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특색 사회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 특색 사회주의는 중국 공산당이 주도하는 중국의 사회주의 노선으로, 마오쩌둥 시대의 사회주의 정책 실패 이후 덩샤오핑의 개혁개방 정책을 통해 발전했다. 덩샤오핑은 사회주의 시장경제를 도입하여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며, 장쩌민, 후진타오, 시진핑으로 이어지는 지도부 하에 이론과 정책이 발전해왔다. 이 노선은 마르크스-레닌주의와 마오쩌둥 사상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중국의 현실에 맞는 독자적인 이론을 추구하며, 중국 공산당의 일당 지배 체제를 유지한다. 중국 특색 사회주의는 중국을 세계 2위의 경제 대국으로 성장시키는 데 기여했지만, 정치적 통제 강화, 불확실한 개혁, 부정부패 등의 문제점도 안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공산당에 관한 -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는 중국공산당의 최고 군사 기관으로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와 함께 중국의 군사력을 통솔하며, 주석, 부주석, 위원으로 구성되고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은 사실상 중국의 최고 지도자이며, 판공청, 기율검사위원회, 전략위원회 등 산하 기구를 통해 군사 업무를 수행한다. - 중국공산당에 관한 -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는 중국 공산당과 중화인민공화국의 최고 의사 결정 기구이며, 정치국의 일상 업무를 수행하고, 1928년 설립 이후 명칭 변경과 권력 강화 과정을 거쳐 현재 7명의 상무위원으로 구성된다. - 중국공산당의 이념 - 마르크스-레닌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는 마르크스의 사상을 레닌과 후계자들이 재해석하고 발전시킨 이념으로, 생산수단의 공동소유와 계급투쟁을 중시하며 공산당 주도의 사회주의 혁명을 통해 평등 사회를 목표로 했으나, 권위주의 통치, 냉전, 소련 붕괴 등으로 영향력이 감소했고 현재 일부 국가에서만 권력을 유지하며 엇갈린 평가를 받는다. - 중국공산당의 이념 - 과학적 발전관
과학적 발전관은 후진타오가 제시한 중국 공산당의 통치 이념으로, 인민 중심의 지속가능한 전면적 발전을 추구하며 경제 발전, 사회적 형평성, 환경 보전을 중시하는 포괄적인 발전 개념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경제사 - 과학적 발전관
과학적 발전관은 후진타오가 제시한 중국 공산당의 통치 이념으로, 인민 중심의 지속가능한 전면적 발전을 추구하며 경제 발전, 사회적 형평성, 환경 보전을 중시하는 포괄적인 발전 개념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경제사 - 인민공사
인민공사는 중화인민공화국에서 농업 생산성 증대와 사회주의 사회 건설을 목표로 농촌 생활 전반을 통제했던 집단화 체제이다.
중국 특색 사회주의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명칭 | 중국 특색 사회주의 |
로마자 표기 | Zhōngguó Tèsè Shèhuìzhǔyì |
한어 병음 | Jhongguo tè-sè shè-huèi-jhǔ-yì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Chung1-kuo2 t'e4-se4 she4-hui4-chu3-i4 |
국제 음성 기호 | /ʈʂʊŋ˥kwo˧˥ tʰɤ˥˩sɤ˥˩ ʂɤ˥˩xweɪ˥˩ʈʂu˨˩˦i˥˩/ |
주음부호 | ㄓㄨㄥ ㄍㄨㄛˊ ㄊㄜˋ ㄙㄜˋ ㄕㄜˋ ㄏㄨㄟˋ ㄓㄨˇ ㄧˋ |
약칭 | SCC |
영어 명칭 |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
이념 | |
이념 | 사회주의 |
관련 정보 | |
관련 인물 | 덩샤오핑 |
관련 문서 | 덩샤오핑 이론 |
관련 정책 | 개혁개방 |
관련 경제 체제 | 사회주의 시장경제 |
정치 체제 | |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
역사 | |
제창 시기 | 1984년 덩샤오핑 |
주요 내용 | |
특징 | 사회주의 기본 원칙 유지 시장경제 요소 도입 국가 주도 경제 발전 중국 특색 반영 |
목표 | 부강하고 민주적이며 문명화된 현대 사회주의 국가 건설 인민의 물질 문화 생활 수준 향상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 실현 |
핵심 개념 | 개혁개방 선부론 일국양제 사회주의 시장경제 |
기타 | |
제창자 | 덩샤오핑 |
현행 지도자 | 시진핑 |
현행 이념 |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 |
2. 역사
1980년대, 중국공산당은 소련처럼 붕괴될 것을 우려하여 기존의 소련식 사회주의 일부를 개량하고, 소련 측 서술을 중국 측 서술로 전환하여 "중국 특색 사회주의"라는 새로운 명분을 만들었다.
