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장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죽장면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에 속한 면이다. 757년 장진현으로 시작하여 고려 시대에는 죽장부곡으로 경주에 편입되었고, 조선 시대에는 죽장현이 되었다. 1906년 죽남면과 죽북면으로 분면되어 청하군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영일군에 속하게 되었다. 1934년 죽남면과 죽북면이 합병되어 죽장면이 되었으며, 1995년 포항시와 영일군이 통합되면서 포항시 북구 죽장면으로 변경되었다. 현재 입암리 등 19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죽장초등학교, 서포중학교, 포항보건고등학교 등의 교육 시설과 농업인상담소, 파출소, 금융 기관, 의료 시설, 경상북도수목원 등의 공공 시설이 위치해 있다. 국도 제31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제69호선, 지방도 제921호선 등 여러 도로가 죽장면을 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4년 설치 - 유대인 자치주
유대인 자치주는 1934년 소련의 스탈린에 의해 유대인 인구에게 이디시 문화 계승을 위한 영토를 제공하기 위해 성립되었으나, 현재는 러시아인이 대다수를 차지하며 유대인 문화 부흥을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는 러시아의 유일한 자치주이다. - 1934년 설치 - 금성면 (의성군)
금성면은 경상북도 의성군에 속하며 17개의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고, 금성산, 경덕왕릉,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등의 관광지와 탑리시외버스터미널, 탑리역 등의 교통 시설, 그리고 금성초등학교 등의 교육 시설이 위치해 있다. - 포항시 북구 - 송라면
포항시 북구에 있는 송라면은 광천리, 대전리, 방석리 등 8개의 법정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연산, 보경사, 화진해수욕장 등의 명소와 교육, 금융, 의료 시설이 있고, 동해대로, 보경로 등의 도로망이 갖춰져 있다. - 포항시 북구 - 기계면
기계면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에 위치한 면으로, 신라 시대에 기계현으로 개칭된 후 영일군을 거쳐 포항시에 통합되었으며, 기계환승센터를 중심으로 교통이 연결되고 기계고등학교 등의 교육 기관이 위치한 역사적으로 인물을 많이 배출한 지역이다. - 포항시의 행정 구역 - 영일군
영일군은 경상북도에 있던 군으로,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살았고 삼한시대에는 진한의 근기국, 신라시대에는 근오지현, 고려시대에는 영일현 또는 연일현으로 불리다 1914년에 연일군, 흥해군, 청하군, 장기군이 통합되어 설치되었으나 1995년에 포항시와 통합되어 현재의 포항시 북구와 남구가 되었다. - 포항시의 행정 구역 - 용흥동
용흥동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에 위치한 행정 구역으로, 고려 시대부터 역사를 이어왔으며, 현재는 상업 시설, 교육 기관, 공공 기관, 의료 기관 등 다양한 시설과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죽장면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죽장면 기본 정보 | |
면사무소 위치 | 북구 죽장면 새마을로 3610 |
홈페이지 | 죽장면 행정복지센터 |
일반 정보 | |
한자 표기 | 竹長面 |
영문 표기 | Jukjang-myeon |
광역시도 | 경상북도 |
시군구 | 포항시 북구 |
면적 | 235.71 |
법정리 수 | 19 |
행정리 수 | 23 |
반 수 | 105 |
인구 통계 | |
세대 수 | 1,488 (2012년 6월 1일 기준) |
인구 | 2762 명 (2022년 3월 기준) |
2. 역사
죽장면은 포항시 북서쪽 약 40km 지점에 있는 산간 오지이며, 4개 시군(포항시, 영천시, 청송군, 영덕군)과 13개 면[1]에 인접해 있다.
이전 명칭은 알 수 없으며, 757년 장진현(長鎭縣)이 되어 임고군(臨皐郡 : 영천시)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죽장부곡(竹長部曲)으로 강등되어 경주에 편입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부곡 제도가 폐지되면서 죽장현이 되었으나, 이후 주현으로 승격되지 못하고 죽장면이 되었다.
