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자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자앙은 당나라 초기의 시인으로, 현실을 반영하는 시를 옹호하며 사회 비판적인 작품을 많이 남겼다. 쓰촨 성 출신으로 24세에 진사에 급제했으며, 측천무후의 조언자로서 정치 활동을 했다. 그는 시장에서 악기를 부수고 자신의 작품을 나눠주는 등 독특한 방식으로 문학적 재능을 알렸다. 그의 시는 육조 시대의 화려한 시풍을 벗어나 건안 문학의 견고함을 추구했으며, '감우'를 비롯한 여러 작품을 통해 당나라 시의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61년 출생 - 겐메이 천황
겐메이 천황은 덴지 천황의 딸이자 몬무 천황의 어머니로서, 손자 쇼무 천황을 위해 황후의 지위 없이 즉위하여 섭정으로 통치하며 와도개천 주조, 헤이조쿄 천도, 《고사기》 헌상 등의 업적을 남긴 일본 역사상 중요한 여성 통치자이다. - 661년 출생 - 무아위야 2세
무아위야 2세는 우마이야 칼리파조의 제3대 칼리파로, 짧은 통치 기간 동안 칼브 부족의 지지를 받았으나 건강 악화로 국정을 제대로 운영하지 못해 그의 사망 후 우마이야 왕조는 혼란에 빠졌다. - 702년 사망 - 효소왕
효소왕은 신라의 제30대 왕으로, 신문왕의 아들이자 신목왕후의 아들이며, 당나라로부터 신라왕으로 책봉받고 국내 통치를 시작하여 서시전과 남시전을 설치하고 일본 사신을 접견했으며 이찬 경영의 모반을 진압하다가 1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702년 사망 - 의상 (신라)
의상은 신라의 승려이자 화엄종의 시조로, 당나라 유학 후 화엄 사상을 배워 귀국하여 부석사를 창건하고 화엄교학을 강술하며 해동 화엄종을 개창, 세계의 연결성과 공감을 강조하는 무애사상으로 신라 불교 사상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7세기 시인 - 당 태종
당 태종은 당나라의 제2대 황제로서, 뛰어난 군사적 재능과 정관의 치로 불리는 치세를 통해 당나라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균전제 등 제도를 정비하고 영토를 확장하는 등 긍정적, 부정적 평가를 함께 받는 인물이다. - 7세기 시인 - 측천무후
측천무후는 당나라 황후에서 스스로 황제가 되어 무주를 세운 중국 유일의 여황제로, 수렴청정과 과거제 확대 등으로 평가가 엇갈린다.
진자앙 - [인물]에 관한 문서 |
---|
2. 생애
천쯔앙은 쓰촨 성 사홍 현 출신의 부유한 집안의 아들이었다. 24세에 진사에 합격하기 전까지 제대로 읽고 쓰지도 못했지만, 이후 학문에 정진하여 과거에 급제했다.[3]
그는 측천무후의 중요한 조언자였으며, 현실을 반영하는 시를 옹호했다. 그의 작품에는 정치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사회 비판적 성향이 담겨있다.[5] 고종 붕어 후 능묘 문제에 대해 상소를 올려 측천무후에게 재능을 인정받았고, 측천무후 조정의 비정한 정치 체제를 비판하는 상소를 올리기도 했다. 이로 인해 투옥되기도 했지만, 곧 복직되었다.
696년(만세통천 원년) 거란 토벌군에 참모로 참가했으나, 전과를 올리지 못하는 지휘관에게 계책을 상소했다가 강등당했다. 성력 연간에 귀향했으나, 아버지의 사망과 현령의 무고로 투옥되어 옥사했다. 일설에는 그의 죽음이 재산을 노린 현령의 함정이나 무씨 일족의 사주 때문이라고도 한다.
2. 1. 초기 생애와 진사 급제
천쯔앙은 쓰촨 성 사홍 현의 부유한 집안 출신으로, 24세에 진사에 합격했다.[3] 18세 무렵까지는 불량한 행실을 일삼아 제대로 읽고 쓰지도 못했으나, 이후 뉘우치고 고향 근처 금화산에 들어가 학문에 정진하여 진사가 되었다.수도에 도착한 그는 값비싸고 정교한 방법으로 자신의 시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시장에서 구경꾼들을 놀라게 하기 위해 타타르족 악기에 백만 냥이라는 거금을 지불했다. 그는 악기 연주에 능숙하다며 다음 날 공연을 보러 오라고 초대했다. 호기심에 찬 군중들이 모이자 그는 성대한 연회를 준비했다. 그러나 음악을 연주하는 대신 자신을 수필가이자 시인이라고 소개한 후, 악기를 산산조각 내고 자신의 작품들을 나눠주었다.[4]
2. 2. 정치 활동과 측천무후와의 관계
천쯔앙은 24세에 진사에 합격했다.[3]수도에 도착한 그는 값비싸고 정교한 방법으로 자신의 시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시장에서 구경꾼들을 놀라게 하기 위해 타타르족 악기에 백만 냥이라는 거금을 지불했다. 구경꾼들의 쏟아지는 관심에 그는 악기 연주에 능숙하다고 주장하며 다음 날 공연을 보러 오라고 초대했다. 호기심에 찬 군중들이 모이자 그는 성대한 연회를 준비했다. 그러나 그는 음악을 연주하는 대신 일어나서 자신을 수필가이자 시인이라고 소개한 후, 비싼 돈을 주고 산 악기를 산산조각 내고, 《38편의 가사》를 포함한 자신의 작품들을 나눠주었다.[4]
측천무후의 중요한 조언자였던 천쯔앙은 현실을 반영하는 시를 굳게 옹호했으며, 정치에 대한 그의 적극적인 관심으로 인해 그의 작품에는 사회 비판적 성향이 많이 담겨 있다.[5] 고종이 붕어하여 능묘 문제가 제기되었을 때, 이에 대해 상소를 올린 결과 측천무후에게 재능을 인정받아 인대정자(비서정자)에 임명되었다. 그 후, 우습유가 된 진자앙은 측천무후 조정의 혹형과 밀고 제도를 사용하는 비정한 정치 체제를 비판하는 상소를 올렸다. 이로 인해 투옥되었으나, 그의 진지함을 평가받아 복직하게 되었다.
