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벨기에 유럽연합 대한민국 대사관 겸 주북대서양조약기구 대한민국 대표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벨기에 유럽연합 대한민국 대사관 겸 주북대서양조약기구 대한민국 대표부는 벨기에 브뤼셀에 위치한 대한민국 외교 공관이다. 1961년 벨기에와 수교하고 1963년 유럽 공동체(EC)와 수교한 이후, 1965년 주벨기에 대한민국 대사관이 설치되어 주유럽 공동체 대표부를 겸임했다. 1989년 주유럽 공동체 대한민국 대표부가 분리 신설되었으며, 1993년 유럽 연합(EU) 출범과 함께 주유럽 연합 대한민국 대표부로 개편되었다. 1998년 IMF 구제금융으로 인해 주유럽 연합 대한민국 대표부가 폐쇄되고 주벨기에 대한민국 대사관에 통합되었다. 2022년에는 주나토 대표부가 설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기에 주재 공관 - 주브뤼셀 홍콩 경제무역대표부
주브뤼셀 홍콩 경제무역대표부는 유럽 연합과 벨기에에 홍콩 특별행정구를 대표하는 기관이다. - 대한민국-룩셈부르크 관계 - 주한 룩셈부르크 대사관
주한 룩셈부르크 대사관은 대한민국과 룩셈부르크의 외교 관계 증진을 위해 2024년 개관한 룩셈부르크의 외교 공관으로, 양국 경제 협력의 교두보 역할을 수행하며 대한민국 기업에게 투자 정보 및 정착 지원을 제공한다. - 대한민국-유럽 연합 관계 - 주한 유럽 연합 대표부
주한 유럽 연합 대표부는 대한민국과 유럽 연합 간의 외교 관계를 담당하며, 정치,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증진과 상호 이해를 도모하는 유럽 연합의 외교 공관이다. - 대한민국-유럽 연합 관계 - 유럽-한국 재단
주벨기에 유럽연합 대한민국 대사관 겸 주북대서양조약기구 대한민국 대표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주벨기에 유럽연합 대한민국 대사관 겸 주북대서양조약기구 대한민국 대표부 |
현지어 이름 | |
설립일 | 1965년 11월 1일 |
소재지 | 벨기에 브뤼셀 |
관할 | 영사관할지역: 벨기에 룩셈부르크 겸임: 유럽 연합 북대서양 조약 기구 |
기관장 | 김형진 (대사) |
상급 기관 | 대한민국 외교부 |
웹사이트 | 주벨기에 유럽연합 대한민국 대사관 겸 주북대서양조약기구 대한민국 대표부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대한민국 정부는 1961년 벨기에와 수교한 이후 유럽과의 관계를 꾸준히 발전시켜왔다. 초기에는 주벨기에 대한민국 대사관에서 유럽 공동체(EC) 관련 업무를 겸임했으나, 1989년 주유럽 공동체 대한민국 대표부가 분리 신설되었다. 1993년 마스트리흐트 조약 발효와 함께 유럽 연합(EU)이 출범하면서 대표부 명칭이 변경되었고, 1998년 IMF 외환 위기 당시 잠시 폐쇄되었다가 주벨기에 대한민국 대사관에 통합되었다. 2022년에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나토)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주나토 대표부가 설치되었다.[8]
2. 1. 유럽 공동체(EC)와의 관계
대한민국 정부는 1961년 5월 2일에 벨기에와 수교했으며, 1963년 7월 24일에는 유럽 공동체(EC)와 수교했다.[3] 1965년 11월 1일에는 벨기에 브뤼셀에 주벨기에 대한민국 대사관을 설치하면서 해당 공관에서 주유럽 공동체 대한민국 대표부를 겸임했다.[3]1989년 2월 1일에는 '''주유럽 공동체 대한민국 대표부'''가 주벨기에 대한민국 대사관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다.[4][5] 같은 해 7월 7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제6차 대한민국-유럽 공동체 고위협의회에 참석한 최호중 대한민국 외무부 장관과 프란스 안드리선 유럽 공동체 집행위원회 부위원장 겸 외교 관계·통상 정책 담당 위원이 대한민국 주재 유럽 공동체 대표부 설치 및 특권 면제에 관한 협정에 서명했다.[6][7]
