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르체데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르체데이는 몽골 제국 초기의 인물로, 보돈차르의 후손이자 울루트 씨족 출신으로 여진족의 혈통을 지닌 것으로 추정된다. 테무진(칭기즈 칸) 휘하에 들어가 몽골 고원 통일 전쟁에서 활약했으며, 특히 케레이트와의 카라 칼지트 전투에서 선봉으로 활약했다. 몽골 제국 건국 후 천호장에 임명되었으며, 칭기즈 칸으로부터 자카 간보의 딸 이바카 베키를 하사받았다. 주르체데이가 지휘하던 울루트 4천호는 아들 케프테이가 계승했고, 그의 후예들은 대원 울루스 아래 유력 부족으로 성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골의 군인 - 몽케 칸
칭기즈 칸의 손자이자 툴루이의 아들인 몽케 칸은 1251년 몽골 제국의 대칸으로 선출되어 금나라 정벌, 유럽 원정 참여, 중앙 정부 강화, 무역로 확보, 고려 항복, 훌라구를 통한 이란-이라크 원정 성공, 룸 술탄국 정벌, 티베트-대리국 평정 등 광범위한 영토 확장을 이끌었으나 남송 정벌 중 병사하며 몽골 제국 분열의 원인이 되었다. - 몽골의 군인 - 귀위크 칸
귀위크 칸은 몽골 제국의 3대 대칸으로, 쿠릴타이를 통해 즉위하여 유럽 원정에 참여하고 교황에게 서신을 보냈지만, 과음으로 급사하여 몽골 제국의 유럽 진출을 늦추었다. - 몽골 제국 - 쿠릴타이
쿠릴타이는 몽골 제국 시대에 칸을 선출하고 법을 제정하며 군사적 행동을 논의하는 최고 정치 회의였으며, 몽골 및 튀르크 계열 민족들이 현대에도 정치적 의미로 사용하는 용어이다. - 몽골 제국 - 카라코룸
카라코룸은 칭기즈칸이 건설하고 오고타이 칸 시대에 완공된 몽골 제국의 수도로, 동서양 무역 중심지이자 다양한 종교가 공존했던 국제적인 도시였으나, 쿠빌라이 칸이 수도를 옮긴 후 쇠퇴, 이후 유적 발굴과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그리고 재건 계획을 통해 역사적 중요성을 재조명받고 있다. - 칭기즈 칸 - 몽골 제국
몽골 제국은 1206년 칭기즈 칸에 의해 건국되어 유라시아 대륙을 정복하고 동서 교류를 촉진했으나, 몽케 칸 사후 분열되어 쇠퇴하여 멸망한 역사상 가장 큰 영토를 차지했던 제국이다. - 칭기즈 칸 - 몽케 칸
칭기즈 칸의 손자이자 툴루이의 아들인 몽케 칸은 1251년 몽골 제국의 대칸으로 선출되어 금나라 정벌, 유럽 원정 참여, 중앙 정부 강화, 무역로 확보, 고려 항복, 훌라구를 통한 이란-이라크 원정 성공, 룸 술탄국 정벌, 티베트-대리국 평정 등 광범위한 영토 확장을 이끌었으나 남송 정벌 중 병사하며 몽골 제국 분열의 원인이 되었다.
주르체데이 | |
---|---|
기본 정보 | |
이름 | 주르체데이 |
출생 | 1154년 |
사망 | 1230년 |
봉호 | 오르두 (1197년 ~ 1206년) 키르기스 지방 (1207년 ~ 1230년) |
가계 | |
아버지 | 칭기즈 칸 |
어머니 | 부르테 |
형제자매 | 주치, 차카타이, 오고타이, 툴루이, 알라카이 베키, 투메룬, 알투룬, 코진 베키 |
아내 | 불명 |
자녀 | 에르침 (Erchim) 이부간 (Ibugan) |
생애 및 경력 | |
주요 활동 | 1189년: 칭기즈 칸의 즉위식에서 공헌 1197년: 오르두 지역 봉토 수여 1203년: 케레이트 토벌 참여 1206년: 천호장 임명 및 오르두 지역 박탈 1207년: 키르기스 지역 통치 임명 |
기타 | |
특징 | 칭기즈 칸의 아들로, 키르기스 지역 통치에 기여 |
2. 초기 생애
주르체데이는 몽골 부족 출신으로, 그의 가문과 부족적 배경은 몽골의 역사와 깊이 연관되어 있다.