696년(만세통천 원년)부터 무유의(측천무후의 백부인 무사양의 손자)가 이끄는 거란 토벌군에 참모(기실참군)로 참가했다. 전과를 좀처럼 올리지 못하는 무유의에게 계책을 상소하여 간언을 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고 오히려 강등 처분을 받았다.
2. 3. 거란 토벌 종군과 죽음
696년(만세통천 원년) 측천무후의 백부 무사양의 손자 무유의가 이끄는 거란 토벌군에 참모(기실참군)로 참가했다. 진자앙은 전과를 좀처럼 올리지 못하는 무유의에게 계책을 상소하여 간언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오히려 강등 처분을 받았다.[3] 성력 연간에 늙은 아버지의 간호를 위해 귀향했으나, 아버지가 사망하자 충격을 받았다. 병약한 체질이었던 진자앙은 건강이 더욱 악화되었으며, 현령 단간의 무고로 투옥되어 분격한 나머지 옥사했다.[3] 단간이 진자앙을 함정에 빠뜨린 이유로는 진씨 가문의 재산을 노렸기 때문이라는 설, 혹은 무씨 일족의 사주를 받았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3]3. 시풍(詩風)과 작품
첸쯔앙은 당나라 시 초기 시인으로서, 당시 문학의 쇠퇴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는 친구에게 보낸 글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 문학의 예술은 500년 동안 쇠퇴해 왔다... 여가 시간에 나는 제나라와 양나라의 시를 살펴보았고, 진정한 감정과 통찰력이 무의미한 수사와 말의 섬세한 세련됨에 의해 억눌린 것을 발견했을 때 탄식할 수밖에 없었다. 너무 많은 수사학, 그리고 너무 적은 감정! 시경의 웅대한 전통은 언제 부활할 것인가?[6]
첸쯔앙은 이러한 인식 아래, 육조 시대의 화려한 시풍을 벗어나 후한 건안 문학의 견고함을 이상으로 삼고, 보다 질박하고 진솔한 시풍을 추구했다.
시 외에 상소문을 모은 『진백옥집(陳伯玉集)』이 있다.
3. 1. 육조 시대 시풍 극복과 복고주의
진자앙의 시풍은 육조 시대의 화려함을 벗어나 후한 시대 건안 문학의 견고함을 이상으로 삼았으며, 성당 시의 질박한 풍격의 초석이 되었다. 그의 시집 "감우(感遇)" 38수는 완적의 "영회시"를 바탕으로, 불변하는 신선 세계와 변화하는 현실 사회를 대비하고, 역사를 거울삼아(영사) 사회 비판을 담은 오언 고시 연작이다.[6] "계구람고(薊丘覧古)"와 "등유주대가(登幽州台歌)"는 거란 토벌 종군 시 지은 잡언 고시로, 인간 존재의 고독함을 표현하고 있다.3. 2. 주요 작품: 감우(感遇), 계구람고(薊丘覽古), 등유주대가(登幽州臺歌)
진자앙은 38편의 시집인 "감우"()로 잘 알려져 있다. "감우"는 당시의 시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것보다 더 단순한 어휘로 쓰였고 도교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는 당시삼백수에 시 한 편을 싣고 있는데,[7] 위터 바이너는 이를 "유저우의 성루에서"로 번역했다.진자앙의 시풍은 육조 시대의 화려함을 벗어나 후한 시대 건안 문학의 견고함을 이상으로 삼았으며, 성당 시의 질실한 기풍의 초석이 되었다. "감우(感遇)" 38수는 완적의 "영회시"를 바탕으로, 불변하는 신선 세계와 변해가는 현실 사회의 모습을 대비하여 표현하고, 더 나아가 역사를 거울 삼아(영사) 사회 비판까지 담고 있는 오언 고시 연작이다. "계구람고(薊丘覽古)"나 "등유주대가(登幽州台歌)"는 거란 토벌에 종군했을 때의 잡언 고시로, 인간 존재의 고독함을 표현하고 있다.
4. 한국 문학에 미친 영향
진자앙의 시는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문인들에게 큰 영향을 주어, 한국 한시(漢詩)의 중요한 흐름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그의 시풍(詩風)과 주제 의식은 한국 문학, 특히 한시에 큰 영향을 미쳤다.
4. 1. 한국어 번역
주기평, 강민호, 서용준, 김수희, 홍혜진, 정세진, 임도현이 함께 번역하고 해설한 《진자앙 시》가 2017년 9월 29일 학고방에서 출간되었다.[1]참조
[1]
문서
Wu
[2]
문서
Wu
[3]
문서
Wu
[4]
문서
Wu
[5]
서적
The Reason for Chen Zi'ang's Death
[6]
문서
Wu
[7]
서적
Tangshi II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