즈냐나 요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즈냐나 요가는 산스크리트어로 "지식"을 의미하는 즈냐나를 통해, 힌두교 철학에서 지식을 얻기 위한 세 가지 고전적인 요가 유형 중 하나이다. 즈냐나 요가는 현실 또는 최고 존재에 대한 지식처럼 대상의 완전한 경험과 뗄 수 없는 지식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영적 해방을 얻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요가는 철학적 성찰과 명상을 필요로 하며, 고대 우파니샤드와 바가바드 기타에서 그 가르침을 찾을 수 있다. 즈냐나 요가는 아드바이타 베단타, 시바교, 바이슈나바교, 샥티즘 등 다양한 힌두교 학파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며, 각 학파는 즈냐나 요가를 수행하는 방식과 목표에 차이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즈냐나 요가 | |
---|---|
기본 정보 | |
다른 이름 | 즈냐나 마르가 |
의미 | 지혜의 길, 앎의 길 |
관련 | 힌두교 |
요약 | '앎, 지혜, 분별의 길' |
부분 | 베단타, 요가 |
목표 | 모크샤 |
실천 | 자기 탐구, 명상, 경전 연구 |
관련 용어 | 아트만, 브라만, 마야 |
유형 | 요가 |
개요 | |
특징 | |
같이 보기 | |
관련 항목 |
2. 어원
즈냐나는 때때로 '갸안'으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로 "지식"을 의미한다.[12] 어근 jñā-는 영어 know 및 그리스어 γνώ- (γνῶσις ''그노시스''와 같이)와 어원이 같다. 반대말은 ''아즈냐나'' "무지"이다.
즈냐나는 때때로 '갸안'으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로 "지식"을 의미한다. 어근 jñā-는 영어 ''know'' 및 그리스어 γνώ- (γνῶσις ''그노시스''와 같이)와 어원이 같다. 반대말은 ''아즈냐나'' "무지"이다.
3. 정의
3. 1. 힌두교의 요가
''즈냐나''(Jnana)는 지식을 의미하며,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정확하고 진실한 모든 인지적 사건을 가리킨다. 특히 힌두교에서는 현실(무신론 학파) 또는 최고 존재(유신론 학파)에 대한 완전한 경험과 뗄 수 없는 지식을 의미하며, 모크샤(Moksha), 즉 살아있는 동안(지반묵티) 또는 죽음 이후(비데하묵티)의 영적 해방을 가져다주는 지식이다.[12] 즈냐나 요가는 이러한 ''즈냐나''를 얻기 위한 수행 방법이다.
힌두교 철학에서는 카르마 요가, 바크티 요가와 함께 세 가지 고전적인 요가 유형 중 하나로 언급된다. 현대에는 고전 요가가 라자 요가로 불리며, 스와미 비베카난다에 의해 네 번째 유형으로 확장되었다.
고전 요가는 디야나(명상) 수행을 강조하며, ''즈냐나 요가''를 포함한 힌두교의 세 가지 고전적 경로의 요소이다. 바가바드 기타에서 ''즈냐나''는 삼키야 (요가)와 동일시되며, 순수한 의식인 푸루샤와 물질 및 물질적 욕망인 프라크리티를 구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구별은 마음이 ''디야나''(명상) 수행을 통해 차분해질 때 가능하다.
존스와 라이언에 따르면, ''즈냐나 요가'' 맥락에서 ''즈냐나''는 "실현" 또는 "영지(Gnosis)"로 이해하는 것이 더 적절하며, 이는 힌두교에서 자아와 궁극적 실재인 브라만 사이의 통일성을 아는 "연구의 길"을 의미한다. 이러한 설명은 고대 우파니샤드와 바가바드 기타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는 아드바이타 베단타의 전형적인 특징으로, ''즈냐나''는 ''지바트만''과 브라만의 동일성을 인식하는 것을 포함한다. 비말 마틸랄에 따르면, 아드바이타 베단타에서 ''즈냐나 요가''는 절대적인 의미의 "자기 의식, 자각"과 상대적인 "지적 이해"라는 두 가지 의미, 즉 일차적 의미와 이차적 의미를 모두 내포한다. 현대 아드바이타 베단타와 신 베단타는 명상을 통합하지만, 아디 샹카라는 마하바야에 기초한 통찰력에만 의존했다. 신-아드바이타 또한 직접적인 통찰력을 강조한다.
