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영속정장인조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영속정장인조약은 1904년 영국과 청나라가 체결한 조약이다. 이 조약은 영국의 티베트 원정 이후 티베트에 대한 중국의 소유권을 재확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영국은 청나라에 보상을 제공하고 티베트에 대한 합병이나 간섭을 하지 않기로 했으며, 청나라는 다른 외국이 티베트의 영토나 내정에 간섭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1929년 중화민국 외교부는 이 조약을 '통상각국조약'이라는 서적에 포함시켜 출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6년 영국 - 1906년 영국 총선
    1906년 영국 총선에서 헨리 캠벨-배너먼이 이끄는 자유당이 보수당-자유연합당 연합에 압승하여 과반수를 훨씬 넘는 의석을 확보하며 정권교체를 이루었고, 자유무역, 사회 개혁, 교육 문제 등이 쟁점이 되었으며, 노동당의 원내 진출과 함께 영국 정치 지형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 1906년 영국 - 1906년 중간 올림픽 영국 선수단
    1906년 중간 올림픽에 참가한 영국 선수단은 38명으로 구성되어 육상, 사이클 등 7개 종목에 출전하여 금메달 1개, 은메달 2개, 동메달 4개를 획득했으며, 존 아서 자비스는 수영에서 금메달과 은메달을 획득했다.
중영속정장인조약
조약 정보
조약 명칭중영속정장인조약
영문 명칭Convention Between Great Britain and China Respecting Tibet
체결일1906년 4월 27일
장소영국령 인도 콜카타
서명국영국
청나라
내용
주요 내용영국티베트에 대한 특수 권익 인정
청나라티베트에 대한 주권 확인
티베트가 열강에 영토 할양 금지 및 열강의 티베트 내 철도, 도로, 전신 부설권 불허
비준영국청나라는 1906년 7월 23일 베이징에서 조약 비준
배경
배경영국티베트에 대한 영향력 확대 시도
러시아티베트 진출 견제
영국-티베트 전쟁 이후 영국티베트 간의 라싸 조약 체결 (1904년)
청나라티베트에 대한 주권 강화 시도
영향
영향영국티베트에 대한 영향력 강화
청나라티베트에 대한 주권 명목상 유지
티베트의 독립성 약화
이후 중국티베트에 대한 지배 강화의 빌미 제공

2. 상세

20세기 초 대영제국은 러시아 제국의 동튀르키스탄(현재 신장 위구르 자치구 지역) 진출을 막기 위한 그레이트 게임의 일환으로 1903년과 1904년에 티베트를 침공하였다.[1][2] 1904년 라싸 조약 체결 이후, 영국과 청나라는 다시 한번 조약을 체결하였다. 이 조약은 기존의 라싸 조약에 연결되는 조약이며, 영국의 티베트 원정 이후 티베트에 대한 중국의 소유권을 재확인하였다.[3][4] 영국은 청나라 정부에 대한 보상의 대가로 티베트를 합병하거나 간섭하지 않기로 합의했고, 중국은 "다른 어떤 외국 국가도 티베트의 영토나 내부 행정을 방해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기로" 합의했다.[5]

중영속정장인조약 원본


1929년 중화민국 외교부는 '통상각국조약'이라는 서적에 이 조약을 포함시켜 출판하였다.[6]

2. 1. 배경

2. 2. 조약 체결



20세기 초 대영제국은 러시아 제국의 동튀르키스탄(현재 신장 위구르 자치구 지역) 진출을 막기 위한 그레이트 게임의 일환으로 1903년과 1904년에 티베트를 침공하였다.[1][2] 1904년 라싸 조약 체결 이후, 영국과 청나라는 다시 한번 조약을 체결하였다. 이 조약은 라싸 조약을 잇는 조약으로, 영국의 티베트 원정 이후 티베트에 대한 중국의 소유권을 재확인하였다.[3][4] 영국은 청나라 정부에 보상을 제공하고 티베트를 합병하거나 간섭하지 않기로 합의했고, 청나라는 다른 어떤 외국도 티베트 영토나 내정에 간섭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기로 합의했다.[5]

1929년 중화민국 외교부는 '통상각국조약'이라는 서적에 이 조약을 포함시켜 출판하였다.[6]

2. 3. 조약의 영향

2. 4. 중화민국의 출판

참조

[1] 논문 티베트분쟁: 중국의 담론패권 vs. 티베트인의 자유의지 https://www.dbpia.co[...] 2014-09
[2] 웹인용 티벳과 중국 그 선연과 악연의 역사 / 김성수 https://www.budrevie[...] 2008-12-07
[3] 웹인용 ‘중화민족론’ 거부한 政敎合一정권의 1000년 투쟁|신동아 https://shindonga.do[...] 2003-09-26
[4] 웹인용 '서구 열강' 믿었다가 피바람... 티베트의 '비극' https://www.ohmynews[...] 2008-03-27
[5] 논문 Convention between the United Kingdom and China respecting Tibet, signed April 27, 1906 https://www.jstor.or[...] 1907
[6] 논문 고문헌자료실 소장 근대 문헌 해제 : Analytic and Bibliographic Study of Modern Literature in Rare Book Collections https://s-space.snu.[...] 202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