2. 2. 유럽 연합(EU)과의 관계
1993년 11월 1일을 기해 마스트리흐트 조약이 발효되면서 유럽 공동체(EC)가 유럽 연합(EU)으로 개편됨에 따라 주유럽 공동체 대한민국 대표부도 '''주유럽 연합 대한민국 대표부'''로 개편되었다. 1998년 9월 1일, 대한민국 정부는 IMF 구제금융 체제의 여파로 주유럽 연합 대한민국 대표부를 폐쇄하고 주벨기에 대한민국 대사관에 통합했다.[3] 2022년 6월 22일, 윤석열 대한민국 대통령이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한 것을 계기로 대한민국 정부는 벨기에 브뤼셀 주재 대한민국 대사관에 주나토 대표부를 설치하기로 결정했다.[8]3. 역대 공관장
주벨기에 유럽연합 대한민국 대사관 겸 주북대서양조약기구 대한민국 대표부의 역대 공관장은 대한민국과 유럽 연합 간의 관계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1][2] 이들은 양측 간의 외교, 경제, 문화 교류를 증진하고 협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3. 1. 역대 공관장 목록
대수 | 성명[1][2] | 임명 |
---|---|---|
제1대 | 문덕주(文德周) | 1966년 1월 20일 |
제2대 | 정일영(鄭一永) | 1971년 5월 18일 |
제3대 | 최완복(崔完福) | 1972년 9월 19일 |
제4대 | 송인상(宋仁相) | 1974년 4월 23일 |
제5대 | 안광호(安光鎬) | 1976년 7월 2일 |
제6대 | 박 근(朴 槿) | 1979년 11월 18일 |
제7대 | 최호중(崔浩中) | 1983년 3월 22일 |
제8대 | 신정섭(申貞燮) | 1984년 6월 29일 |
제9대 | 류종하(柳宗夏) | 1987년 4월 28일 |
제10대 | 정우영(鄭宇永) | 1989년 4월 27일 |
제11대 | 김이명(金以銘) | 1992년 7월 2일 |
제12대 | 문창화(文昌華) | 1995년 6월 27일 |
제13대 | 이재춘(李在春) | 1998년 6월 24일 |
제14대 | 최대화(崔大和) | 1999년 3월 8일 |
제15대 | 박양천(朴楊千) | 2001년 9월 17일 |
제16대 | 오행겸(吳行兼) | 2003년 7월 6일 |
제17대 | 정우성(丁宇聲) | 2006년 4월 7일 |
제18대 | 박준우(朴晙雨) | 2008년 9월 30일 |
제19대 | 안호영(安豪榮) | 2011년 3월 24일 |
제20대 | 김창범(金昌範) | 2012년 5월 23일 |
제21대 | 안총기(安總基) | 2015년 4월 28일 |
제22대 | 김형진(金炯辰) | 2017년 1월 27일 |
제23대 | 윤순구(尹淳九) | 2019년 12월 16일 |
제24대 | 유정현(柳靜鉉) | 2023년 6월 2일 |
참조
[1]
서적
한국 외교 60년
http://www.mofat.go.[...]
2015-02-21
[2]
웹인용
대사관약사
http://overseas.mofa[...]
주 빌기에 대한민국 대사관
2018-10-10
[3]
웹인용
대사관 약사
https://overseas.mof[...]
2022-09-20
[4]
뉴스
海外(해외)공관장 17명人事(인사)
https://newslibrary.[...]
2022-09-20
[5]
서적
1990 외교백서
https://www.mofa.go.[...]
대한민국 외무부
2022-09-20
[6]
뉴스
駐韓(주한) EC대표부 年内(연내)에 설치키로
https://newslibrary.[...]
2022-09-20
[7]
뉴스
"交流(교류)물꼬"協力(협력)파트너 기대
https://newslibrary.[...]
2022-09-20
[8]
뉴스
尹(윤)정부, 브뤼셀에 駐(주)나토 대표부 둔다…"對(대)유럽 플랫폼"
https://www.yna.co.k[...]
2022-09-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