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오넷 네임 서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오넷 네임 서버(GNS)는 미국 연방 정부의 공식 서비스로, 외국 지명 표기 현황 정보를 제공하며 매달 약 20,000건의 자료가 업데이트된다. GNS는 지명의 영어 표기, 위치, 행정 구역, 특징 외에도 이명 및 비로마자 표기 등 검색 보조 기능을 제공한다. 하지만 GNS의 정확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며, 특히 2008년 박경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GNS에 등재된 한국 지명의 약 1%가 일제강점기에도 사용되지 않았던 일본식 지명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는 철자 오류와 유사한 문자로 인한 혼동, 불필요한 외래 지명의 존재 등 한국 지명 정보의 신뢰성에 문제를 제기하며, 독도와 같은 민감한 지역의 지명 표기에 대한 주의를 요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리 데이터베이스 - GeoNames
GeoNames는 전 세계 2,500만 개 이상의 지명과 1,180만 개 이상의 지형지물에 대한 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이자 웹 서비스로, 다양한 언어의 지명, 위치 정보, 인구, 행정 구역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들이 직접 데이터를 편집할 수 있지만 데이터 부정확성 문제가 있어 개선 연구가 진행 중이고, 각 지리적 특징은 URI를 통해 웹 리소스로 표현되어 시맨틱 웹 기술과 통합된다. - 지명학 - 유엔 지명 표준화 회의
유엔 지명 표준화 회의는 지명 표준화의 기술적 문제를 다루는 국제 회의이나, 지명이 특정 지역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하는 정치적 함의를 내포하며, 대한민국은 이 회의에서 동해와 독도 등 민감한 지명에 대한 국제 사회의 지지를 얻기 위해 노력하고 일본해 명칭 문제에 대해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 지명학 - 가도카와 일본 지명 대사전
가도카와 일본 지명 대사전은 가도카와 쇼텐에서 발행한 일본 지명 사전으로, 도도부현별 서적판과 CD-ROM, DVD-ROM, 온라인 버전으로 출시되어 헤이세이 대합병에 대응하며 지속적으로 갱신되고 있다. - 지명사전 - 화양국지
화양국지는 상거가 편찬한 지방지로, 파, 한중, 촉, 남중 지역의 역사, 지리, 문화를 기록하고 후한부터 성한 시대까지의 역사와 인물 열전을 담아 고촉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 중국 최고(最古)의 지리지 중 하나이다. - 지명사전 - 지명 정보 시스템
지명 정보 시스템(GNIS)은 미국 지질조사국(USGS)과 미국 지명 위원회(BGN)가 공동 관리하며 미국의 지명, 위치, 지리적 특징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로, 중복 작업 제거, 표준화된 데이터 제공, 공식 지도 색인화, 통일된 지리적 명칭 보장 등을 목표로 개발되어 인종차별적 용어 삭제 노력과 함께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지오넷 네임 서버 | |
---|---|
위치 정보 | |
일반 정보 | |
유형 | 지리적 명칭 데이터베이스 |
관리 | 미국 국가 지리 공간 정보국 (NGA) |
데이터 정보 | |
특징 | 외국 지명 지리적 특징 |
상태 | 활성 |
좌표계 | 다양한 좌표계 사용 |
서비스 정보 | |
서비스 | 지명 검색 서비스 (웹 서비스) 데이터 다운로드 |
사용 언어 | 다국어 지원 |
데이터 형식 | 다양한 형식 지원 |
기타 정보 | |
관련 시스템 | 미국 지리 명칭 정보 시스템 (GNIS) (국내 지명 정보) |
참고 사항 | 지리적 위치 정보 제공 표준 명칭 및 변형 명칭 포함 |
2. 상세
미국 지명위원회에서 확정한 외국 지명 표기 현황을 살펴볼 수 있는 미 연방정부의 공식 서비스로, 매달 약 20,000건의 자료가 업로드된다.[9] 각 지명은 '명백한 중복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삭제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해당 지명의 영어 (로마자) 표기와 위치, 행정 구역, 특징에 관한 기본 정보 외에도 이명(異名)이나 비로마자 표기 등 검색 보조 기능도 제공하고 있다.