해방으로 가는 세 가지 다른 길 중에서 ''즈냐나 마르가''와 ''카르마 마르가''가 더 오래되었으며, 베다 시대 문헌으로 거슬러 올라간다.[4][13] 세 가지 경로는 모든 사람에게 열려 있으며, 성향, 적성 및 개인적 선호도에 따라 선택된다.[14][15] 많은 힌두교도들은 세 가지 요소들을 다양한 정도로 수행한다.[4][16]
지식의 길은 철학적 성찰을 선호하는 사람들을 위한 것이며, 연구와 명상을 필요로 한다.[17][15][18]
즈냐나 요가는 추종자들이 일레즘을 통해 자아로부터 거리를 두고, 그들의 불멸의 자아 (아트만)를 몸과 관련된 자아 (마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3인칭 시점으로 스스로에 대해 생각하고 말하도록 권장한다.[19]
3. 2. 즈냐나 요가
즈냐나는 산스크리트어로 "지식"을 의미하며, 영어의 'know'와 어원이 같다.[12] 힌두교에서 즈냐나는 모크샤(해탈)를 주는 지식으로, 지반묵티(살아있는 동안의 해방) 또는 비데하묵티(죽음 이후의 해방)를 의미한다. 즈냐나 요가는 이러한 즈냐나를 얻기 위한 수행 방법이다.
힌두교 철학에서 언급되는 세 가지 고전적인 요가 중 하나로, 카르마 요가, 바크티 요가와 함께 언급된다.[13] 현대에는 고전 요가가 라자 요가로 불리며, 비베카난다에 의해 네 번째 요가로 확장되었다.[14] 고전 요가는 디야나(명상) 수행을 강조하며, 즈냐나 요가를 포함한 세 가지 고전적 경로의 요소를 포함한다.[15]
바가바드 기타에서 즈냐나는 삼키야 (요가)와 동일시되며, 순수 의식인 푸루샤와 물질 및 욕망인 프라크리티를 구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구별은 마음이 디야나(명상) 수행을 통해 차분해질 때 가능하다. 존스와 라이언에 따르면, 즈냐나 요가에서 즈냐나는 "실현" 또는 "영지(Gnosis)"로 이해하는 것이 더 좋으며, 이는 자아와 궁극적 실재인 브라만 사이의 통일성을 아는 "연구의 길"을 의미한다.[16] 이는 아드바이타 베단타의 전형적인 특징으로, ''즈냐나''는 ''지바트만''과 브라만의 동일성 인식을 포함한다. 비말 마틸랄에 따르면, 아드바이타 베단타에서 즈냐나 요가는 "자기 의식, 자각"과 "지적 이해"라는 두 가지 의미를 모두 내포한다.[17]
해방으로 가는 세 가지 길 중 즈냐나 마르가와 카르마 마르가가 더 오래되었으며, 베다 시대 문헌으로 거슬러 올라간다.[4][13] 세 가지 경로는 모든 사람에게 열려 있으며, 개인의 성향, 적성, 선호도에 따라 선택된다.[14][15] 많은 힌두교도들은 세 가지 요소를 다양한 정도로 수행한다.[4][16] 지식의 길은 철학적 성찰을 선호하는 사람들을 위한 것이며, 연구와 명상을 필요로 한다.[17][15][18] 즈냐나 요가는 일레즘을 통해 자아로부터 거리를 두고, 아트만(불멸의 자아)을 마야(몸과 관련된 자아)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3인칭 시점으로 스스로에 대해 생각하고 말하도록 권장한다.[19]
우파니샤드에서 즈냐나 요가는 개인 자아(아트만)와 궁극적 자아(브라만)의 일체화를 목표로 한다.[9] Chambliss에 따르면, 우파니샤드의 가르침은 "자아에 대한 지식의 길", 즉 자아(아트만)와 브라만이 논리적이라는 깨달음을 논한다.[20] 우파니샤드의 가르침은 비신론적 일원론에서 유신론적 이원론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해석된다.[11][21] 전자의 경우 의례는 필요 없으며, 내성 및 명상의 길이 강조된다. 후자의 경우, 비슈누의 화신, 시바 또는 샥티(여신)에 대한 완전하고 정확한 지식이 강조된다. 즈냐나 요기는 카르마 요가 또는 박티 요가를 함께 수행할 수 있으며, 강조점은 다를 수 있다.[11][21]
