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119구조본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앙119구조본부는 대형 및 특수 재난 사고 발생 시 구조, 현장 지휘 및 지원을 담당하는 대한민국 소방청 소속 기관이다. 1994년 성수대교 붕괴 사고와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를 계기로 대형 재난에 대한 전문적인 대응 필요성이 제기되어 1995년 12월 중앙119구조대로 발족했다. 이후 2011년 중앙119구조단으로 승격되었고, 2013년 현재의 중앙119구조본부로 개편되었다. 본부는 경기도 남양주시에 위치하며, 각종 구조 장비와 인명 구조견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국제적인 재난 현장에도 출동하여 구조 활동을 펼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달성군 소재의 관공서 - 대구교도소
1908년 대구감옥으로 설립된 대구교도소는 일제강점기 대구형무소 시절 항일 운동가들이 수감되었고 한국 전쟁 직후 재소자 학살 사건이 발생했던 아픈 역사를 지닌 교도소로, 1961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어 2024년 하빈면 감문리로 이전하였다. - 달성군 소재의 관공서 - 대구달성경찰서
대구달성경찰서는 1957년 달성경찰서로 개서 후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 달성군 전체를 관할하며 지역 치안을 담당하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소재 경찰서이다. - 대한민국의 소방본부 - 충청북도 소방본부
충청북도 소방본부는 충청북도의 소방 업무를 총괄하며, 1992년에 설치되어 소방서, 119안전센터 등을 산하에 두고 소방준감이 본부장을 맡는다. - 대한민국의 소방본부 - 세종특별자치시 소방본부
세종특별자치시 소방본부는 2012년 설립되어 세종특별자치시의 소방 업무를 수행하며, 소방행정과, 대응예방과, 119종합상황실 등으로 구성되어 세종소방서와 조치원소방서를 포함한 산하 소방서 및 119안전센터를 통해 화재 예방, 진압, 구조, 구급 활동을 제공한다. - 2013년 설립 - MSN
MSN은 1995년 마이크로소프트가 윈도우 95와 함께 출시한 웹 포털이자 관련 서비스 모음으로, 뉴스, 엔터테인먼트, 스포츠, 금융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며 주요 온라인 서비스를 통합하는 허브 역할을 수행한다. - 2013년 설립 - 대한민국 교육부
대한민국 교육부는 교육, 사회, 문화 분야 정책을 총괄하고 인적 자원 개발, 학교 교육, 평생 교육, 학술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 행정 기관이다.
중앙119구조본부 | |
---|---|
기본 정보 | |
![]() | |
영문 표기 | National 119 Rescue Headquarters |
한글 표기 | 중앙119구조본부 |
한자 표기 | 中央119救助本部 |
로마자 표기 | Jungang 119 Gujo Bonbu |
주소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구지서로 1 |
설치 년도 | 2013년 |
상급 기관 | 대한민국 소방청 |
산하 소방서 수 | 4 |
본부장 | 김종근 |
웹사이트 | 중앙119구조본부 웹사이트 |
2. 역사
1995년 대구 지하철 공사장 가스폭발 사고와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등 대형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정부는 이러한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1995년 10월 19일 민방위본부를 민방위재난통제본부로 바꾸고 재난관리국을 신설하였다. 또한 소방국에 구조구급과와 장비통신과를, 중앙소방학교에는 중앙119구조대를 설치하였다.[3][4]
2. 1. 설립 배경
1994년 성수대교 붕괴 사고와 1995년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같이 많은 인명 피해를 낸 대형 사고가 연이어 발생하면서, 정부 차원에서 이러한 재난에 빠르고 전문적으로 대처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여론에 따라 1995년 10월 19일 대통령령 제14791호로 「민방위본부」를 「민방위재난통제본부」로 바꾸고 재난관리국을 신설하였다. 또한 소방국에 구조구급과와 장비통신과를, 중앙소방학교에는 중앙119구조대를 신설하였다.[3][4]2. 2. 연혁
- 1995년 10월 19일: 중앙소방학교 소속으로 중앙119구조대 설치.[3][4]
- 1995년 12월 27일: 중앙119구조대 발대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청사).[1]
- 1997년 5월 27일: 내무부 소속으로 변경.[5]
- 1997년 8월 22일: 119국제구조대 발대.
