, 리브스톤 홀의 구드릭 준남작 참조)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네덜란드 흐로닝언에서 태어났다. 하지만 생애 대부분을 잉글랜드에서 보냈다. 그는 어릴 적 심한 질병으로 인해 청각을 잃었다. 그의 부모는 그를 에든버러에 있는 토마스 브레이드우드 아카데미 (청각 장애 학생을 위한 학교)로 보냈고, 1778년에는 워링턴 아카데미로 보냈다.

2. 2. 천문학 연구

구드릭은 이웃이었던 에드워드 피곳에게서 변광성 관측 목록을 받았다.

구드릭은 β 거문고자리[1]와 δ 세페우스자리가 주기적으로 밝기가 변하는 변광성임을 발견했다.

겉보기 등급이 변하는 별은 이전에도 알려져 있었지만, 구드릭은 최초로 식쌍성에 대한 메커니즘을 제안하였다. 1783년 5월, 구드릭은 왕립 학회에 자신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고, 그해 코플리 메달을 수상했다. 1786년 4월 16일에는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나, 4일 뒤 폐렴으로 사망하여 이 사실을 알지 못했다.

2. 3. 왕립 학회 회원 선출과 죽음

구드릭은 1783년 5월 왕립 학회에 자신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고, 이 연구로 인해 학회는 그에게 그 해의 코플리 메달을 수여했다. 1786년 4월 16일에 왕립 학회의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나, 나흘 뒤 폐렴으로 사망하여 이 영예를 알지 못했다. 그는 결혼하지 않았다.

3. 요크셔에서의 구드릭

영국 요크의 존 구드릭 기념비


헌싱고어 교회 부지에 있는 구드릭 가문의 묘


구드릭은 웨스트 요크셔 헌싱고어 교회에 친척들과 함께 묻혔다. 오늘날 요크에는 존 구드릭의 천문대 부지 근처에 기념비가 있다. 요크 대학교의 구드릭 칼리지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부지에는 '알골'이라는 현대 조각품도 있다.

3. 1. 요크 재무관 저택 관측

1949년, 시드니 멜모어는 구드릭이 재무관 저택(현재 내셔널 트러스트 소유)에서 일했으며, 요크 민스터 근처에서 활동했고, 동남쪽 날개의 최상층 북쪽 창문에서 남쪽을 바라보며 민스터를 관측했다고 결론 내렸다. 그러나 기록에 따르면 구드릭 가문은 당시 저택 북서쪽 날개의 소유주였던 에드워드 토펌으로부터 방을 임대했다.

4. 후세에 남긴 영향

존 구드릭은 변광성알골을 관측하고 식변광성 메커니즘을 제안한 것으로 유명하다. 1783년 왕립 학회에 연구 결과를 발표하여 코플리 메달을 수상했고, 1786년에는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나, 폐렴으로 21세의 젊은 나이에 사망하여 자신이 선출된 사실을 알지 못했다.[5]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소행성 3116 구드릭, 요크 대학교의 구드릭 칼리지, 구드릭-피곳 천문대 등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4. 1. 구드릭 칼리지

요크 대학교의 구드릭 칼리지는 존 구드릭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3] 칼리지 부지에는 '알골'이라는 현대 조각품도 있다.[2]

4. 2. 구드릭-피곳 천문대

구드릭-피곳 천문대는 애리조나주 투손에 있는 개인 천문대로, 구드릭과 피곳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996년 10월 26일에 공식 헌정되었다.[4]

4. 3. 소행성 3116 구드릭

3116 구드릭은 존 구드릭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

참조

[1] 간행물 XXVI. A series of observations on, and a discovery of, the period of the variation of the light of the bright star in the head of medusa, called algol. In a letter from John Goodricke, Esq. to the Rev. Anthony Shepherd, D. D. F. R. S. and Plumian Professor at Cambridge 1783-01
[2] 웹사이트 IAU Minor Planet Center https://minorplanetc[...] 2023-05-23
[3] 웹사이트 College History http://www.york.ac.u[...] Goodricke College 2015-01-21
[4] 웹사이트 Goodricke-Pigott Observatory http://gpobs.home.mi[...]
[5] 웹사이트 Goodricke; John (1764 - 1786) 2011-1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