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지석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석영은 조선의 종두법 도입과 보급에 기여한 인물이다. 그는 종두법에 대한 서적을 저술하고, 천연두 유행 시 우두 종법을 실시하여 많은 사람을 구제했다. 또한 한글 보급에 힘쓴 공로를 인정받았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는 지석영을 내세워 식민 통치를 정당화하려는 '지석영 신화'가 만들어졌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의학자 - 허준
    허준은 조선 중기의 의관으로, 서자 출신으로 추정되지만 뛰어난 의술로 선조의 주치의를 역임하고 『동의보감』을 완성하여 동아시아 의학에 영향을 미쳤으며, 사후 정1품 보국숭록대부에 추증되었다.
  • 한의학자 - 이제마
    이제마는 조선 말기의 의학자이자 무관으로, 사상의학을 창시하고 《동의수세보원》을 저술하여 한국 의학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사람의 체질을 태양인, 소양인, 태음인, 소음인으로 나누어 각 체질에 맞는 치료법을 제시했고, 무과 급제 후 진해현감과 고원군수를 지냈다.
  • 일제강점기의 한의사 - 김일훈 (한의사)
    김일훈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에 참여하고 해방 후 이승만 대통령 측근으로 활동했으며, 함양 낙향 후 약초 연구와 민간 의학 발전에 기여하고 죽염 제조 기술 발전, 유황오리 요리 개발, 저서 출판, 인산가 설립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친 대한민국의 한의사이다.
  • 일제강점기의 한의사 - 권병노
    권병노는 대한민국의 의사이자 정치인으로, 제헌 국회의원과 제2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대한독립촉성국민회와 무소속으로 당선되었다.
  • 조선의 의학자 - 서거정
    조선 초기의 문신이자 학자인 서거정은 문과 급제 후 6조 판서와 좌찬성을 지내며 《경국대전》, 《동국통감》, 《동국여지승람》 등 국가적인 편찬 사업에 참여하여 조선의 문물 제도 정비에 기여했고, 《동문선》, 《필원잡기》 등의 저술을 통해 조선 초기의 문학을 집대성하여 문충이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그의 호는 사가정역명칭의 유래가 되었다.
  • 조선의 의학자 - 이제마
    이제마는 조선 말기의 의학자이자 무관으로, 사상의학을 창시하고 《동의수세보원》을 저술하여 한국 의학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사람의 체질을 태양인, 소양인, 태음인, 소음인으로 나누어 각 체질에 맞는 치료법을 제시했고, 무과 급제 후 진해현감과 고원군수를 지냈다.
지석영
기본 정보
송촌 지석영 선생
송촌 지석영 선생
이름지석영
한자 이름池錫永
본명지서경(池瑞耕) → 지석용(池錫鏞) → 지석영(池錫永)
출생일1855년 05월 15일
출생지조선 한성부 종로관훈방
사망일1935년 02월 01일
사망지일제강점기 경성부 종로관훈정
국적대한제국
거주지대한제국 한성부
공윤(公胤)
송촌(松村)
직업문관(문신)·한의사(의생)·한의학자·정치인·한글학자·국어학자·교육인·저술가
형제지운영(형)
친인척지홍창(손자)
지재선(6촌 재종제)
지청천(7촌 재종질)
직책 및 경력
직책대한제국 경남의 동래부 관찰사
재임1897년 10월~1898년 6월
임금고종 이형
경력기호흥학회 부회장
조선의생연합회 회장지금의 대한한의사협회 회장 직위와 같은 급의 직위.
조선 시대 말기의 사헌부 장령(司憲府 掌令)과 형조 참의(刑曹 參議)를 지냄.
학문 및 활동
분야유교 성리학
학력1883년 식년문과 을과 급제
당파온건개화파 후예 잔존 세력
부모지익룡(부)
자녀지성주(장남)
훈장
서훈대한제국 훈사등 팔괘소수장

2. 업적

지석영은 종두법 시행과 한글 보급에 힘쓴 공로를 인정받았다.[7]

2. 1. 종두법 도입 및 보급

조선에서 종두법 시행의 선구자였던 지석영은 종두에 대한 알기 쉬운 서적을 저술하여 의학 발전에 기여하였고, 천연두가 유행할 때마다 우두 종법을 실시하여 병에 걸린 이들을 구제하였다. 또한, 한글 보급에 힘쓴 공로를 인정받아 팔괘장과 태극장을 받았다.[7]

3. 평가

지석영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지석영 신화)로 나뉜다. 긍정적 평가는 주로 그의 의학적 업적과 한글 보급 노력을 중심으로, 부정적 평가는 일제강점기에 그의 업적이 식민 통치 정당화에 이용되었다는 비판을 담고 있다.