- 1998년 2월 28일: 행정자치부 소속으로 변경.[6]
- 1999년 7월 28일: 청사를 경기도 남양주시에 새로 준공한 신 청사로 이전.[1]
- 2000년 11월 1일: UN INSARAG 의장국 피선 및 UN OCHA 서울회의 개최.
- 2001년 3월 2일: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구조구급대 발대.
- 2004년 6월 1일: 소방방재청 소속으로 변경.[7]
- 2008년 2월 27일: 중앙 수색 구조 조정 본부 설치[1]
- 2011년 1월 28일: 중앙119구조단으로 승격.[8]
- 2013년 9월 17일: 중앙119구조본부로 승격.[9][10]
- 2013년 12월 9일: 중앙119구조본부 특수사고대응단 창단 및 구미 화학사고 합동방재센터 개소.
- 2014년 1월 24일: 시흥, 익산, 서산 화학재난 합동방재센터 개소.
- 2014년 1월 27일: 울산 화학재난 합동방재센터 개소.
- 2014년 1월 28일: 여수 화학재난 합동방재센터 개소.
- 2014년 11월 19일: 국민안전처 소속으로 변경.[11] 세월호 침몰 사고의 영향으로, 국민안전처 신설에 따라 해양경찰청과 함께 소방방재청 해체.
- 2014년 11월 19일 : 수도권 및 영남119특수구조대 신설
- 2014년 12월 17일 : 대구광역시 청사로 이전
- 2015년 11월 30일 : 호남 및 충청‧강원119특수구조대 신설(발대 12.11.)
- 2017년 7월 26일: 소방청 소속으로 변경.[12] 국민안전처 폐지, 행정안전부가 신설되어 산하에 소방청이 설치됨과 동시에 해양경찰청도 부활.
- 2018년 3월 30일 : 충주119화학구조센터 신설(개소 11.30.)
3. 직무
중앙119구조본부는 다음과 같은 직무를 수행한다[1]。
- 각종 대형·특수 재난 사고의 구조·현장 지휘 및 지원
- 재난 유형별 구조 기술의 연구·보급 및 구조대원 교육 훈련
-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도, 특별자치도지사의 요청이나 중앙119구조본부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재난 사고의 구조 및 지원
- 위성중계차량 운영
- 그 밖에 중앙긴급구조통제단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재난 사고의 구조 및 지원
3. 1. 주요 임무
중앙119구조본부의 주요 임무는 다음과 같다[1]。
- 각종 대형·특수 재난 사고에서의 구조·현장 지휘 및 지원
- 재난 유형별 구조 기술의 연구·보급 및 구조대원의 교육 훈련
-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도, 특별자치도지사의 요청을 받아 중앙119구조본부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재난 사고의 구조 및 지원
- 위성중계차량 운영에 관한 사항
- 그 밖에 중앙긴급구조통제단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재난 사고의 구조 및 지원
3. 2. 국제 출동
연도 | 파견국 | 재해 내용 (피해) | 인원 | 기간 | 실적 |
---|---|---|---|---|---|
1997년 | 캄보디아 | 여객기 추락 (전 탑승자 사망) | 7명 | 9.4 ~ 9.8 (5일) | 희생자 수습 (21명) |
1999년 | 터키 이즈밋 | 지진 (14,695명 사망) | 17명 | 8.20 ~ 8.30 (11일) | 희생자 수습 (154명) |