중국 경제 붕괴를 막기 위해, 중국 특색 사회주의의 "특색"은 "극단적인 유연성"을 의미한다. 즉, "일당 독재를 유지하는 것 외에는 지켜야 할 원칙이 거의 없고, 경제에 유익한 정책이라면 무엇이든 즉시 채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중국공산당은 매년 이 지도 방침의 세부 사항을 조정하고, 큰 변화에도 이견을 억누르며, 뉴스, 신문, 인터넷, 라디오 등의 미디어를 통해 이 제도의 우수성을 선전하는 한편, 이미 정한 계획이 잘못되어도 강행한다.[13][14][15]
1978년부터 2018년까지 중화인민공화국은 중국 특색 사회주의를 활용하여 세계 2위의 경제 대국이 되었고, 2018년부터 미국과 세계적인 패권을 놓고 공개적으로 미중 무역 전쟁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2019년부터 시작된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중국 경제가 침체기에 들어서면서, 제도, 수단, 이론 등에만 매달리고 현실 세계의 자연, 인권, 행복도 등을 무시해 온 중국 특색 사회주의는 2020년대 이후 국제 사회에서 점차 적용되지 않을 것이다.[16][17]
마오쩌둥 시대에는 대약진 운동과 문화대혁명 등 극단적인 사회주의 정책으로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적 혼란이 발생했다.[1] 덩샤오핑은 흑묘백묘론을 주장하며 실용주의적 노선을 채택하고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했다. 제11기 중앙위원회 6차 전체회의에서는 '사회주의 초기 단계론'이 채택되어 개혁개방 정책의 이론적 근거가 되었다.
장쩌민은 3개 대표론을 제시하며, 중국 공산당이 노동자, 농민뿐만 아니라 기업가와 지식인 등 새로운 사회 계층도 대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6] 후진타오는 '과학적 발전관'을 제시하며 경제 성장뿐만 아니라 사회 발전과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시진핑은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를 내세우며,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이라는 '중국몽'을 실현하기 위해 공산당의 영도적 역할과 국가 통제를 강화하고 있다.[4]
2. 1. 마오쩌둥 시대
마오쩌둥은 중국 혁명을 성공으로 이끌고 중화인민공화국을 수립했지만, 대약진 운동과 문화대혁명 등 극단적인 사회주의 정책으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적 혼란을 초래했다.[1] 1950년대 초, 경제학자 위광위안(Yu Guangyuan), 쉐무챠오(Xue Muqiao), 쑨예팡(Sun Yefang)은 중국의 낮은 생산력 경제가 과도기임을 강조했다.[1] 1958년 11월 제1차 정저우(Zhengzhou) 회의에서 마오쩌둥은 상품 관계의 필요성을 논의하면서 중국이 "사회주의 초기 단계"에 있다고 언급했지만,[1] 이 개념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지는 않았다.[1]2. 2. 덩샤오핑 시대와 개혁개방
덩샤오핑은 미국과 일본 등 자본주의 강대국을 직접 방문하여 자본주의를 살펴본 후, "검은 고양이든 흰 고양이든 쥐만 잘 잡으면 된다"는 흑묘백묘론을 주장했다. 이는 중국을 잘 살게 하기 위해서라면 사회주의든 자본주의든 상관없다는 실용주의적 노선을 의미한다.[21]덩샤오핑의 개혁개방 노선은 흑묘백묘론으로 대표되는 실용주의 노선에 따라, 공산주의식 평준화보다는 "부유할 수 있는 사람부터 먼저 부유해져라"라는 선부론을 주장했다.[22]
1978년 5월 5일, 경제학자 위광위안(于光遠) 등이 덩샤오핑의 지시로 "노동에 따른 분배의 사회주의 원칙 실행에 관하여"(贯彻执行按劳分配的社会主义原则중국어)라는 기사를 작성했다. 이 기사는 중국이 아직 공산주의 사회에 도달하는 첫 단계에 있으며 진정한 사회주의 사회가 되지 못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5] 덩샤오핑은 이 기사를 읽고 "잘 쓰여졌고, 노동에 의한 분배의 본질이 자본주의가 아니라 사회주의임을 보여준다"는 메모를 남겼다.[5]
1981년 제11기 중앙위원회 6차 전체회의에서 '사회주의 초기 단계론'이 채택되어 실용주의 노선과 개혁개방 정책의 이론적 근거가 되었다.