3. 1. 긍정적 평가

조선에서 종두법 시행의 선구자로서, 종두에 관한 알기 쉬운 서적을 저술하여 의학 발전에 기여하였다. 천연두가 유행할 때마다 우두 종법을 실시하여 병에 걸린 이들을 구제하였다. 또한, 한글 보급에 힘쓴 공로를 인정받아 팔괘장과 태극장을 받았다.[7]

3. 2. 부정적 평가 (지석영 신화)

신동원은 일제강점기에 일제가 그들의 식민지 통치를 정당화하기 위하여 지석영을 내세우고 조선 정부의 우두 보급에 대한 노력을 폄하하였다고 지적하면서 이를 ‘지석영 신화’라 지칭하였다.[9]

조선 총독부에서 지석영이 부산의 제생의원(濟生醫院) 원장 마쓰마에(松前讓)와 군의(軍醫) 도즈카(戶塚積齊)로부터 종두법을 배운 지 50주년이 되는 해에 즈음하여 행사를 벌였고, 1928년 11월에는 총독부 기관지인 《매일신보》에 지석영에 대한 기사가 연일 실렸으며,[10] 그 내용이 조선의 종두에 대한 논문에 인용되었다는 것이다.[11]

신동원은 1934년 조선총독부 과학장관이었던 시게무라(重村義一)의 발언에서 드러난 당시의 지석영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반론하였다.[12] 조선인들이 종두를 이해하지 못하던 중 지석영이 일본으로부터 우두법을 들여온 것으로 선전되었으나 지석영 이전에도 정약용의 《여유당전서》〈마과회통〉의 부록 〈신증종두기법상실〉과 같은 우두에 대한 서적이 조선에 존재하였고[13][14], 종두법의 하나인 인두법은 이미 조선 헌종 때에 널리 시행되고 있었으며,[15][16] 조선 정부 또한 국가적 사업으로서 우두의 보급을 추진하였고, 갑오개혁 이후의 성과는 일본에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는 것이다.[17]

민간의 저항을 조선 민중의 무지에 의한 것으로 선전되었으나, 당시에는 우두의 효과에 대한 불신감, 고가의 접종비 등에 의한 반감이 존재했고, 개화된 지식이 무속적 세계관을 대체하지 못하였다고 지적하였다.[18][19]

지석영이 갑신정변의 배후로 모함을 받는 등 자주 유배를 간 것을 조선 정부가 무능하여 ‘훌륭한 인사’를 박해하였다고 주장하였으나[20], 이는 횡포를 일삼는 종두 의사에게 내려진 포박령을 지석영에게 내려진 포박령으로 왜곡한 것이며, 결정적으로 지석영을 의학교에서 쫓아낸 이들은 바로 일본이었다고 지적하였다.[21]

4. 지석영 신화

신동원은 일제강점기에 일제가 식민지 통치를 정당화하기 위해 지석영을 내세우고 조선 정부의 우두 보급 노력을 폄하했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를 '지석영 신화'라고 불렀다.[9]

4. 1. 신화의 내용

신동원은 일제강점기에 일제가 그들의 식민지 통치를 정당화하기 위하여 지석영을 내세우고 조선 정부의 우두 보급에 대한 노력을 폄하하였다고 지적하면서 이를 ‘지석영 신화’라 지칭하였다.[9]

조선 총독부에서 지석영이 부산의 제생의원(濟生醫院) 원장 마쓰마에(松前讓)와 군의(軍醫) 도즈카(戶塚積齊)로부터 종두법을 배운 지 50주년이 되는 해에 즈음하여 행사를 벌였고, 1928년 11월에는 총독부 기관지인 《매일신보》에 지석영에 대한 기사가 연일 실렸으며,[10] 그 내용이 조선의 종두에 대한 논문에 인용되었다는 것이다.[11]

신동원은 1934년 조선총독부 과학장관이었던 시게무라(重村義一)의 발언에서 드러난 당시의 지석영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반론하였다.[12] 조선인들이 종두를 이해하지 못하던 중 지석영이 일본으로부터 우두법을 들여온 것으로 선전되었으나 지석영 이전에도 정약용의 《여유당전서》〈마과회통〉의 부록 〈신증종두기법상실〉과 같은 우두에 대한 서적이 조선에 존재하였고[13][14], 종두법의 하나인 인두법은 이미 조선 헌종 때에 널리 시행되고 있었으며,[15][16] 조선 정부 또한 국가적 사업으로서 우두의 보급을 추진하였고, 갑오개혁 이후의 성과는 일본에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는 것이다.[17]

민간의 저항을 조선 민중의 무지에 의한 것으로 선전되었으나, 당시에는 우두의 효과에 대한 불신감, 고가의 접종비 등에 의한 반감이 존재했고, 개화된 지식이 무속적 세계관을 대체하지 못하였다고 지적하였다.[18][19]

