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발 (전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발은 유방을 따라 초한 전쟁에 참전하여 공을 세우고 한나라 건국 후에는 제후왕의 반란을 진압하는 데 기여한 인물이다. 여씨 일족을 몰아내고 문제의 즉위에 기여했으며, 우승상과 승상을 역임했으나, 모반 혐의로 투옥되기도 했다. 문제 사후 무(武)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아들 주승지와 손자 주아부가 작위를 이었다.
주발은 원래 하남군 권현 사람이었는데 패군으로 이주했다. 양잠과 직조로 생업을 삼으며 상가에서 손님들을 위해 피리를 불어주었다. 유방이 패공으로써 거병하면서 중연(中涓)으로써 유방을 좇았다. 이후 방여(方與)·풍(豐) 등 각지를 전전하며 공을 세웠고, 하읍(下邑)을 함락시킬 때 가장 먼저 올라가 오대부(五大夫)의 작위를 받았다. 또 옛 위나라의 영역을 평정하였으며, 원척(元戚)·동민(東緡) 등 여러 곳, 주로 연주 지방의 여러 현을 전전해 함락시켰다. 또 삼천군수 이유의 군사를 굴복시켰다. 개봉(開封)을 함락할 때에는 주발의 사졸 중에 성 아래에 먼저 온 자가 많았다.[1]
주발의 아들 중 주아부가 현명하여 조후(條侯)가 되어 주발의 봉작을 계승했다. 주아부가 죽은 후에는 주견이 평곡후(平曲侯)가 되어 주발의 봉작을 계승했다.[1]
[1]
서적
사기 권57 강후주발세가
https://wikisource.o[...]
2. 생애
패공이 서진하여 거병한 지 1년 2달 만에 탕군에 이르러 초회왕에게 무안후의 작위를 받자, 주발은 탕군장이 되었다. 패공은 주발을 호비령[2]으로 삼았다. 패공을 따라 옛 위나라 땅을 평정하면서 동군위를 무찌르고, 왕리의 군을 무찌르고, 또 영천군의 속현들을 공략하고, 남양으로 들어가서는 군수 여의(呂齮)[3]를 무찌르고, 무관·요관을 함락하고 남전에서 진나라 군사를 격파하여 함양까지 이르렀다.[1]
항우가 유방을 한왕으로 봉하면서, 한왕에게서 무위후(武威侯)의 봉작을 받았고 한중까지 따라가 장군이 되었다. 삼진(옹·새·적 삼국) 평정 중의 싸움, 즉 옹나라 왕 장함과의 싸움에서는 괴리[4], 호치(好畤) 싸움에서 전공이 으뜸이었고, 함양에서 조분(趙賁)과 내사 보(保)를 칠 때에도 전공이 으뜸이었다. 칠현을 함락하고, 장평(장함의 아우)와 그 수하 장수 요앙(姚卬)을 무찔렀고, 견(汧)·미(郿)·빈양(頻陽) 세 현을 함락했으며, 폐구 포위에 참여하다가 서승(서현의 승)을 무찔렀으며 또 장함의 장수 도파(盜巴)도 무찔렀다. 이후 요관을 지키며 곡역을 치고, 돌아와 오창을 수비했다. 항우가 죽자 동해와 사수의 스물두 현을 항복시켰고, 돌아와 낙양·약양을 지켰다.[1]
기원전 202년, 다른 제후왕들과 함께 유방을 황제로 추대했다. 연왕 장도가 반란을 일으키자 고제를 따라 공을 세웠고, 강(絳)현의 8,180호를 식읍으로 받는 열후에 봉해져 강후(絳侯)가 되었다.[1]
한왕 신의 반란에는 고제를 따라 한왕의 군사와 호인(胡人)의 기병을 여러 차례 무찌르고, 태원과 진양 등지의 수복에 공헌하여 태위가 되었다. 진희의 반란에는 마읍을 결딴내고 진희의 장수 승마치(乘馬絺)를 죽였으며, 한왕 신과 진희와 조리의 군사를 누번에서 격파하고 진희의 장수 송최(宋最)와 안문수 혼(圂)을 사로잡았다. 운중수 속(遬), 승상 기사(箕肆), 장군 훈(薰)을 사로잡고 안문과 운중을 평정했으며, 진희를 영구(靈丘)에서 격파하여 베고 진희의 승상 정종(程縱)·장군 진무(陳武)·도위 고사(高肆)를 사로잡고 대군을 평정했다.[1]
연왕 노관의 모반에는 번쾌를 대신하여 대장이 되어 토벌하여 노관의 대장 저(抵)와 승상 언(偃)·군수 형(陘)·태위 약(弱)·어사대부 시(施)를 사로잡고, 상곡·우북평·요서·요동·어양의 일흔아홉 현을 평정했다.[1]