1906년 경주군 죽장면이 죽남면과 죽북면으로 분면되어 영천의 월경지인 입암봉대(立巖烽臺)와 함께 청하군에 편입되었다.[3] 1914년 청하군이 폐지되면서 영일군 죽남면·죽북면이 되었다. 1934년 죽남면과 죽북면이 합병하여 19개 동을 관할하는 죽장면이 되었다. 1958년 4월 22일 상옥동·하옥동을 관할하는 상옥출장소가 설치되었다.[3] 1988년 5월 7일 동을 리로 개정하였다.[3] 1995년 1월 1일 영일군이 포항시에 합병되면서 포항시 북구 죽장면이 되었다.[3]
2. 1. 고대 ~ 조선 시대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장진현(長鎭縣)으로 칭하고 임고군(臨皐郡 : 영천시)의 영현이 되었다.[3]고려 시대에는 죽장부곡(竹長部曲)으로 강등되어 경주에 편입되었다.[3]
조선 시대에는 부곡 제도가 폐지되면서 죽장현이 되었으나, 이후 주현으로 승격되지 못하고 죽장면이 되었다.[3]
2. 2. 일제강점기 ~ 현재
1906년 경주군 죽장면이 죽남면과 죽북면으로 분면되어 영천의 월경지인 입암봉대(立巖烽臺)와 함께 청하군에 편입되었다.[3] 1914년 청하군이 폐지되면서 영일군 죽남면·죽북면이 되었다. 죽남면은 17개 동을 10개 동으로, 죽북면은 13개 동을 9개 동으로 개편하였다. 죽남면사무소는 입암리에, 죽북면사무소는 합덕리에 두었다.[3] 1934년 죽남면과 죽북면이 합병하여 19개 동을 관할하는 죽장면이 되었다. 면사무소는 종전의 죽남면사무소에 두었다.[3] 1958년 4월 22일 상옥동·하옥동을 관할하는 상옥출장소가 설치되었다.[3] 1988년 5월 7일 동을 리로 개정하였다.[3] 1995년 1월 1일 영일군이 포항시에 합병되면서 포항시 북구 죽장면이 되었다.[3]2. 3. 1914년의 행정구역과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
1914년 | 현재 | ||
---|---|---|---|
면 | 리 | 시·구·면 | 리 |
죽북면 (竹北面) | 방흥동, 현내동, 두마동, 봉계동, 월평동, 합덕동, 석계동, 상사동, 하사동 | 포항시 북구 죽장면 | 방흥리, 현내리, 두마리, 봉계리, 월평리, 합덕리, 석계리, 상사리, 하사리 |
죽남면 (竹南面) | 입암동, 침곡동, 감곡동, 일광동, 상옥동, 가사동, 정자동, 지동동, 하옥동, 매현동 | 입암리, 침곡리, 감곡리, 일광리, 상옥리, 가사리, 정자리, 지동리, 하옥리, 매현리 |
[3]
죽장면은 19개의 법정리와 33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1]
죽장면에는 공공 기관, 금융 기관, 의료 기관이 있다.