1987년 제13차 당 대회에서 자오쯔양은 사회주의 초기 단계론을 더욱 발전시켜, 국유제를 기반으로 하는 계획 상품경제 도입을 제안했다. 그는 공산주의 좌파의 실패는 중국이 자본주의를 거치지 않고 사회주의에 도달할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고, 공산주의 우파의 실패는 중국이 생산력을 현대화해야 하는 사회주의 초기 단계를 건너뛸 수 있다는 "유토피아적 입장"을 고수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2. 3. 덩샤오핑 이후
덩샤오핑의 개혁개방 이후, 중국 특색 사회주의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장쩌민은 1997년 5월 29일 중앙당교 연설과 9월 12일 제15차 전국대표대회 보고에서 '3개 대표론'을 제시하며, 중국 공산당이 노동자, 농민뿐만 아니라 기업가와 지식인 등 새로운 사회 계층도 대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6] 그는 사회주의 초기 단계가 최소 100년 이상 지속될 것이라고 예측했다.[7] 장쩌민은 사회주의 초기 단계를 발전시키기 위한 세 가지 점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중국 특색 사회주의 경제 발전: 생산력을 해방하고 현대화하면서 시장 경제를 발전시켜 경제를 발전시키는 것.
# 중국 특색 사회주의 정치 건설: "법에 따라 국가를 관리하고", 당 아래 사회주의 민주주의를 발전시키고 "인민을 국가의 주인으로 만드는" 것.
# 중국 특색 사회주의 문화 건설: 마르크스주의를 인민을 훈련하는 지침으로 삼아 그들에게 "높은 이상, 도덕적 청렴성, 좋은 교육, 강한 규율 의식"을 심어주고 현대화, 세계 및 미래의 필요에 맞는 국가 과학적이고 대중적인 사회주의 문화를 발전시키는 것.
후진타오는 '과학적 발전관'을 제시하며, 경제 성장뿐만 아니라 사회 발전과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시진핑은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를 내세우며,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이라는 '중국몽'을 실현하기 위해 공산당의 영도적 역할과 국가 통제를 강화하고 있다.[4]
3. 주요 내용
중국 특색 사회주의는 마르크스주의를 기반으로 한 중국공산당의 공식 이념이다. 이 이념은 중국이 사회주의의 제1단계에 있기 때문에 국영 부문에 의해 지배되는 사회주의 시장경제의 창설을 지지하고 있다.[10] 중국 정부는 마르크스주의를 금지하지는 않지만, 새로운 경제 체제에 적응하기 위해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용어와 개념을 발전시켜 그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중국 공산당은 사회주의가 경제 정책과 양립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현재 중국은 개발도상국으로 발전할 수 있는 유연한 경제 정책을 설명하는 사회주의 제1단계에 있다고 본다.
장쩌민은 1997년 5월 29일 중앙당 학교에서의 연설과 9월 12일 제15차 CPC 전국대표대회 보고에서, 제11차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가 중국과 사회주의가 직면한 문제에 대한 과학적으로 정확한 프로그램을 수립했다고 주장했다. 장쩌민에 따르면, 사회주의의 제1단계는 “미발달 단계”였다. 사회주의의 기본적인 과제는 생산력을 개발하는 것이며, 따라서 제1단계의 주요 목표는 국가의 생산력을 더욱 개발하는 것이어야 한다. 사회주의 제1단계에서 중국 사회의 주요 모순은 “인민의 증가하는 물질적, 문화적 욕구와 생산의 저하”이며, 이 모순은 중국이 사회주의 제1단계 과정을 완료할 때까지 지속될 것이므로, 경제 발전은 이 단계 동안 중국 공산당의 주요 초점이 되어야 한다.