고제 사후 혜제와 두 소제 시대에는 고황후 여씨와 그 일족들이 나라를 지배해 황실을 위협했고, 태위인 주발과 좌승상 진평은 국무를 보지 못했다.[1] 이들은 계획을 짜 여씨 일족을 몰아내고 문제를 옹립해 한나라를 다시 유씨의 손에 돌렸다.[1]
기원전 169년에 죽어 시호를 무(武)라 하였고, 아들 주승지가 작위를 이었다.[1]
2. 1. 초한 전쟁
주발은 원래 하남군 권현 사람이었는데 패군으로 이주했다. 양잠과 직조로 생업을 삼으며 상가에서 손님들을 위해 피리를 불어주었다. 그러다가 유방이 패공으로써 거병하면서 주발은 중연(中涓)으로써 유방을 좇았다. 이후 방여(方與)·풍(豐) 등 각지를 전전하며 공을 세웠고, 하읍(下邑)을 함락시킬 때 가장 먼저 올라가 오대부(五大夫)의 작위를 받았다. 또 옛 위나라의 영역을 평정하였으며, 원척(元戚)·동민(東緡) 등 여러 곳, 주로 연주 지방의 여러 현을 전전해 함락시켰다. 또 삼천군수 이유의 군사를 굴복시켰다. 개봉(開封)을 함락할 때에는 주발의 사졸 중에 성 아래에 먼저 온 자가 많았다.[1]
이후 패공이 서진하여 거병한 지 1년 2달 만에 탕군에 이르러 초회왕에게 무안후의 작위를 받자, 주발은 탕군장이 되었다. 패공은 주발을 호비령[2]으로 삼았다. 패공을 따라 옛 위나라 땅을 평정하면서 동군위를 무찌르고, 왕리의 군을 무찌르고, 또 영천군의 속현들을 공략하고, 남양으로 들어가서는 군수 여의(呂齮)[3]를 무찌르고, 무관·요관을 함락하고 남전에서 진나라 군사를 격파하여 함양까지 이르렀다.[1]
항우가 유방을 한왕으로 봉하면서, 한왕에게서 무위후(武威侯)의 봉작을 받았고 한중까지 따라가 장군이 되었다. 삼진(옹·새·적 삼국) 평정 중의 싸움, 즉 옹나라 왕 장함과의 싸움에서는 괴리[4], 호치(好畤) 싸움에서 전공이 으뜸이었고, 함양에서 조분(趙賁)과 내사 보(保)를 칠 때에도 전공이 으뜸이었다. 칠현을 함락하고, 장평(장함의 아우)와 그 수하 장수 요앙(姚卬)을 무찔렀고, 견(汧)·미(郿)·빈양(頻陽) 세 현을 함락했으며, 폐구 포위에 참여하다가 서승(서현의 승)을 무찔렀으며 또 장함의 장수 도파(盜巴)도 무찔렀다. 이후 요관을 지키며 곡역을 치고, 돌아와 오창을 수비했다. 항우가 죽자 동해와 사수의 스물두 현을 항복시켰고, 돌아와 낙양·약양을 지켰다.[1]
2. 2. 제후왕 반란 진압
기원전 202년, 다른 제후왕들과 함께 유방을 황제로 추대한 연왕 장도가 반란을 일으키자 고제를 따라 공을 세웠고, 강(絳)현의 8,180호를 식읍으로 받는 열후에 봉해져 강후(絳侯)가 되었다.[1]
한왕 신의 반란에는 고제를 따라 한왕의 군사와 호인(胡人)의 기병을 여러 차례 무찌르고, 태원과 진양 등지의 수복에 공헌하여 태위가 되었다. 진희의 반란에는 마읍을 결딴내고 진희의 장수 승마치(乘馬絺)를 죽였으며, 한왕 신과 진희와 조리의 군사를 누번에서 격파하고 진희의 장수 송최(宋最)와 안문수 혼(圂)을 사로잡았다. 운중수 속(遬), 승상 기사(箕肆), 장군 훈(薰)을 사로잡고 안문과 운중을 평정했으며, 진희를 영구(靈丘)에서 격파하여 베고 진희의 승상 정종(程縱)·장군 진무(陳武)·도위 고사(高肆)를 사로잡고 대군을 평정했다.[1]
연왕 노관의 모반에는 번쾌를 대신하여 대장이 되어 토벌하여 노관의 대장 저(抵)와 승상 언(偃)·군수 형(陘)·태위 약(弱)·어사대부 시(施)를 사로잡고, 상곡·우북평·요서·요동·어양의 일흔아홉 현을 평정했다.[1]
2. 3. 여씨 세력 타도
고제가 죽고 혜제와 두 소제 시대에는 고황후 여씨와 그 일족들이 나라를 지배해 황실을 위협했고, 태위인 주발과 좌승상 진평은 국무를 보지 못했다.[1] 이들은 계획을 짜 여씨 일족을 몰아내고 문제를 옹립해 한나라를 다시 유씨의 손에 돌렸다.[1]
2. 4. 만년
문제 11년(기원전 169년)에 죽어 시호를 무(武)라 하였고, 아들 주승지가 작위를 이었다.[1]
3. 가계
참조
[2]
문서
[3]
서적
한기 권1 고조황제기
[4]
문서
[5]
서적
[6]
문서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