3. 행정 구역
법정리 행정리 |
4. 교육
학교명 소재지 비고 죽장초등학교 포항시 북구 죽장면 새마을로 3575 서포중학교 포항시 북구 죽장면 일광길 2 포항보건고등학교 포항시 북구 죽장면 입암리 643-5 죽장초등학교 상옥분교장 포항시 북구 죽장면 죽장로 1815 죽장국민학교 가사분교장 포항시 북구 죽장면 죽장로 713 1992년 폐교 상옥국민학교 하옥분교장 포항시 북구 죽장면 죽장로 2805 1993년 폐교 정자국민학교 포항시 북구 죽장면 새마을로 2958번길 5 1995년 폐교 죽장국민학교 두마분교장 포항시 북구 죽장면 면봉산길 828 1995년 폐교 죽장초등학교 현내분교장 포항시 북구 죽장면 면봉산길 228-9 1996년 폐교 죽장초등학교 상사분교장 포항시 북구 죽장면 상사리 1142 2001년 폐교 죽장초등학교 죽북분교장 포항시 북구 죽장면 합석길 7 2008년 폐교 기계중학교 상옥분교장 포항시 북구 죽장면 죽장로 1860 2021년 폐교
5. 공공 기관 및 금융, 의료 시설
기관 종류 기관명 소재지 죽장면 농업인 상담소 포항시 북구 죽장면 새마을로 3605 죽장 파출소 포항시 북구 죽장면 새마을로 3606 기계농협 죽장지점 포항시 북구 죽장면 새마을로 3604 죽장우체국 포항시 북구 죽장면 새마을로 3609 죽장제일새마을금고 포항시 북구 죽장면 죽장로 1648 죽장제일새마을금고 입암지점 포항시 북구 죽장면 새마을로 3624 두마보건진료소 포항시 북구 죽장면 면봉산길828번길 6 상사보건진료소 포항시 북구 죽장면 합사길 889 상옥보건진료소 포항시 북구 죽장면 죽장로 1799 죽장보건지소 포항시 북구 죽장면 새마을로 3610 합덕보건진료소 포항시 북구 죽장면 합석길 15
5. 1. 공공 기관
죽장면에는 다음과 같은 공공 기관이 있다.
5. 2. 금융 기관
기관명 | 소재지 | 비고 |
---|---|---|
기계농협 죽장지점 | 포항시 북구 죽장면 새마을로 3604 | |
죽장우체국 | 포항시 북구 죽장면 새마을로 3609 | |
죽장제일새마을금고 | 포항시 북구 죽장면 죽장로 1648 | |
죽장제일새마을금고 입암지점 | 포항시 북구 죽장면 새마을로 3624 |
5. 3. 의료 기관
기관명 | 소재지 | 비고 |
---|---|---|
두마보건진료소 | 포항시 북구 죽장면 면봉산길828번길 6 | |
상사보건진료소 | 포항시 북구 죽장면 합사길 889 | |
상옥보건진료소 | 포항시 북구 죽장면 죽장로 1799 | |
죽장보건지소 | 포항시 북구 죽장면 새마을로 3610 | |
합덕보건진료소 | 포항시 북구 죽장면 합석길 15 |
6. 주요 시설 및 관광
죽장면은 시청에서 북서쪽으로 약 40km 떨어진 산간 오지이며, 4개 시군(포항시, 영천시, 청송군, 영덕군)과 13개 면에 인접해 있다.[1] 전체 면적의 89%가 임야로, 가사천, 자호천, 현내천, 하옥계곡 등 전 지역의 자연 경관이 수려한 청정 계곡이 있어 피서 및 행락 지역으로 적합하다.[2] 문화재로는 입암서원일원(경상북도 기념물 제70호), 입암서원의 향나무(경상북도 기념물 제71호), 일제당, 만활당 등이 있다.
시설명 | 소재지 | 비고 |
---|---|---|
경상북도수목원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죽장면 수목원로 647 |
7. 교통
죽장면은 시청에서 북서쪽으로 약 40km에 위치한 산간오지이며, 포항시, 영천시, 청송군, 영덕군의 4개 시군, 13개 면에 인접해 있다.[1]
구분 | 도로 이름 |
---|---|
로 | 새마을로 (국도 제31호선), 부남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포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 기북로 (지방도 제921호선), 수목원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죽장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 |
길 | 가사길, 감곡길, 면봉산길, 베틀봉길, 병보길, 병보천길, 수석봉길, 월평길, 일광길, 정자길, 침곡길, 합사길, 합석길 |
참조
[1]
문서
포항시, 영천시, 청송군, 영덕군의 면 목록
[2]
웹사이트
죽장면 지역특성
http://jukjang.ipoha[...]
2012-07-10
[3]
문서
조선 전도부군면리동 명칭 일람(1917년)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포항 죽장면 지방도 산사태…전봇대 쓰러지며 300가구 정전
포항 죽장면 지방도에서 산사태 발생…차량 통행 제한
‘4시간 새 110㎜’ 포항 죽장면 가사리 일대 산사태로 정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