Robert Roeser에 따르면, 힌두교의 즈냐나 요가 가르침은 기원전 500년경, 카르마 요가와 박티 요가보다 더 일찍 체계화되었을 가능성이 높다.[22] 바가바드 기타에서 즈냐나 요가는 '''붓디 요가'''라고도 불리며, 자기 실현을 목표로 한다.[23] 이 텍스트는 '''즈냐나 마르가'''를 "형태 없는 실재"(아뱍타)를 다루기 때문에 가장 어렵고, 느리며, 혼란스러운 길로 여기며, 지적으로 지향하는 사람들이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한다.[24] 바가바드 기타의 제4장은 즈냐나 요가를 설명하고, 제7장과 제16장은 신학적, 가치론적 측면을 논의한다.[25][26][27] 크리슈나는 즈냐나가 가장 순수하며, 자신의 아트만을 발견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시바교는 카르마 요가, 즈냐나 요가, 박티 요가 사상을 모두 포함한다. 시바교 전통은 즈냐나 요가 수행에 있어 출가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고행적인 요기 생활 방식을 선택 사항으로 남겨둔다.[39] 활동적인 삶(''카르마'')과 함께 영성을 추구할 수 있으며, 이것이 자아(내면의 시바) 실현 능력을 방해하지 않는다고 믿는다. 카르마 요가와 즈냐나 요가의 통합을 탐구하며, 선택에 의한 일상 행동과 필요하지 않을 때의 활동을 충동적이거나 강요된 활동보다 영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평가한다.[39]
아드바이타 베단타와 유사한 스라바나, 마나나, 니디드야사나 방법론이 시바교 전통에도 발견된다. 그러나, ''니스타'' 또는 ''사마디''가 때때로 시바교 방법론에 추가된다.[40] 시바교의 명상적 측면은 니르구나 형태의 최고 실재(시바)에 초점을 맞춘다.[41]
바이슈나바교의 ''Pancharatra'' (아가마) 경전은 바가바타(크리슈나, 라마, 비슈누) 전통과 함께 우파니샤드의 즈냐나 요가 사상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41] 그러나 헌신자가 선택한 신성한 최고 존재에 대한 사랑의 헌신이라는 사구나 형태의 박티 요가 개념을 포함하며, 조용한 명상과 음악적 표현 스타일 모두에서 나타난다.[41] 바이슈나바교에서 즈냐나 요가의 목표는 다른 학파와 다르다. 아드바이타 베단타는 즈냐나 요가를 비이원적인 자기 지식과 해탈의 길로 간주하는 반면, 바이슈나바교는 이를 헌신의 조건으로 간주한다.[42]
''쿨라르나바 탄트라''와 같은 여신에 관한 샥티즘 문헌은 해탈에 중요한 것으로 ''즈냐나 마르가''를 강조한다. 두 종류의 ''즈냐나''를 구별하는데, 하나는 아가마 텍스트에서 나오는 지식, 다른 하나는 ''비베카''(통찰력)이다. 샥티즘 문헌은 두 가지 모두 브라만의 지식으로 이끌지만, 첫 번째 것은 소리(''샤브다브라만'') 형태를 취하는 반면, 내면의 통찰력은 궁극적인 진리(''파라브라만'')라고 덧붙인다.[43]
시타 우파니샤드와 같은 일부 샥타 텍스트는 행동의 요가와 지식을 해탈의 길로 결합한다. 샥티즘의 고전 텍스트인 데비 기따는 4장을 즈냐나 요가에 할애하며, 즈냐나 요기는 개별 영혼과 지고의 자아로서의 자신 사이에 아무런 차이가 없음을 이해하고 깨닫는다고 명시하고 있다.[44] 즈냐나 요가에 대한 논의는 데비 기따의 후반부 장에서도 계속된다.[45]
4. 우파니샤드