장쩌민은 사회주의 제1단계를 발전시키기 위한 세 가지 요점을 제시했다.
- 중국 특색 사회주의 경제를 발전시킨다는 것은 시장경제를 발전시키면서 생산력을 해방하고 현대화함으로써 경제를 발전시키는 것이다.
- 중국 특색 사회주의 정치를 건설한다는 것은 “법에 따라 국정을 관리하고”, 당의 지도하에 사회주의 민주화를 추진하며, “국민을 나라의 주인으로 삼는 것”이다.
- 중국 특색 사회주의 문화를 실현한다는 것은 마르크스주의를 지침으로 하여, “높은 이상, 도덕적 성실성, 좋은 교육, 강한 규율 의식을 갖게 하고, 현대화·세계·미래의 요구에 맞는 국민 과학, 인민의 사회주의 문화를 발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장쩌민은 사회주의 제1단계가 언제까지 지속될 것이냐는 질문에 “사회주의 현대화가 주요 성과를 거두기까지는 최소 100년이 걸릴 것이다”라고 답했다. 중국의 국가 헌법은 “중국은 앞으로 장기간 사회주의 제1단계에 있을 것”이라고 명시하고 있으며, 장쩌민도 더 발전된 단계에 도달하려면 최소 100년이 걸릴 것이라고 믿었다.
3. 1. 사회주의 시장경제
덩샤오핑은 자본주의에도 계획경제가 있듯 사회주의에도 시장경제가 있다는 사회주의 시장경제론을 주장했다. 이는 중화인민공화국뿐만 아니라 베트남에도 큰 영향을 주었으며, 우회적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도 전파되었다.[21] 덩샤오핑은 미국과 일본 등 강대국을 방문해 자본주의를 살펴본 후, "검은 고양이든 흰 고양이든 쥐만 잘 잡으면 되며 중국을 잘살게 하기 위해서라면 사회주의든 자본주의든 상관없다"고 주장했다.[21] 그는 남순강화(南巡講話)에서 "계획과 시장 경제는 사회주의와 자본주의의 본질적인 차이가 아니다. 계획 경제는 사회주의의 정의가 아니다. 왜냐하면 자본주의 하에서도 계획이 있기 때문이다. 시장 경제는 사회주의 하에서도 발생한다. 계획과 시장 경제는 모두 경제 활동을 통제하는 방법이다"라고 언급했다.[9]1980년대 중국 경제학자들은 가치 법칙(노동 가치설의 표현)에 대한 마르크스 이론이 중국 가격 체계의 기반이 될 수 없음을 분명히 인식했다. 그들은 마르크스가 가치 법칙 이론을 "'구체화된 노동 시간'의 표현"으로 의도하지 않았다고 결론지었다. 마르크스의 "생산 가격" 개념은 시장에 의해 가격이 결정되므로 소비에트식 계획 경제에서는 의미가 없었다. 소비에트 계획가들은 계획 경제에서 가격을 합리화하기 위해 가치 법칙을 사용했지만, 마르크스에 따르면 경쟁 시장이 이윤율의 균형을 통해 생산 가격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경쟁 시장 없이는 가격 조정이 불가능했다. 이러한 가치 법칙에 대한 소비에트 해석의 거부는 중국이 사회주의 초기 단계에 있다는 인식을 수용하게 했다.
중국은 1979년 이래 에너지, 생산 원자재, 수송 부문 가격을 상향 조정하고, 중요도가 낮은 소비재 가격을 자유화했다. 1986년에는 자전거, 텔레비전, 선풍기, 세탁기 등 주요 내구성 소비재 가격도 자유화했다. 점진적 개혁으로 국가 고정가격, 부동가격, 협의 가격, 시장 가격 등 다양한 가격 결정 방식이 공존하게 되었다. 품질에 따른 가격 차이도 5~20% 범위 내에서 인정되어 생산품 품질 향상을 유도했다.