1999년 | 대만 난터우 | 지진 (2,321명 사망) | 16명 | 9.22 ~ 9.27 (6일) | 1명 구조, 희생자 수습 (21명) |
2003년 | 알제리 부메르데스 | 지진 (2,268명 사망) | 21명 | 5.23 ~ 5.31 (8일) | 희생자 수습 (22명) |
2003년 | 이란 케르만 밤 | 지진 (26,171명 사망) | 24명 | 12.27 ~ 1.3 (8일) | 희생자 수습 (57명) |
2004년 | 태국 푸껫 | 쓰나미 (160,000명 사망) | 15명 | 12.29 ~ 1.7 (10일) | 희생자 수습 (14명) |
2005년 | 파키스탄 북동부 | 지진 (50,000명 사망) | 2명 | 10.14 ~ 10.21 (8일) | 의료팀 지원 |
2006년 | 인도네시아 반툴 | 지진 (5,500명 사망) | 1명 | 5.28 ~ 6.4 (8일) | 의료팀 지원 |
2008년 | 중국 쓰촨성 | 지진 (80,000명 사망) | 41명 | 5.16 ~ 5.23 (8일) | 희생자 수습 (27명) |
2008년 | 미얀마 양곤 주 | 태풍 (77,738명 사망) | 5명 | 6.5 ~ 6.15 (11일) | 방역 활동 |
2009년 | 인도네시아 | 지진 (608명 사망) | 41명 | 10.1 ~ 10.7 (7일) | 희생자 수습 (3명) |
2010년 | 아이티 | 지진 (75,000명 사망) | 25명 | 1.15 ~ 1.25 (11일) | 희생자 수습 (33명) |
2011년 | 일본 센다이 | 9.0 강진 지진 (20,990여 명) | 107명 | 3.12 ~ 3.23 (12일) | 희생자 수습 (18명) |
2013년 | 필리핀 타클로반 | 태풍 (6,138명 사망) | 29명 | 11.15 ~ 12.1 (17일) | 희생자 수습 (145명) |
2015년 | 네팔 카트만두 | 규모 7.9 지진 (7,675명 사망) | 27명 | 4.27 ~ 5.8 (12일) | 희생자 수습 (8명) |
2018년 | 라오스 세남노이 | 댐 붕괴 (70명 사망, 200명 실종) | 1명 | 7.29 ~ 8.24 (27일) 선발대 7.26 ~ 8.2 (8일) | 해외긴급구호선발대 (의료팀 지원) |
2019년 | 헝가리 부다페스트 | 유람선 침몰 (25명 사망, 1명 실종) | 24명 | 5.30 ~ 7.30 (62일) | 희생자 수습‧지원 (18명) |
4. 조직
- 119구조상황실
- 기획협력과
- 특수구조훈련과
- 특수장비항공팀
- 인명구조견센터
4. 1. 본부
중앙119구조본부는 경기도 남양주시에 설치되어 있다.[16] 중앙119구조본부장 아래 6개 팀 97명의 대원이 소속되어 있다. 대원 채용은 각 지방자치단체의 소방본부에서 구조 관련 등 각 분야의 우수한 직원의 추천을 받아 전입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대원은 일반 공무원과 마찬가지로 정년 제도의 적용을 받기 때문에 정년까지 구조본부에 소속될 수도 있다. 한편으로는 다시 지방자치단체의 소방본부로 승진 전출하는 경우도 있다.4. 2. 소속기관
- 수도권119특수구조대
- 영남119특수구조대
- 호남119특수구조대
- 충청·강원119특수구조대
5. 인원 및 장비
자체 식별번호는 NR(National Rescue)을 사용한다.[18]
중앙119구조본부는 헬리콥터, 구조 공작차, 화학 소방차, 소방 펌프차, 소방 화학 분석 제독차 등 다양한 차량과 인명 구조견, 수중 장비, 지중 음파 탐지기 등 각종 특수 장비를 갖추고 있다.