우파니샤드에서 '''즈냐나 요가'''는 개인의 자아인 아트만과 궁극적 자아인 브라만이 하나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9] 이러한 가르침은 초기 우파니샤드에서 찾아볼 수 있다. Chambliss에 따르면, 우파니샤드에 담긴 신비로운 가르침은 "자아에 대한 지식의 길", 즉 아트만과 브라만이 논리적으로 같다는 깨달음을 이야기한다.[20]
우파니샤드의 가르침은 무신론적 일원론에서 유신론적 이원론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해석되어 왔다.[11][21] 전자의 경우, 의례는 필요 없으며, 자아에 대한 올바른 지식(''즈냐나'')을 얻기 위해 스스로를 성찰하고 명상하는 길이 강조된다. 후자의 경우, 비슈누의 화신, 시바 또는 샥티(여신)에 대한 완전하고 정확한 지식을 강조한다. 이러한 다양한 해석에서, 그 길은 반드시 서로 배타적인 것은 아니다. ''즈냐나 요기''는 ''카르마 요가''나 ''박티 요가''를 함께 수행할 수도 있고, 둘 다 수행할 수도 있으며, 어느 쪽에 더 중점을 두는지는 다를 수 있다.[11][21]
Robert Roeser에 따르면, 힌두교에서 ''즈냐나 요가'' 가르침은 기원전 500년경, ''카르마 요가''와 ''박티 요가''보다 먼저 체계화되었을 가능성이 높다.[22]
5. 바가바드 기타
भगवद्गीता|바가바드 기타sa에서 '''즈냐나 요가'''는 '''붓디 요가'''라고도 불리며, 그 목표는 자기 실현이다.[23] 이 텍스트는 "형태 없는 실재", 즉 ''아뱍타''를 다루기 때문에 '''즈냐나 마르가'''를 선호하는 사람들에게 가장 어렵고, 느리며, 혼란스러운 길로 여겨진다. 이는 지적으로 지향하는 사람들이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길이다.[24]
''바가바드 기타''의 제4장은 '''즈냐나 요가'''의 일반적인 설명을 다루고 있으며, 제7장과 제16장은 그 신학적, 가치론적 측면을 논의한다.[25][26][27] 크리슈나는 즈냐나(jñāna)가 가장 순수하며, 자신의 아트만의 발견이라고 말한다.
진실로, 지식만큼 순수한 것은 여기 없다.
시간이 지나면, 요가에서 완성된 자는 자신의 아트만에서 그것을 발견한다.
(''바가바드 기타'' 4.38|번역자: 지니언 D. 파울러[28])
6. 전통
아드바이타 철학자 아디 샹카라는 "절대자"(브라만)에 대한 "지식"을 얻는 데 즈냐나 요가를 중요하게 여긴 반면, 비시스타-아드바이타 주석가 라마누자는 지식을 헌신의 조건으로만 여겼다.
6. 1. 아드바이타 베단타
''즈냐나''(Jnana)는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정확하고 진실한 지식을 의미하며, 특히 현실이나 최고 존재에 대한 완전한 경험과 뗄 수 없는 지식을 뜻한다.[12] 힌두교에서는 모크샤(지반묵티(살아있는 동안의 영적 해방)나 비데하묵티(죽음 이후의 해방))를 주는 지식을 의미한다. 즈냐나 요가는 이러한 ''즈냐나''를 얻기 위한 길이다.아드바이타 베단타 철학자 아디 샹카라는 "절대자"(브라만)에 대한 "지식"을 얻는 데 즈냐나 요가를 중요하게 여겼다.[29] 반면, 비시스타-아드바이타 주석가 라마누자는 지식을 헌신의 조건으로만 여겼다.
비말 마틸랄에 따르면, 아드바이타 베단타에서 ''즈냐나 요가''는 "자기 의식, 자각"이라는 절대적인 의미와 "지적 이해"라는 상대적인 의미를 모두 내포한다.[29] 현대 아드바이타 베단타와 신 베단타는 명상을 통합하지만, 아디 샹카라는 마하바야에 기초한 통찰력에만 의존했다. 신-아드바이타 또한 직접적인 통찰력을 강조한다.