1985년부터 1995년까지 사회 전체 소매 상품 판매액 중 국가 고정가격, 국가 지도 가격, 자유 시장 가격 비중은 변화했다. 생산재 시장 및 물자 교역 센터 발전으로 시장 기구 역할이 확대되었고, 가격 쌍궤제(가격 이중 제도)가 도입되어 국가 계획 초과 생산분에 시장 가격을 적용했다.
생산재 시장은 1979년부터 등장했고, 1984년부터 다양한 물자 교역 센터가 설립되었다. 1988년에는 성 및 시급 물자 교역 센터가 395개소, 현급이 1,000개소에 달했으며, 151개 대도시에 182개 강철 시장이 설립되었다. 특히 강소성은 1988년 강철 생산 총량의 91.6%가 생산재 시장을 통해 거래되었다. 1986년 말에는 1,588개 교역 센터가 설립되어 소비재 교역을 지원했다.
소규모 국영 상업 기구들은 1. 손익 책임, 2. 집체 소유 전환, 3. 개인 임대를 통해 효율성을 높였다.[25] 1987년 이후 국유기업은 경영 청부제와 임대제를 통해 시장 지향적인 독립 기업으로 전환되었다. 중대형 기업은 소유권은 국유로 유지하되 경영은 공개 경쟁으로 선정된 경영자에게 위임하고, 소형 기업은 경영자에게 유상 양도했다.[26]
소형 국유기업, 도시 집체기업, 농촌 향촌기업은 주식 합작 기업으로 전환되거나 민간에 매각되었다. 중대형 국유기업은 국유 독자 회사 또는 주식 회사로 전환되었고, 경영 악화 국유기업은 퇴출되었다.[27]
1978년 이후 사영기업이 출현했으며, 이는 기업 자산이 개인 소유이고 8명 이상을 고용하는 기업을 의미한다. 개체경제 활동 확대 조치로 소규모 개인 기업 활동이 확대되었다. 중국 당국은 사영기업에 대외 무역권을 부여하고, 1999년 개인독자기업법을 제정하여 개인 기업 설립을 허용했다.[28]
조세 체계 개혁(이개세)은 중앙 재정 수입 증가를 목표로 했다. 중대형 기업에는 55%, 소형 기업에는 10~55% 소득세를 부과하고, 납세 후 이윤을 국가 상납분과 기업 유보분으로 분배했다.[29] 1985년 1월부터 징수를 시작한 제2단계 이개세는 일시적 효과를 거두었으나, 불완전한 회계 및 감사 제도로 인해 기업 소득 증가 및 세금 부담 경감 시도가 발생했다.[30]
중화인민공화국은 2004년 헌법 개정을 통해 사유재산 불가침을 법제화하고, 2005년 제11차 5개년 계획에서 국가 핵심 기간 산업에 대한 개인 투자를 허용했다. 2010년 5월에는 민간 자본의 공공 부문 투자 확대를 위한 '신 36조'를 발표했다.[31]
중국 정부는 사유재산에 대한 이해가 고전 마르크스주의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주장한다. 당 이론가들은 중국이 반봉건적이자 반식민지적 국가였을 때 국유화를 채택했으므로 사회주의의 초기 단계에 있다고 주장한다. 이 때문에 상품 시장을 위한 상품 생산, 민간 부문의 존재, 기업 경영에서 이윤 동기에 대한 의존과 같은 특정 정책과 시스템 특징이 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생산 수단을 현대화하여 사회주의 발전을 더욱 발전시키는 한에서 허용되었다.
중국 공산당(CCP)은 여전히 사유재산을 비사회주의적이라고 간주한다. 그러나 당 이론가들에 따르면, 사유재산의 존재와 성장이 반드시 중국에서 사회주의를 약화시키거나 자본주의를 촉진하는 것은 아니다. 그들은 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가 사유재산의 즉각적인 폐지를 제안한 적이 없다고 주장한다. 엥겔스의 저서 ''공산주의 원칙''에 따르면, 프롤레타리아는 필요한 조건이 충족될 때만 사유재산을 폐지할 수 있다. 사유재산 폐지 이전 단계에서 엥겔스는 누진세, 높은 상속세 및 강제 채권 매입을 통해 사유 재산을 제한하는 동시에 국영 기업의 경쟁력을 활용하여 공공 부문을 확장할 것을 제안했다.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선진국과 관련하여 ''공산당 선언''에서 유사한 조치를 제안했지만, 중국이 경제적으로 낙후되었기 때문에 당 이론가들은 당의 사유 재산 처리에 대한 유연성을 요구했다. 당 이론가인 류수이위안(Liu Shuiyuan)에 따르면, 소련 당국이 전시 공산주의 프로그램 이후에 시작한 신경제정책 프로그램은 사회주의 당국이 유연성을 발휘한 좋은 사례이다.
