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진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관은 자가 소유, 호는 회해거사이며, 북송 시대의 문인이다. 소식의 문하에서 배우기를 원했고, 그의 시를 보고 감탄한 소식과 친교를 맺었다. 과거 급제 후 관직 생활을 하였으나 당파 싸움에 휘말려 좌천되기도 했으며, 휘종 즉위 후 사면되어 돌아오는 길에 사망했다. 고문과 시에 능했으며, 특히 사에 뛰어났고, 시문집 ≪회해집≫과 사집 ≪회해장단구≫ 등을 저술했다. 그의 작품은 신세지감을 염정 속에 담아 완약사의 새로운 경지를 열었다고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49년 출생 - 선종 (고려)
    선종은 고려의 제13대 왕으로, 불교와 유교의 균형 발전을 추구하며 안정적인 통치를 펼쳤고 활발한 교역을 통해 고려의 국제적 위상을 높였다.
  • 1100년 사망 - 윌리엄 2세 (잉글랜드)
    윌리엄 정복왕의 아들인 윌리엄 2세는 1087년 잉글랜드 왕위를 계승하여 형과의 전쟁으로 노르망디를 지배하고 프랑스와의 전쟁에서 승리했으나, 캔터베리 대주교와의 갈등, 스코틀랜드와 웨일스 정복의 어려움, 그리고 사냥 중 의문사로 백성들에게 인기가 없던 통치자로 평가받는다.
  • 1100년 사망 - 고드프루아 드 부용
    11세기 후반 로렌 공작이자 제1차 십자군 지도자였던 고드프루아 드 부용은 예루살렘 함락 후 통치자가 되었으나 왕 대신 '성묘 수호자' 칭호를 사용했다.
  • 사 - 육유
    남송 시대의 시인이자 관리였던 육유는 '방옹'이라는 호를 사용하며 만 수 이상의 시를 남겼고, 특히 중원 회복을 염원하는 우국시를 통해 애국 시인으로 알려졌으며, 당완과의 비극적인 사랑과 관련된 시조 「채두봉」으로도 유명하다.
  • 사 - 악비
    남송 시대 장군 악비는 금나라에 맞선 애국 영웅으로, 진회의 모함으로 처형되었으나 사후 충절을 인정받아 무목이라는 시호를 받았고, 만강홍이라는 시와 함께 현대 중국에서도 존경받는 인물이지만, 최근 그의 군사 행위에 대한 재평가 논의가 있다.
진관
기본 정보
진관의 초상화
진관의 초상화
본명진관
소유(少游)
회해거사(淮海居士)
한구거사(邗溝居士)
출생1049년
사망1100년
시대북송
출신지강소성 고우현
직업시인, 작가
유파소문사학사(蘇門四學士)
사승소식(蘇軾)
배우자서문중녀(徐門仲女)
대표작회해집(淮海集)
작매화(鵲梅花)
고행탄(苦行歎)
만정방(滿庭芳)
요신영(瑤新影)
관련 인물소식(蘇軾)
황정견(黃庭堅)
장뢰(張耒)
조보지(晁補之)
어록양정약시구장시(兩情若是久長時) 우기재조조모모(又豈在朝朝暮暮)
기타 정보
로마자 표기Qin Guan

2. 생애

진관은 소식(蘇軾)이 당파 싸움으로 실각되면서 항주(杭州), 침주(郴州), 횡주(橫州), 뇌주(雷州) 등지로 좌천되었다가, 휘종(徽宗)이 즉위하자 사면되어 돌아오는 도중에 등주(藤州)에서 죽었다. 그는 고문(古文)과 시에 능하였고 특히 사(詞)에 뛰어났다. 저서로는 시문집 ≪회해집(淮海集)≫(40권)과 그 ≪후집(後集)≫(6권), 사집(詞集)으로 ≪회해장단구(淮海長短句)≫(3권) 등이 있다.