해방으로 가는 세 가지 다른 길 중에서 ''즈냐나 마르가''와 ''카르마 마르가''가 더 오래되었으며, 베다 시대 문헌으로 거슬러 올라간다.[4][13] 이 세 가지 경로는 모든 사람에게 열려 있으며, 개인의 성향, 적성, 선호도에 따라 선택된다.[14][15] 많은 힌두교도들은 이 세 가지 요소들을 다양한 정도로 수행한다.[4][16]
지식의 길은 철학적 성찰을 선호하는 사람들을 위한 것이며, 연구와 명상을 필요로 한다.[17][15][18] 즈냐나 요가는 추종자들이 일레즘을 통해 자아로부터 거리를 두고 그들의 불멸의 자아 (아트만)를 몸과 관련된 자아 (마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3인칭 시점으로 스스로에 대해 생각하고 말하도록 권장한다.[19]
6. 1. 1. 필수 조건 (사다나 차투스타야)
고전적인 아드바이타 베단타에서는 해탈을 얻기 위한 즈냐나 요가의 길을 강조하며, 다음 네 가지 자격을 갖추어야 한다고 본다.[33][29]{| class="wikitable"
|-
! 자격
! 설명
|-
| 비베카(Viveka) (분별력)
| 불변하고 영원한 것(''nitya'')과 변하고 일시적인 것(''anitya'')을 올바르게 구별하는 능력.
|-
| 바이라기아(Vairagya) (무관심)
| 이 세상과 다음 세상의 즐거움에 대한 욕심을 버리는 것.
|-
| 삿삼파트(Satsampat) (여섯 가지 덕목)
|
덕목 | 설명 |
---|---|
사마(Shama) | 마음의 절제. |
다마(Dama) | 감각 기관의 절제 (자발적인 자기 절제). |
우파라티(Uparati) | 감각적 쾌락에 대한 욕심을 버리고, 의무를 다하는 것. |
티틱샤(Titiksha) | 인내. |
슈라다(Shraddha) | 믿음. |
사마드하나(Samadhana) | 마음의 집중. |
|-
| 무목슈트바(Mumukshutva) (갈망)
| 무지로부터 벗어나 해탈하고자 하는 강렬한 열망.[33]
|}
6. 1. 2. 수행
힌두교 철학에서 언급되는 세 가지 고전적인 요가 유형 중 하나는 즈냐나 요가이며, 이는 ''즈냐나''를 얻기 위한 길이다. 고전 요가는 디야나(명상)의 수행을 강조하며, ''즈냐나 요가''는 이러한 힌두교의 세 가지 고전적 경로의 한 요소이다.[12]존스와 라이언에 따르면, ''즈냐나 요가'' 맥락에서의 ''즈냐나''는 "실현 또는 영지(Gnosis)"로 이해하는 것이 더 좋으며, 이는 힌두교에서 자아와 궁극적 실재 사이의 통일성인 브라만을 아는 "연구의 길"을 의미한다.[29] 이는 아드바이타 베단타의 전형적인 것으로, ''즈냐나''는 ''지바트만''과 브라만의 동일성 인식을 포함한다.
''즈냐나 요가''는 아드바이타 학파의 경우 ''스라바나''(듣기), ''마나나''(생각하기), ''니디드야사나''(명상)의 세 가지 수행으로 구성된다.[29] [35][34]
- ''스라바나''는 문자 그대로 '듣기'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상담자나 스승(구루)의 도움을 받아 이루어지는 인식과 관찰을 말한다.[35] 아드바이타 학파에서는 아이디어, 개념, 질문, 답변을 듣고 논의한다.