당 이론가 리쉬아이(Li Xuai)는 사유재산은 필연적으로 자본주의적 착취를 수반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리는 사회주의 초기 단계에서는 사유 재산과 착취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초기 단계의 자본주의는 낡은 사회의 잔재를 이용하여 스스로를 건설한다고 말한다. 손련청(Sun Liancheng)과 임회용(Lin Huiyong)은 마르크스와 엥겔스가 ''공산당 선언'' 해석에서 부르주아지가 단독으로 소유하는 사유재산을 비판했지만, 모든 사람이 생산 수단을 소유하는 개인 소유는 다른 사람에 의해 착취될 수 없기 때문에 비판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마르크스가 탈자본주의 사회는 "결합된 사회적 개인 소유"의 재건을 의미한다고 썼기 때문에 개인 소유는 사회주의와 일치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3. 2. 정치 체제
덩샤오핑은 모택동 사망과 자신의 복권 후 5~6년 뒤인 1982년 9월 제12차 당대회를 통해 자신은 군, 후야오방은 당, 자오쯔양은 정을 맡는 3인 체제를 구성하였다. 그러나 민주화 운동으로 개혁 성향의 후야오방이, 톈안먼 항쟁으로 자오쯔양이 실각하였다.[33]덩샤오핑은 1987년 10월 제13차 당대회와 1989년 11월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직에서 사임했음에도, 1997년 2월 사망 시까지 공식 직함 유무와 관계없이 중국 최고 지도자로 인정되었다.[33]
3. 3. 사상과 문화
중국 특색 사회주의는 마르크스주의를 기반으로 한 중국공산당의 공식 이념이다. 이 이념은 중국이 사회주의의 제1단계에 있기 때문에 국영 부문에 의해 지배되는 사회주의 시장경제의 창설을 지지하고 있다.[10] 중국 정부는 마르크스주의를 금지하지는 않지만, 새로운 경제 체제에 적응하기 위해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용어와 개념을 발전시켜 그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중국 공산당은 사회주의가 경제 정책과 양립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현재 중국은 개발도상국으로 발전할 수 있는 유연한 경제 정책을 설명하는 사회주의 제1단계에 있다고 본다.당시 중국 공산당(CPC) 서기장이었던 장쩌민은 이 개념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했다. 1997년 5월 29일 중앙당 학교에서의 연설과 9월 12일 제15차 CPC 전국대표대회 보고에서, 장쩌민은 제11차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가 중국과 사회주의가 직면한 문제에 대한 과학적으로 정확한 프로그램을 수립했다고 주장했다. 장쩌민에 따르면, 사회주의의 제1단계는 “미발달 단계”였다. 사회주의의 기본적인 과제는 생산력을 개발하는 것이며, 따라서 제1단계의 주요 목표는 국가의 생산력을 더욱 개발하는 것이어야 한다. 사회주의 제1단계에서 중국 사회의 주요 모순은 “인민의 증가하는 물질적, 문화적 욕구와 생산의 저하”이며, 이 모순은 중국이 사회주의 제1단계 과정을 완료할 때까지 지속될 것이므로, 경제 발전은 이 단계 동안 중국 공산당의 주요 초점이 되어야 한다.
장쩌민은 사회주의 제1단계를 발전시키기 위한 세 가지 요점을 제시했다.
- 중국 특색 사회주의 경제를 발전시킨다는 것은 시장경제를 발전시키면서 생산력을 해방하고 현대화함으로써 경제를 발전시키는 것이다.
- 중국 특색 사회주의 정치를 건설한다는 것은 “법에 따라 국정을 관리하고”, 당의 지도하에 사회주의 민주화를 추진하며, “국민을 나라의 주인으로 삼는 것”이다.
