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 미국 우주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한 미국 우주군은 주한 미군 내 우주군 조직으로, 미국 우주군 창설 이전 주한 미국 공군 예하 부대 시절부터 시작되었다. 제7공군에 우주작전관 보직이 존재했다. 초대 사령관은 조슈아 M. 맥컬리온 중령이며, 2024년 12월 14일부터 현직으로 재임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우주군 - 공군우주사령부
공군우주사령부는 1982년 창설된 미국 공군 사령부로, 인공위성 관리, 탄도 미사일 감시, 우주 통제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미국 우주군 창설 이후 관련 부대가 이관되었고 대한민국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 2022년 설립된 단체 - 제11공수사단
제11공수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창설되어 아시아-태평양 전선의 주요 전투에 참여하고 일본 점령 임무를 수행했으며, 2022년 알래스카 육군을 기반으로 재소집되어 현재 미 육군의 북극 작전 수행을 위한 핵심 부대로 활동하고 있다. - 2022년 설립된 단체 - 저스트 스톱 오일
저스트 스톱 오일은 새로운 화석 연료 면허 및 생산 계약에 반대하며 비폭력 직접 행동과 시민 저항을 통해 화석 연료 개발 중단을 요구하는 영국의 기후 운동 단체이다.
주한 미국 우주군 | |
---|---|
주한 미국 우주군 | |
![]() | |
원어 이름 | United States Space Forces Korea |
약칭 | USSPACEFOR-KOR |
활동 기간 | 2022년 |
국가 | 미국 |
소속 | 미국 우주군 |
규모 | 대대 |
주둔지 | 오산 공군기지 |
웹사이트 | 공식 URL |
지휘관 명칭 | 사령관 |
지휘관 | 조슈아 M. 맥컬리온 |
지휘관2 명칭 | 부사령관 |
지휘관2 | 찰스 테일러 |
지휘관3 명칭 | 주임원사 |
지휘관3 | 숀 스태포드 |
시작일 | 2022년 12월 14일; 17개월 |
소속 국가 | 미국 |
군종 | 미국 우주군 |
종류 | 구성군 사령부 |
역할 | 우주 작전 |
규모 | ~20명 |
지휘 체계 | 주한미군 미국 우주군 - 인도 태평양 |
본부 | 오산 공군기지, 대한민국 |
사령관1 | 조슈아 M. 맥컬리온 중령 |
사령관1 직책 | 사령관 |
사령관2 | 찰스 테일러 소령 |
사령관2 직책 | 부사령관 |
사령관3 | 숀 L. 스태포드 원사 |
사령관3 직책 | 주임원사 |
2. 역사
미국 제7공군에 우주작전관 보직이 존재했으며, 이들은 공군 사령관에게 우주 작전에 관한 정책 보좌를 담당했다.[5][6]
2. 1. 미국 제7공군 우주사령부 예하
미국 제7공군에는 우주작전관 보직이 존재하였다.[6] 우주작전관(DIRSPACEFOR)은 공군 사령관에게 우주 작전에 관한 정책 보좌를 담당하는 역할이었다.[5]3. 역대 사령관
대수 | 사진 | 이름 | 임기 시작 | 퇴임 | 임기 기간 | 비고 |
---|---|---|---|---|---|---|
1 | ![]() | 조슈아 M. 맥컬리온 | 2022년 12월 14일 | 현직 | 1년 156일 |
참조
[1]
웹인용
U.S. is putting a space force unit in Korea
https://koreajoongan[...]
2022-11-27
[2]
웹인용
Engineers in South Korea design U.S. Space Force headquarters 'from scratch'
https://www.army.mil[...]
[3]
웹사이트
https://www.stripes.[...]
[4]
웹인용
Space Force to Establish Components for INDOPACOM, CENTCOM, Korea by End of 2022
https://www.airandsp[...]
2022-11-02
[5]
웹인용
Space Force planning for new component in the Middle East alongside AFCENT
https://www.airforce[...]
2021-08-11
[6]
문서
https://static.e-pu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