2. 1. 가문 및 부족 배경
몽골 부족의 족조 전설에 따르면 보돈차르의 자손 중 나친 바토르라는 인물이 있었고, 나친 바토르의 두 아들 울루다이, 망구다이에서 울루트 씨족과 망구트 씨족이 갈라져 나왔다고 전해진다.[1] 주르체데이는 울루다이의 후손이라고 칭했으며, 또한 주르체데이(J̌ürčedei)라는 이름으로 보아 여진족(J̌určin)을 어머니로 둔 것으로 추측된다.[2] 몽골 부족 안에서 울루트 씨족과 망구트 씨족은 비교적 규모가 큰 집단이었지만, 몽골 부족의 주도권을 두고 키야트 씨족의 테무진과 자다란 씨족의 자무카가 대립하면서 두 씨족은 두 파로 분열되었고, 주르체데이는 울루트 씨족의 일부를 이끌고 테무진 측에 합류했다.3. 몽골 고원 통일 전쟁에서의 활약
1203년, 테무진은 케레이트부 옹 칸과의 동맹이 이르카 세궁의 책략으로 깨지자, 카라 칼지트 사막에서 케레이트군과 맞붙었다. 테무진은 군사 회의에서 주르체데이를 선봉장으로 제안했으나, 주르체데이는 즉답을 피했다. 쿠일다르 세첸이 선봉을 자원하자, 주르체데이도 함께 나서면서 쿠일다르의 몽고트 군과 주르체데이의 울루트 군이 선봉을 맡게 되었다.
같은 해, 몽골군이 발주나 호수에서 케레이트부로 진군할 때, 주르체데이는 알카이 카사르와 함께 다시 선봉을 맡았다.[5] 그는 테무진의 명으로 케레이트에 붙어 있던 콩기라트부의 테르게 아멜을 항복시켰다.[4]
이후 메르키트·나이만 연합과의 전투에서, 주르체데이는 테무진을 배신했던 케레이트부의 자카 감보를 계략으로 사로잡고 케레이트 잔당을 평정했다.[3]
3. 1. 케레이트와의 전투 (카라 칼지트 전투)
1203년, 테무진과 케레이트부 옹 칸과의 동맹 관계는 이르카 세궁의 책략으로 결렬되었다. 테무진이 이끄는 몽골군과 옹 칸이 이끄는 케레이트군은 카라 칼지트 사막에서 대치했다. 케레이트와의 결전을 앞두고 테무진은 군사 회의에서 주르체데이를 선봉으로 삼는 것이 어떻겠냐고 말했지만, 주르체데이가 말의 갈기를 채찍으로 쓸어내릴 뿐 대답하지 않았다. 이를 보고 쿠일다르 세첸이 자신이 선봉을 맡겠다고 나섰고, 그러자 주르체데이도 또한 선봉을 맡겠다고 신청했다. 그리하여 쿠일다르가 이끄는 몽고트 군과 주르체데이가 이끄는 울루트 군이 선봉이 되어 싸우게 되었다.카라 칼지트 전투에서 선봉 쿠일다르와 주르체데이는 분전하여 적군의 선봉인 질킨 군을 분쇄했다. 그러나 이어서 쳐들어온 토베겐 군의 아치크 실룬의 공격으로 쿠일다르가 부상당하면서 몽골군은 열세에 놓였다. 쿠일다르의 부상 후에도 주르체데이는 분전하여 돈가이트 군의 코리 시레문 타이시를 격파하고, 더 나아가 케레이트의 본대를 급습하여 이르카 세궁을 사살했다. 케레이트군은 이르카 세궁을 지키려 움직였고, 그 틈에 몽골군은 부상당한 쿠일다르를 회수하고 철수했다[3].