2. 1. 초기 생애와 성장

진관은 자(字)가 소유(少游)이고 호(號)는 회해거사(淮海居士)로, 양주(揚州) 고우(高郵: 지금의 강소성 고우) 사람이다. 송(宋) 인종(仁宗) 황우(皇祐) 원년(1049)에 중소 관료 가정에서 태어났다. 조부 승의공(承議公)은 남강(南康)에서, 숙부 진정(秦定)은 회계위(會稽尉)·강남동로전운판관(江南東路轉運判官)·지호주(知濠州) 등의 관직을 지냈다.

어려서부터 어머니를 모시고 집 안에서 지냈기 때문에 세상 사람들과 교제가 별로 없었으며, 평소 책을 빌려 열심히 읽고 문장을 학습했다. 이러한 생활은 그의 성격을 유약하게 만들었고, 이후의 정치적 풍파와 그의 시(詩)·사(詞) 속에 그러한 성격이 반영된다. 영종(英宗) 치평(治平) 4년(1067) 열아홉 살 때 담주(潭州) 영향주부(寧鄕主簿) 서성보(徐成甫)의 장녀 문미(文美)와 결혼했다.

당시 구양수(歐陽修)에 이어 문단의 영수로 떠오른 소식(蘇軾)을 흠모해 그의 문하로 들어가 배우기를 희망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다. 희령(熙寧) 7년(1074) 27세 때 소식이 항주(杭州)에서 밀주(密州)로 가는 도중 양주(揚州)에 들른다는 말을 듣고, 소식이 묵을 절의 벽에 미리 시를 적어 친교를 맺었다.

원풍(元豊) 원년(1078) 경사(京師)에 가서 처음으로 과거 시험에 응시했으나 낙방하여 귀가했다. 벼슬길의 첫 번째 좌절이었는데, 그 실패로 <엄관명(掩關銘)>을 짓고 한동안 집 안에 들어앉아 독서로 소일했다. 얼마 후 소식을 존경하는 마음에 팽성(彭城)으로 가 그를 방문했다. 그때 소식은 서주의 수재(水災)를 다스리고 나서 황루(黃樓)를 지은 참이라 그에게 <황루부(黃樓賦)>를 지어달라고 부탁했다. 진관의 작품을 본 소식은 “굴원(屈原)과 송옥(宋玉)의 재능을 지니고 있다”라고 칭찬했다.

당대의 대문호요 정치가였던 소식왕안석(王安石)의 인정을 받았지만 과거 시험에 누차 낙방했다. 1085년, 마소유(馬少游)라는 위인에게 공감해 자(字)를 소유(少游)로 바꾸었다. 그러나 이해에 과거 시험에 합격해 진사가 되었다.

2. 2. 소식과의 만남

희령(熙寧) 7년(1074) 27세 때 진관은 소식이 항주(杭州)에서 밀주(密州)로 가는 도중 양주(揚州)에 들른다는 말을 듣고 소식이 묵을 절의 벽에다 미리 시 한 수를 적어놓았다. 소식이 그 시를 보고 내심 감탄했는데, 나중에 손각이 와서 진관의 시와 사 수백 편을 보여주자 크게 감동해 “절의 벽에 시를 쓴 사람이 바로 이 사람이군요”라고 하고는 진관과 친교를 맺었다.

소식을 존경하여 흠모했던 진관은 원풍(元豊) 원년(1078) 경사(京師)에 가서 처음으로 과거 시험에 응시했으나 낙방해 귀가했다. 벼슬길에 있어서 첫 번째 좌절이었는데, 그 실패로 말미암아 <엄관명(掩關銘)>을 짓고 한동안 집 안에 들어앉아 독서로 소일했다. 얼마 후 팽성(彭城)으로 가 소식을 방문했다. 그때 소식은 서주의 수재(水災)를 다스리고 나서 황루(黃樓)를 지은 참이라 진관에게 <황루부(黃樓賦)>를 지어달라고 부탁했다. 진관이 작품을 완성하고 보여주자 소식은 “굴원(屈原)과 송옥(宋玉)의 재능을 지니고 있다”라며 칭찬했다.