지석영이 갑신정변의 배후로 모함을 받는 등 자주 유배를 간 것을 조선 정부가 무능하여 ‘훌륭한 인사’를 박해하였다고 주장하였으나[20], 이는 횡포를 일삼는 종두 의사에게 내려진 포박령을 지석영에게 내려진 포박령으로 왜곡한 것이며, 결정적으로 지석영을 의학교에서 쫓아낸 이들은 바로 일본이었다고 지적하였다.[21]

4. 2. 신화 비판

신동원은 일제강점기에 일제가 그들의 식민지 통치를 정당화하기 위하여 지석영을 내세우고 조선 정부의 우두 보급에 대한 노력을 폄하하였다고 지적하면서 이를 ‘지석영 신화’라 지칭하였다.[9]

조선총독부에서 지석영이 부산의 제생의원(濟生醫院) 원장 마쓰마에(松前讓)와 군의(軍醫) 도즈카(戶塚積齊)로부터 종두법을 배운 지 50주년이 되는 해에 즈음하여 행사를 벌였고, 1928년 11월에는 총독부 기관지인 《매일신보》에 지석영에 대한 기사가 연일 실렸으며,[10] 그 내용이 조선의 종두에 대한 논문에 인용되었다는 것이다.[11]

신동원은 1934년 조선총독부 과학장관이었던 시게무라(重村義一)의 발언에서 드러난 당시의 지석영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반론하였다.[12] 조선인들이 종두를 이해하지 못하던 중 지석영이 일본으로부터 우두법을 들여온 것으로 선전되었으나 지석영 이전에도 정약용의 《여유당전서》〈마과회통〉의 부록 〈신증종두기법상실〉과 같은 우두에 대한 서적이 조선에 존재하였고,[13][14] 종두법의 하나인 인두법은 이미 조선 헌종 때에 널리 시행되고 있었으며,[15][16] 조선 정부 또한 국가적 사업으로서 우두의 보급을 추진하였고, 갑오개혁 이후의 성과는 일본에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는 것이다.[17]

민간의 저항을 조선 민중의 무지에 의한 것으로 선전되었으나, 당시에는 우두의 효과에 대한 불신감, 고가의 접종비 등에 의한 반감이 존재했고, 개화된 지식이 무속신앙적 세계관을 대체하지 못하였다고 지적하였다.[18][19]

지석영이 갑신정변의 배후로 모함을 받는 등 자주 유배를 간 것을 조선 정부가 무능하여 ‘훌륭한 인사’를 박해하였다고 주장하였으나,[20] 이는 횡포를 일삼는 종두 의사에게 내려진 포박령을 지석영에게 내려진 포박령으로 왜곡한 것이며, 결정적으로 지석영을 의학교에서 쫓아낸 이들은 바로 일본이었다고 지적하였다.[21]

5. 가족 관계

관계이름
아버지지익룡(池翼龍)
지운영


6. 저서


  • 《우두신설》, 1885.
  • 《아학편》, 1908. (정약용의 아학편에 중국어, 일본어, 영어 어휘를 덧댄 것)
  • 《자전석요》, 1909.
  • 《석자여의보록》, 1912.

참조

[1] 문서 지금의 대한한의사협회 회장 직위와 같은 급의 직위
[2] 고종실록 《고종실록》 31권, 고종 31년 6월 25일 경오 6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3] 웹인용 《고종실록》 24권, 고종 24년 3월 29일 정사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2016-02-12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독립협회 http://encykorea.aks[...]
[5] 사이언스타임즈 마법의 탄환을 쫓아서(6)-지석영과 에밀 베링 http://www.scienceti[...] 2005-06-07
[6] 사천시사 동학농민군의 봉기 - 정동면지 http://jdpaper.cicli[...]
[7] 간행물 지석영 계몽사 1993-09
[8] 신동아 근대 서양의학의 선구자 지석영과 오긍선 http://news.naver.co[...] 2008-09-25
[9] 서적 한국 우두법의 정치학 한국과학사학회 2000
[10] 동아일보 朝鮮의「젠너」池錫永, 朝鮮種痘 五十年 1928-09-21
[11] 醫事雜誌 朝鮮種痘史 1935
[12] 서적 朝鮮同胞の光 熊平源蔵 1934
[13] 의사신문 근대 의료사 산책 http://www.inews.org[...] 2006-10-25
[14] 의사학 정약용의 우두법 도입에 미친 천주교 세력의 영향 : 하나의 가설 1997
[15] 오주연문장전산고 “근세에 종두(인두법)하지 않는 자가 없다”
[16] 프레시안 지석영의 종두법? 조선 시대부터 예방 접종 있었다! http://www.pressian.[...] 2009-09-23
[17] 서적 한국 우두법의 정치학 한국과학사학회 2000
[18] 서적 한국 우두법의 정치학 한국과학사학회 2000
[19] 醫史學 舊韓末 近代西洋醫學의 수용과정 연구(1) 1998
[20] 서적 호열자, 조선을 습격하다
[21] 서적 호열자, 조선을 습격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