GNS는 미국 연방 정부가 제공하는 방대한 외국 지명 데이터베이스이지만, 수집된 정보의 정확성에 대해서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한다.[10] 특히, 등재된 한국 지명 정보의 정확성에 대한 문제점이 지적된 바 있다.[11][5]
방대한 수집량에도 불구하고 그 정확성에 대해서는 종종 비판이 제기된다. 2008년 성신여대 박경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GNS에 등재된 한국 지명을 조사한 결과 약 1%가 1946년 미군 지도에 실렸던 일본식 지명이며, 이는 정작 일제강점기에도 사용된 적이 없는 지명으로 밝혀졌다. 당시 미국 측은 일본 당국의 협조를 받아 지명을 편집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같은 연구에서는 일본식 지명 문제 외에도 GNS의 한국 지명, 중국 및 영미권 유래의 외래 지명에서 "유사한 문자를 가진 지명에 대한 철자 오류와 단순 혼동 사례가 많다"고 지적하였다.[11]
3. 정확성 문제
3. 1. 한국 지명 오류
지오넷 네임 서버(GNS)는 방대한 외국 지명 정보를 제공하지만, 그 정확성에 대해서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한다.[10] 특히 한국 지명 정보의 정확성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다. 2008년 성신여대 박경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GNS에 등재된 한국 지명 중 약 1%는 일제강점기에도 사용되지 않았던 일본식 표기이며, 이는 1946년 미국 군대가 일본 측의 협조를 받아 제작한 지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11][5] 또한 같은 연구에서는 철자 오류나 유사 문자 간의 혼동 등 다른 문제점도 지적하였다.[11][5]
3. 1. 1. 일본식 지명 잔재
GNS는 방대한 자료를 수집하지만, 그 정확성에 대해서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한다. 특히 한국 지명과 관련하여 문제가 지적되었다. 2008년 성신여대 박경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GNS에 등록된 한국 지명 중 약 1%가 일본어식 표기인 것으로 나타났다.[11][5] 더욱이 이 지명들은 일제강점기에도 실제로 사용된 적이 없는 경우가 많으며, 1946년 미국 군대가 일본 당국의 협조를 받아 제작한 지도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11][5] 이는 당시 미국이 한국의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일본 측의 자료에 의존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볼 수 있다. 같은 연구에서는 이러한 일본식 지명 문제 외에도, GNS의 한국 지명 표기에서 "유사한 문자를 가진 지명에 대한 철자 오류와 단순 혼동 사례가 많다"고 지적하며, 중국어나 영어에서 유래한 불필요한 지명 표기도 존재한다고 밝혔다.[11][5]
3. 1. 2. 기타 오류
GNS는 방대한 자료 수집량에도 불구하고 그 정확성에 대해 종종 비판받는다.[11] 2008년 성신여대 박경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GNS에 등재된 한국 지명에서 일본식 지명 문제 외에도 여러 오류가 발견되었다.[11][5] 연구에서는 한국 지명 표기 시 철자 오류가 많고, 유사한 문자를 가진 지명을 혼동하는 경우가 있으며, 중국 및 영어에서 유래한 불필요한 외래 지명도 등재되어 있다고 지적하였다.[11][5]
참조
[1]
웹사이트
GNS Points of Contact
https://geonames.nga[...]
2020-08-20
[2]
웹사이트
GEOnet Names Server (GNS) Services
https://geonames.nga[...]
2020-08-20
[3]
웹사이트
U.S.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GNIS) - Historical Features
https://catalog.data[...]
2023-02-18
[4]
간행물
2007 Agency Presentation Minutes
http://cuac.wustl.ed[...]
US Geological Survey
2007-04-26
[5]
논문
A Study on Japanese and Foreign Place Names in Google Earth Satellite Images and GNS Database on South Korea
https://www.research[...]
2021-11-09
[6]
간행물
2007 Agency Presentation Minutes
http://cuac.wustl.ed[...]
US Geological Survey
2007-04
[7]
웹인용
GNS Points of Contact
https://geonames.nga[...]
2020-08-20
[8]
웹인용
GEOnet Names Server (GNS) Services
https://geonames.nga[...]
2020-08-20
[9]
웹인용
U.S.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GNIS) - Historical Features
https://catalog.data[...]
2023-02-18
[10]
간행물
2007 Agency Presentation Minutes
http://cuac.wustl.ed[...]
US Geological Survey
2007-04-26
[11]
저널
구글어스의 위성영상과 미국의 지명데이터베이스에 나타나는 한국내 일본식 및 외국어 지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Japanese and Foreign Place Names in Google Earth Satellite Images and GNS Database on South Korea)
https://www.research[...]
2024-05-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