2. 3. 과거 급제와 관직 생활

진관은 어려서부터 어머니를 모시고 집 안에서 지냈기 때문에 세상 사람들과 별로 교제가 없었으며, 평상시에는 책을 빌려 열심히 읽고 문장을 학습하였다. 이러한 생활은 그의 성격을 유약하게 만들었으며, 이후의 정치적 풍파와 그의 시(詩)·사(詞) 속에 그러한 성격이 반영되었다. 학문을 연마하며 조용하게 성장기를 보낸 진관은 1067년 열아홉 살 때 서성보(徐成甫)의 장녀 서문미(徐文美)와 결혼했다.

1078년 진관은 서울[京師]에 가서 처음으로 과거 시험에 응시했으나 낙방하여 귀가했다. 이 일은 벼슬길에 있어서 첫 번째 좌절이었는데, 그 실패로 말미암아 <엄관명(掩關銘)>을 짓고 한동안 집 안에 들어앉아 독서로 소일했다. 얼마 후 그는 소식을 존경하는 마음에 팽성(彭城)으로 가 그를 방문했다. 그때 소식은 서주(徐州)의 수재(水災)를 다스리고 나서 황루(黃樓)를 지은 참이라 그에게 <황루부(黃樓賦)>를 지어달라고 부탁했다. 진관이 작품을 완성하고 보여주자 소식은 그를 칭찬하며 “굴원송옥의 재능을 지니고 있다”라고 말했다.

진관은 당대의 대문호이자 정치가였던 소식왕안석의 인정을 받았지만 과거 시험에 여러 차례 낙방하여 의기소침해 있었다. 1085년에는 마소유(馬少游)라는 인물에게 공감하여 자신의 자(字)를 소유(少游)로 바꾸었다. 그러나 같은 해, 진관은 과거 시험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다. 이후 당파 싸움으로 소식이 실각되면서 항주(杭州), 침주(郴州), 횡주(橫州), 뇌주(雷州) 등지로 좌천되었다가, 휘종이 즉위하자 사면되어 돌아오는 도중에 등주(藤州)에서 죽었다.

3. 작품 세계

진관은 현존하는 작품이 110수 정도로 유영이나 소식처럼 많은 작품을 남기지는 않았다. 또한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는 등 문학사적 공로가 큰 작가도 아니다. 하지만 전대(前代) 완약사(婉約詞)를 이어받아 그 장점을 극대화해 누구나 함께 즐길 수 있고 함축적이면서도 정(情)과 운치가 뛰어난 신형의 사풍(詞風)을 창조했다. 따라서 그의 사를 감상할 때는 정이 뛰어나다는 특징에 주목해야 한다. 단지 연정(戀情)과 염정(艶情)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고, 신세지정(身世之情)과 폄적지정(貶謫之情)도 포함된다. 진관 사는 ‘신세지감을 염정 속에 합병해 넣은 것’으로 요약할 수 있으며 이것이 바로 전대의 완약사를 능가하게 된 현저한 특징인 것이다.

만남·이별·원망의 내용으로 염정을 표현한 초기 완약사는 유영에 이르러 작자의 나그네 심정이 담기며 그 경계가 확장되었다. 이어 진관에 이르러서는 한 걸음 더 나아가 부분적인 질적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자신의 신세와 운명에 관련된 쓸쓸하고 슬픈 감정을 염정의 주제와 결합함으로써 낡은 몸뚱이 속에 새로운 혈액을 주입하게 된 것이다.

짧은 편폭의 소령(小令)에 담겨 있는 ‘뛰어난 운치’도 뛰어나지만, 더욱 주목할 것은 소령의 운치를 만사장조(慢詞長調)에 옮겨놓을 수 있었다는 것이다. 소령의 문아함을 이용해 유영 만사의 저속함을 바로잡으면서 다른 한편으로 소령의 함축성을 이용해 유영 만사의 직설적인 표현을 보완하는 데 성공했다. 장점으로 단점을 보충하고 우아함으로 저속함을 구제함으로써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부드러우며, 우아한 사람과 통속적인 사람이 함께 즐길 수 있는 풍격과 미감을 갖춰 완약사의 대표 작가로 우뚝 설 수 있었다.

4. 저서


  • 송용준 역, 2009년, 지만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