3. 2. 케레이트 정벌 기여
1203년 몽골군이 발주나 호수에서 케레이트부로 진군할 때, 주르체데이는 알카이 카사르와 함께 다시 선봉을 맡아 케레이트 부 정복에 기여했다.[5] 주르체데이는 테무진의 명을 받아 케레이트 측에 붙어 있던 콩기라트부의 테르게 아멜을 찾아가 항복시키는 공을 세웠다.[4]3. 3. 메르키트·나이만 연합과의 전투
1203년 이후 메르키트·나이만 연합과의 싸움에서, 주르체데이는 한때 테무진의 부하였다가 다시 배신한 케레이트부의 자카 감보를 계략으로 유인하여 생포하고, 케레이트부 잔당을 평정하는 공을 세웠다.[3]4. 몽골 제국 건국 이후
1206년, 테무진은 몽골 전역을 통일하고 칭기즈 칸을 칭하며 몽골 제국을 건국했다. 칭기즈 칸은 주르체데이를 포함한 측근 부하와 복속된 여러 부족의 지도자를 천호장에 임명했다.[6] 《원조비사》에 따르면, 칭기스 칸은 주르체데이가 케레이트와의 결전에서 선봉을 맡았고, 그 전투에서 일카 셍군을 부상 입혔으며, 케레이트에 대한 복수전에서 다시 선봉을 맡아 자카 간보를 포획하는 등 주르체데이의 공적을 열거하며, 그에 대한 포상으로 한때 자신의 비였던 자카 감보의 딸 이바카 베키를 하사했다고 한다.[6]
주르체데이 사후, 그가 지휘하던 울루트 4천호는 아들 케프테이가 계승했다. 주르체데이의 후예가 지배하는 울루트부는 자라이르부(국왕 무칼리 가문), 콩기라트부(데이 세첸 가문), 이키레스부(부투 큐레겐 가문), 망구트부(쿠일다르 가문)와 함께 "좌익 5 투하"를 구성하여 쿠빌라이의 즉위를 도운 공적으로 인해 대원 울루스 아래 유력 부족으로 알려지게 되었다.[8]
4. 1. 천호장 임명
1206년, 테무진은 몽골 전역을 통일하고 칭기즈 칸을 칭하며 몽골 제국을 건국했다. 칭기즈 칸은 주르체데이를 포함한 측근 부하와 복속된 여러 부족의 지도자를 천호장에 임명했다.[6] 《원조비사》에 따르면 칭기스 칸은 주르체데이가 케레이트와의 결전에서 선봉을 맡았고, 그 전투에서 일카 셍군을 부상 입혔으며, 케레이트에 대한 복수전에서 다시 선봉을 맡았고, 자카 간보를 포획하는 등 주르체데이의 공적을 열거하며, 은상으로 한때 자신의 비로 삼았던 자카 간보의 딸 이바카 베키를 하사했다고 한다.[6]4. 2. 칭기즈 칸의 포상
1206년, 테무진은 몽골 전역을 통일하고 칭기스 칸을 칭하며 몽골 제국을 건국했다. 칭기스 칸은 주르체데이를 포함한 측근 부하와 복속된 여러 부족의 지도자를 천호장에 임명했다. 《원조비사》에 따르면, 칭기스 칸은 주르체데이가 케레이트와의 결전에서 선봉을 맡았고, 그 전투에서 일카 셍군을 부상 입혔으며, 케레이트에 대한 복수전에서 다시 선봉을 맡아 자카 간보를 포획하는 등 주르체데이의 공적을 열거하며, 그에 대한 포상으로 한때 자신의 비였던 자카 감보의 딸 이바카 베키를 하사했다고 한다[6]。4. 3. 울루트 4천호 계승
주르체데이가 지휘하는 울루트 4천호는 주르체데이 사후 아들 케프테이가 계승했다. 주르체데이의 후예가 지배하는 울루트부는 자라이르부(국왕 무칼리 가문), 콩기라트부(데이 세첸 가문), 이키레스부(부투 큐레겐 가문), 망구트부(쿠일다르 가문)와 함께 "좌익 5 투하"를 구성하여 쿠빌라이의 즉위를 도운 공적으로 인해 대원 울루스 아래 유력 부족으로 알려지게 되었다.[8]5. 주르체데이 가문
주르체데이는 우량카이부의 족장으로, 케프테이와 부질 노얀의 아버지였다.
5. 1. 천인대장 주르체데이
'''주르체데이'''(J̌ürčedei > 朮赤台/zhúchìtái)는 군왕 케프테이와 부질 노얀의 아버지였다.5. 1. 1. 군왕 케프테이
군왕 케프테이 (Kehetei > 怯台/qiètái, کهتی نویان|Kehtei Nūyānotk)5. 1. 2. 부질 노얀
'''부질 노얀''' (Buǰir > 不只児/bùzhīér, بوجر نویان|Būjir Nūyānper)참조
[1]
서적
村上
1972
[2]
서적
村上
1970
[3]
서적
村上
1972
[4]
서적
村上
1972
[5]
서적
村上
1972
[6]
서적
村上
1972
[7]
서적
志茂
2013
[8]
서적
村上
197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