- 중국 특색 사회주의 문화를 실현한다는 것은 마르크스주의를 지침으로 하여, “높은 이상, 도덕적 성실성, 좋은 교육, 강한 규율 의식을 갖게 하고, 현대화·세계·미래의 요구에 맞는 국민 과학, 인민의 사회주의 문화를 발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장쩌민은 사회주의 제1단계가 언제까지 지속될 것이냐는 질문에 “사회주의 현대화가 주요 성과를 거두기까지는 최소 100년이 걸릴 것이다”라고 답했다. 중국의 국가 헌법은 “중국은 앞으로 장기간 사회주의 제1단계에 있을 것”이라고 명시하고 있다. 장쩌민도 더 발전된 단계에 도달하려면 최소 100년이 걸릴 것이라고 믿었다.
4. 평가와 비판
중국 특색 사회주의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이 공존한다. 긍정적 평가로는 지난 40여 년 동안 중국을 세계 2위의 경제 대국으로 성장시키고, 수억 명의 인구를 빈곤에서 구제했으며, 국민들의 생활 수준을 전반적으로 향상시켰다는 점이 있다.[16][17] 덩샤오핑은 톈안먼 사건에도 불구하고 중국 개혁개방의 아버지로 불리며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부정적 평가로는 경제 성장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들이 지적된다. 지방 정부와 생산 단위의 자율성 확대로 생산성이 증가했지만, 에너지 및 원자재 부족, 통화 팽창, 물가 폭등을 야기했다.[32] 또한, 지방 정부의 이윤 중심 투자로 산업 구조 왜곡, 중앙 정부의 거시경제 조절 능력 약화, 경제 혼란과 정치·사회적 위기 심화, 생산성 저하, 지방 정부 간 시장 봉쇄, 정경유착, 국가 재력 분산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32]
1980년대 중국공산당은 소련식 사회주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일당 독재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극단적인 유연성'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 특색 사회주의를 내세웠다.[13] 이는 경제에 유익한 정책이라면 무엇이든 채택할 수 있다는 의미였다.[13]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경제가 침체되면서, 제도, 수단, 이론에만 치중하고 현실 세계의 자연, 인권, 행복도 등을 무시해 온 중국 특색 사회주의는 2020년대 이후 국제 사회에서 점차 외면받고 있다는 평가도 있다.[16][17] 일부 연구자들은 중국의 경제 이론이 중국 특색 사회주의가 아니라 중국 특색 자본주의라고 주장하기도 한다.[19]
4. 1. 긍정적 평가
중국 특색 사회주의는 지난 40여 년 동안 중국을 세계 2위의 경제 대국으로 성장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 수억 명의 인구를 빈곤에서 구제하고, 국민들의 생활 수준을 전반적으로 향상시켰다. 이러한 경제적 성과를 바탕으로 중국은 국제 사회에서 자국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으며, 일부 개발도상국들에게는 발전 모델로서 제시되기도 한다.[16][17]덩샤오핑은 톈안먼 사건에도 불구하고 중국 개혁개방의 아버지로 불리며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경제 성장률은 급속도로 상승했다.
4. 2. 부정적 평가
중국 특색 사회주의는 경제 성장 과정에서 여러 문제점을 드러냈다. 지방 정부와 생산 단위의 자율성 확대로 생산성이 증가했지만, 에너지 및 원자재 부족, 통화 팽창, 물가 폭등을 야기했다.[32] 지방 정부는 이윤 중심의 투자로 산업 구조 왜곡을 초래했고, 중앙 정부의 거시경제 조절 능력 약화는 경제 혼란과 정치·사회적 위기를 심화시켰다.[32]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긴축 정책은 생산성 저하를 가져왔고, 지방 정부 간 시장 봉쇄, 정경유착, 국가 재력 분산 등의 문제도 발생했다.[32]1980년대 중국공산당은 소련식 사회주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일당 독재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극단적인 유연성'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 특색 사회주의를 내세웠다.[13] 이는 경제에 유익한 정책이라면 무엇이든 채택할 수 있다는 의미였다.[13] 중국공산당은 매년 정책을 조정하고, 미디어를 통해 제도의 우수성을 선전하며, 계획의 문제점을 덮어두었다.[14][15]
중국은 중국 특색 사회주의를 통해 세계 2위의 경제 대국으로 성장했지만, 2019년부터 시작된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경제가 침체되면서, 제도, 수단, 이론에만 치중하고 현실 세계의 자연, 인권, 행복도 등을 무시해 온 중국 특색 사회주의는 2020년대 이후 국제 사회에서 점차 외면받고 있다.[16][17]
일부 연구자들은 중국의 경제 이론이 중국 특색 사회주의가 아니라 중국 특색 자본주의라고 주장하기도 한다.[19]
5.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
(이전 출력이 비어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요약 정보가 제공되면 지침에 따라 위키텍스트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참조
[1]
뉴스
Full text of the letter by China's Minister of Commerce
http://www.xinhuanet[...]