5. 1. 인원
중앙119구조본부에는 본부장 아래 6개 팀 97명의 대원이 소속되어 있다.[1] 대원 채용은 각 지방자치단체의 소방본부에서 구조 관련 등 각 분야의 우수한 직원의 추천을 받아 전입시키고 있다. 대원은 일반 공무원과 마찬가지로 정년 제도의 적용을 받는다.5. 2. 장비
중앙119구조본부는 헬리콥터 4대, 구조 공작차 3대, 화학 소방차 1대, 소방 펌프차 1대, 소방 화학 분석 제독차 1대 등 18대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인명 구조견 4마리, 수중 다방향 카메라, 수중 음파 탐지 장치, 지중 음파 탐지기 등 377종 4,978점의 특수 장비를 갖추고 있다.헬리콥터 | 지휘차 | 버스 | 구조 공작차 | 화학 분석 제독차 | 소방 펌프차 | 구급차 | 기타 |
---|---|---|---|---|---|---|---|
4 | 1 | 1 | 3 | 1 | 1 | 2 | 9 |
5. 2. 1. 항공 장비
자체 식별번호는 NR(National Rescue)을 사용한다.[18] 운용 중인 항공기는 다음과 같다.기종 | 대수 | 배치 연도 및 기체 번호(식별 번호) |
---|---|---|
AS365 | 2 | 1997년(HL9451, NR101)[19], 1999년(HL9452, NR201)[19] |
EC225 | 2 | 2008년(HL9472, NR102)[19], 2016년(HL9619, NR202) |
6. 역대 기관장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초대 | 정정기 | 1995년 12월 4일 ~ 1997년 7월 28일 | |
제2대 | 정거성 | 1997년 7월 29일 ~ 1998년 5월 14일 | |
제3대 | 최현규 | 1998년 5월 15일 ~ 1999년 5월 17일 | |
제4대 | 최진종 | 1999년 5월 18일 ~ 2000년 8월 8일 | |
제5대 | 변상호 | 2000년 8월 9일 ~ 2002년 1월 21일 | |
제6대 | 이철호 | 2002년 1월 22일 ~ 2002년 6월 26일 | |
제7대 | 최철영 | 2002년 10월 11일 ~ 2004년 5월 31일 | |
제8대 | 류해운 | 2004년 6월 1일 ~ 2005년 1월 23일 | |
제9대 | 배철수 | 2005년 1월 24일 ~ 2007년 2월 15일 | |
제10대 | 김영석 | 2007년 3월 5일 ~ 2009년 2월 5일 | |
제11대 | 강철수 | 2009년 2월 6일 ~ 2010년 2월 8일 | |
제12대 | 박청웅 | 2010년 2월 9일 ~ 2011년 3월 10일 | |
제13대 | 이동성 | 2011년 3월 11일 ~ 2011년 8월 9일 | |
제14대 | 김준규 | 2011년 9월 26일 ~ 2012년 8월 23일 | |
제15대 | 강철수 | 2012년 8월 24일 ~ 2012년 11월 15일 | |
제16대 | 이형철 | 2012년 11월 16일 ~ 2013년 6월 4일 | |
제17대 | 김일수 | 2013년 6월 5일 ~ 2015년 2월 1일 | 소방준감 |
제18대 | 우재봉 | 2015년 2월 2일 ~ 2015년 7월 5일 | 소방감 |
제19대 | 이형철 | 2015년 7월 6일 ~ 2015년 12월 31일 | |
제20대 | 조종묵 | 2016년 1월 1일 ~ 2016년 6월 8일 | |
제21대 | 김성연 | 2016년 6월 9일 ~ 2018년 10월 4일 | |
제22대 | 김홍필 | 2018년 10월 5일[13] ~ 2019년 9월 22일[14] | |
제23대 | 손정호 | 2019년 9월 23일[15] ~ 2020년 1월 5일 | |
제24대 | 이상규 | 2020년 1월 6일 ~ 2020년 12월 31일 | |
제25대 | 최병일 | 2021년 1월 1일~ 2021년 7월 1일 | |
제26대 | 조인재 | 2021년 7월 2일 ~ 2023년 2월 21일 | |
제27대 | 김종근 | 2023년 2월 22일 ~ |
참조
[1]
웹사이트
주요임무 및 연혁
http://www.rescue.go[...]
2011-02-06
[2]
문서
소방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제18조제1항
[3]
문서
서울시 도봉구 방학동
[4]
문서
대통령령 제14791호
[5]
문서
대통령령 제15382호
[6]
문서
대통령령 제15715호
[7]
문서
대통령령 제18390호
[8]
문서
대통령령 제22647호
[9]
문서
6개 화학센터 신설
[10]
문서
대통령령 제24760호
[11]
문서
대통령령 제25753호
[12]
문서
대통령령 제28216호
[13]
URL
http://news1.kr/arti[...]
[14]
웹인용
정부인사발령 통지(승진 및 전보)
https://koreafireser[...]
대한민국 소방청
2019-09-19
[15]
웹인용
정부인사발령 통지(승진 및 전보)
https://koreafireser[...]
대한민국 소방청
2019-09-19
[16]
문서
소방정으로 보한다.
[17]
문서
소방령으로 보한다.
[18]
웹인용
소방항공기 기관기호
http://www.law.go.kr[...]
2016-06-28
[19]
웹인용
공공기관 항공기 등록
http://atis.casa.go.[...]
nu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