- ''마나나''는 이러한 논의에 대해 생각하고, ''스와드야야''와 ''스라바나''를 바탕으로 다양한 아이디어를 숙고하는 것을 말한다.[35]
- ''니디드야사나''는 명상,[37] 깨달음, 그리고 진실, 비이원성, 생각과 행동, 앎과 존재가 융합되는 상태에 대한 확신을 말한다.[35]
이러한 수행은 구루의 도움을 받아 올바른 지식으로 이어지며, 이는 아트만과 브라만에 관련된 ''아비드야'', 즉 심리적 오류 및 지각적 오류를 파괴한다고 믿어진다.[38]
즈냐나 요가는 추종자들이 일레즘을 통해 자아로부터 거리를 두고 그들의 불멸의 자아 (아트만)를 몸과 관련된 자아 (마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3인칭 시점으로 스스로에 대해 생각하고 말하도록 권장한다.[19]
6. 2. 시바파
시바교의 유신론적 및 일원론적 흐름은 모두 카르마 요가와 관련된 사상과 함께 ''즈냐나 요가'' 사상을 포함하며, 사이다 시탄타의 경우에는 ''바크티 요가''와 관련된 사상도 포함한다. 시바교 전통은 즈냐나 요가를 수행할 때 출가를 필수로 여기지 않으며, 요기의 고행적 생활 방식을 선택 사항으로 남겨둔다.[39] 시바교 전통에 따르면, 영성은 활동적인 삶(''카르마'')과 함께 추구될 수 있으며, 이것이 자아(내면의 시바) 실현 능력을 방해하지 않는다고 믿는다. 이 전통은 카르마 요가와 즈냐나 요가의 통합을 탐구하며, 예를 들어 선택에 의해 이루어지는 일상적인 행동과 필요하지 않을 때의 활동을 충동적이거나 강요된 활동보다 영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평가한다.[39]아드바이타 베단타와 유사하게 스라바나, 마나나, 니디드야사나 방법론이 시바교의 다양한 전통에서도 발견된다. 그러나 ''니스타'' 또는 ''사마디''가 시바교 방법론에 추가되기도 한다.[40] 시바교의 명상적 측면은 니르구나 형태의 최고 실재(시바)에 초점을 맞춘다.[41]
6. 3. 비슈누파
바이슈나바교의 ''Pancharatra'' (아가마) 경전은 바가바타(크리슈나, 라마, 비슈누) 전통과 함께 우파니샤드의 ''즈냐나 요가'' 사상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41] 그러나 바이슈나바교는 헌신자가 선택한 신성한 최고 존재에 대한 사랑의 헌신이라는 사구나 형태의 바크티 요가 개념 또한 포함하며, 이는 조용한 명상과 음악적 표현 스타일 모두에서 나타난다.[41]바이슈나바교에서의 즈냐나 요가의 목표는 다른 학파와는 다르다. 아드바이타 베단타는 즈냐나 요가를 비이원적인 자기 지식과 해탈의 길로 간주하는 반면, 바이슈나바교는 이를 헌신의 조건으로 간주한다.[42]
6. 4. 샥티파
샥티즘 문헌은 해탈에 중요한 것으로 ''즈냐나 마르가''를 강조한다. ''쿨라르나바 탄트라''와 같은 여신에 관한 문헌에서는 두 종류의 ''즈냐나''를 구별하는데, 하나는 아가마 텍스트에서 나오는 지식이고 다른 하나는 ''비베카''(통찰력)이다.[43] 샥티즘 문헌은 두 가지 모두 브라만에 대한 지식으로 이끌지만, 첫 번째 것은 소리(''샤브다브라만'')의 형태를 취하는 반면, 내면의 통찰력은 궁극적인 진리(''파라브라만'')라고 덧붙인다.[43]시타 우파니샤드와 같은 일부 샥타 텍스트는 요가와 지식을 해탈의 길로 결합한다. 샥티즘의 고전 텍스트인 데비 기타는 4장을 ''즈냐나 요가''에 할애하며, 즈냐나 요기는 개별 영혼과 지고의 자아로서의 자신 사이에 아무런 차이가 없음을 이해하고 깨닫는다고 명시하고 있다.[44] ''데비 기따''의 후반부 장에서도 즈냐나 요가에 대한 논의가 계속된다.[45]
참조
[1]
서적
Structural Depths of Indian Thought
https://archive.org/[...]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
서적
The Bhagavad Gita: A Text and Commentary for Students
https://books.google[...]