Xinhua News Agency
2018-07-02
[2]
뉴스
Building Socialism with a Specifically Chinese Character
http://newlearningon[...]
1984-10-01
[3]
웹사이트
Deng Xiaoping: Let part of people get rich first
http://www.fengqi.sh[...]
[4]
웹사이트
Regarding the Construction of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2013)
https://redsails.org[...]
2022-04-11
[5]
뉴스
坚持按劳分配原则
http://www.cctv.com/[...]
2003-09-16
[6]
저널
Economy in the Initial Stage of Socialism
1987-10-05
[7]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english.gov.c[...]
Govern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04-03-14
[8]
뉴스
Building a Socialism with a specifically Chinese character
http://english.peopl[...]
Central Committee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1984-06-30
[9]
뉴스
Market fundamentalism' is unpractical
http://english.peopl[...]
Central Committee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2012-02-03
[10]
서적
Beyond Power Transitions: The Lessons of East Asian History and the Future of U.S.-China Relations
Columbia University Press
2024
[11]
뉴스
Ful ltext of the letter by China's Minister of Commerce
http://www.xinhuanet[...]
Xinhua News Agency
[12]
뉴스
Building Socialism with a Specifically Chinese Character
http://newlearningon[...]
1984-10-01
[13]
웹사이트
坚持按劳分配原则
http://www.cctv.com/[...]
[14]
뉴스
Building a Socialism with a specifically Chinese character
http://english.peopl[...]
Central Committee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1984-06-30
[15]
뉴스
Market fundamentalism' is unpractical
http://english.peopl[...]
Central Committee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2012-02-03
[16]
웹사이트
Deng Xiaoping: Let part of people get rich first
http://www.fengqi.sh[...]
[17]
뉴스
Building a Socialism with a specifically Chinese character
http://english.peopl[...]
Central Committee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1984-06-30
[18]
웹사이트
Deng Xiaoping on BUILD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on June 30, 1984
http://www.wellesley[...]
[19]
웹사이트
http://cambridge.org[...]
[20]
웹인용
경제 발전에 무게 두고 끊임없는 자기 개혁
http://jmagazine.joi[...]
2019-10-07
[21]
웹인용
[숨어 있는 세계사] 덩샤오핑의 '흑묘백묘론', 중국에 시장경제 도입했죠
http://premium.chosu[...]
2017-11-01
[22]
서적
불멸의 이노베이터 덩샤오핑
[23]
저널
중국경제의 개혁 - 개방과 경제구조
2001
[24]
저널
중국 경제의 개혁 - 개방과 경제 구조
2001
[25]
저널
중국 경제의 개혁 - 개방과 경제 구조,
2001
[26]
저널
중국의 경제 개혁과 북한에 주는 시사점
2004-12-07
[27]
저널
중국의 경제 개혁과 북한에 주는 시사점,
2004-12-07
[28]
저널
북한의 사유화 진전 현황 연구
2012-07
[29]
저널
북한 기업관리체계의 변화에 관한 연구
2009-06
[30]
저널
북한체제의 분야별 실태평가와 변화전망
2005-12
[31]
저널
북한의 사유화 진전 현황 연구
2012-07
[32]
저널
북한 체제의 분야별 실태 평가와 변화 전망
2006
[33]
저널
북한 체제의 분야별 실태 평가와 변화 전망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