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천군·괴산군·음성군 (1973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천군·괴산군·음성군 선거구는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진천군·음성군 선거구와 괴산군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신설되었으며,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진천군·음성군 선거구와 괴산군 선거구로 분리되면서 폐지되었다. 이 선거구에서는 1973년부터 1985년까지 총 4번의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괴산군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괴산군의회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괴산군의회에서는 총 8명의 의원을 선출한 결과, 더불어민주당이 압승하고 자유한국당과 무소속이 일부 의석을 차지하며, 가선거구에서 더불어민주당의 강세, 나선거구와 다선거구에서 보수와 진보 진영 간의 경쟁이 나타났다. - 괴산군의 정치 - 괴산군수 선거
괴산군수 선거는 1995년부터 괴산군수를 선출하는 선거로, 무소속 후보의 강세 속에서 민주당과 국민의힘 후보 당선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 진천군의 정치 - 증평군·진천군·음성군
증평군·진천군·음성군 선거구는 2016년 신설되어 20대 총선에서 새누리당 경대수 후보가 당선되었으나, 21대와 22대 총선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임호선 후보가 연이어 당선되며 정치적 변화를 나타냈다. - 진천군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진천군의회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진천군의회는 2018년 지방선거 결과로, 진천군 가선거구와 나선거구에서 지역구 6명과 비례대표 1명을 포함하여 총 7명의 의원을 선출했으며, 더불어민주당이 5석, 자유한국당이 2석을 확보했다. - 음성군의 정치 - 증평군·진천군·음성군
증평군·진천군·음성군 선거구는 2016년 신설되어 20대 총선에서 새누리당 경대수 후보가 당선되었으나, 21대와 22대 총선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임호선 후보가 연이어 당선되며 정치적 변화를 나타냈다. - 음성군의 정치 - 음성군수
음성군수는 충청북도 음성군의 행정 수반이며, 1995년 지방자치제 시행 이전에는 관선 군수가, 이후에는 주민 직선으로 선출된 민선 군수가 역임해왔다.
진천군·괴산군·음성군 (1973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진천군·괴산군·음성군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충청북도 |
연도 | 1973 |
폐지 | 1988 |
유형 | 국회 |
이전 선거구 | 진천군·음성군 괴산군 |
이후 선거구 | 진천군·음성군 괴산군 |
의원 수 | 2인 |
2. 역사
진천군·괴산군·음성군 선거구는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진천군·음성군 선거구와 괴산군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신설되었다. 이후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진천군·음성군 선거구와 괴산군 선거구로 분리되면서 폐지되었다.
2. 1. 선거구 변천사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진천군·음성군 선거구와 괴산군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신설되었다.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진천군·음성군 선거구와 괴산군 선거구로 분리되면서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4. 역대 선거 결과
wikitext
대수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제9대 | 이충환 | 신민당 | 47,760 | 39.44 |
김원태 | 민주공화당 | 40,932 | 33.80 | |
안동준 | 무소속 | 24,093 | 19.89 | |
오성섭 | 민주통일당 | 8,286 | 6.84 | |
제10대 | 오용운 | 민주공화당 | 57,103 | 42.82 |
이충환 | 신민당 | 40,058 | 30.04 | |
안동준 | 무소속 | 24,361 | 18.27 | |
채영만 | 민주통일당 | 11,810 | 8.85 | |
제11대 | 안갑준 | 민주정의당 | 43,994 | 32.57 |
김완태 | 한국국민당 | 37,845 | 28.01 | |
김연태 | 무소속 | 23,829 | 17.64 | |
허탁 | 민주한국당 | 18,943 | 14.02 | |
김래동 | 원일민립당 | 5,523 | 4.08 | |
김형순 | 민권당 | 4,940 | 3.65 | |
제12대 | 김종호 | 민주정의당 | 95,781 | 67.00 |
김완태 | 한국국민당 | 35,320 | 24.71 | |
오성섭 | 민주한국당 | 7,169 | 5.01 | |
서광렬 | 신한민주당 | 4,667 | 3.26 |
4. 1. 제9대 (1973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이충환 | 신민당 | 47,760 | 39.44 |
김원태 | 민주공화당 | 40,932 | 33.80 |
안동준 | 무소속 | 24,093 | 19.89 |
오성섭 | 민주통일당 | 8,286 | 6.84 |
합계 | 121,071 | 100 | |
무효표 | 2,246 | - | |
유권자 | 155,420 | - |
4. 2. 제10대 (1978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오용운 | 민주공화당 | 57,103 | 42.82 |
이충환 | 신민당 | 40,058 | 30.04 |
안동준 | 무소속 | 24,361 | 18.27 |
채영만 | 민주통일당 | 11,810 | 8.85 |
합계 | 133,332 | 100 | |
무효표 | 2,462 | - | |
유권자 | 161,473 | - |
4. 3. 제11대 (1981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안갑준 | 민주정의당 | 43,994 | 32.57 |
김완태 | 한국국민당 | 37,845 | 28.01 |
김연태 | 무소속 | 23,829 | 17.64 |
허탁 | 민주한국당 | 18,943 | 14.02 |
김래동 | 원일민립당 | 5,523 | 4.08 |
김형순 | 민권당 | 4,940 | 3.65 |
합계 | 135,074 | 100.00 | |
무효표 | 1,769 | - |
4. 4. 제12대 (1985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김종호 | 민주정의당 | 95,781 | 67.00% | 당선 |
김완태 | 한국국민당 | 35,320 | 24.71% | 당선 |
오성섭 | 민주한국당 | 7,169 | 5.01% | |
서광렬 | 신한민주당 | 4,667 | 3.26% | |
합계 | 142,937 | |||
무효표 | 2,495 | |||
유권자 | 159,761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