Sussex Academic Press
[3]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A-M
https://archive.org/[...]
The Rosen Publishing Group
[4]
서적
A Survey of Hinduism: Third Edition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5]
서적
Comparative Ethics in Hindu and Buddhist Traditions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New Religious Movement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7]
서적
The Light of Consciousness: Explorations in Transpersonal Psychology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8]
서적
Yoga, Karma, and Rebirth: A Brief History and Philosophy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9]
서적
Yoga for Fitness and Wellness, An Introductory Dictionary of Theology and Religious Studies, The Objectification Spectrum
https://books.google[...]
Cengage, Liturgical Press, Oxfo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Yoga and the Hindu Tradition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11]
서적
Indian Philosophy of Relig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12]
웹사이트
jnana (Indian religion) - Britannica Online Encyclopedia
https://www.britanni[...]
Britannica.com
2012-05-15
[13]
서적
Perspectives of Reality: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Hinduism
https://books.google[...]
Sussex Academic Press
[14]
서적
Perspectives of Reality: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Hinduism
https://books.google[...]
Sussex Academic Press
[15]
서적
The Bhagavad-Gita for the Modern Reader: History, interpretations and philosoph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6]
서적
The Bhagavad Gita: A Text and Commentary for Students
https://books.google[...]
Sussex Academic Press
[17]
서적
Perspectives of Reality: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Hinduism
https://books.google[...]
Sussex Academic Press
[18]
서적
The Doctrine of Karma: Its Origin and Development in Brāhmaṇical, Buddhist, and Jaina Traditions
https://books.google[...]
Bharatiya Vidya Bhavan
[19]
웹사이트
What is Maya?
https://iskcondesire[...]
2020-11-03
[20]
서적
Philosophy of Education: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1]
서적
Religion and Human Purpose: A Cross Disciplinary Approach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22]
서적
Advances in Motivation and Achievement, Volume 14: Religion and Motivation
Elsevier
[23]
서적
The Bhagavad-Gita for the Modern Reader: History, interpretations and philosoph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4]
서적
Essence of the Bhagavad Gita: A Contemporary Guide to Yoga, Meditation, and Indian Philosophy
https://books.google[...]
Nilgiri Press
[25]
서적
The Bhagavad Gita: A Text and Commentary for Students
https://books.google[...]
Sussex Academic Press
[26]
서적
The Bhagavad Gita: Twenty-fifth–Anniversary Edition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7]
서적
Interpretations of the Bhagavad-Gita and Images of the Hindu Tradition: The Song of the Lord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8]
서적
The Bhagavad Gita: A Text and Commentary for Students
https://books.google[...]
Sussex Academic Press
[29]
서적
Advaita Vedanta and Zen Buddhism: Deconstructive Modes of Spiritual Inquir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30]
서적
The Blackwell companion to religious ethics
[31]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Rosen Publishing New York
[32]
간행물
The Basis of Hindu Ethics
[33]
학술지
Śrī Harṣa contra Hegel: Monism, Skeptical Method, and the Limits of Reason
https://philarchiv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34]
서적
A Concise Dictionary of Indian Philosophy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35]
서적
Psychology in the Indian Tradi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36]
서적
Transforming Literacy: Changing Lives Through Reading and Writing
https://books.google[...]
Emerald
[37]
웹사이트
Oxford Index, nididhyāsana
http://oxfordindex.o[...]
[38]
서적
A Thousand Teachings: The Upadeśasāhasrī of Śaṅkara
SUNY Press
[39]
서적
Śaivism in Philosophical Perspective: A Study of the Formative Concepts, Problems, and Methods of Śaiva Siddhānt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40]
서적
Śaivism in Philosophical Perspective: A Study of the Formative Concepts, Problems, and Methods of Śaiva Siddhānt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41]
서적
The Sants: Studies in a Devotional Tradition of Indi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42]
서적
An Introduction to Hinduism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43]
서적
Offering Flowers, Feeding Skulls: Popular Goddess Worship in West Bengal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4]
서적
The Devi Gita: The Song of the Goddess: A Translation, Annotation, and Commentary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45]
서적
Song of the Goddess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