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짱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짱깨는 한족들이 청나라 지배자 앞에서 자신을 낮춰 부르던 '청국노'에서 유래된 단어로, 일본을 거쳐 한국에 유입되었다. 일본 제국 시기에는 중국인, 특히 한족을 비하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으며, 한국에서는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멸칭으로 굳어졌다. 현재는 비속어, 혐오 표현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짜장면 등 중화 요리를 지칭하는 속어로 쓰이기도 한다. '착한 짱깨는 죽은 짱깨뿐'(착짱죽짱)과 같은 혐오 표현은 중국인 혐오를 조장하며 사회적 갈등을 야기한다.

2. 유래

'''짱깨'''(짱꼴라)는 한족들이 청나라의 여진족(만주족) 지배자들 앞에서 무릎을 끓고 절을 하면서 자신들을 '노재(奴才)'라 부르던 것을 비꼬는 '청국노(淸國奴)'에서 유래되었다. 이 말은 일본을 거쳐 한국에 유입되었다. 청국노는 당시 한족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는데, 민남어(閩南話) 발음 ''Chheng-kok-lô͘''가 일본어 '챵꼬로'(ちゃんころ)로 표기되었다.[5]

2. 1. 청국노(淸國奴) 기원

짱깨는 한족들이 청나라의 여진족(만주족) 지배자들 앞에서 무릎을 꿇고 절을 하면서 자신들을 '노재(奴才)'라 부르던 것을 비꼬는 '청국노(淸國奴)'에서 유래되었다.[5] 청국노는 당시 한족(漢族)을 가르키는 말로 사용되었는데 민남어(閩南話) 발음 "''Chheng-kok-lô͘"'' 가 일본어로 '챵꼬로'(ちゃんころ)로 표기되었다.[5] 일본 제국의 정치인과 일본군이 청나라에 방문했을 때, 만주족의 지배하에 있던 한족이 만주족 앞에서 무릎을 꿇고 머리를 숙여 인사를 하면서 자신들을 노재라고 부르는 것을 보고, 중국인(한족)을 청국노(짱깨)라고 부른 것이 어원이다.

2. 2. 일본 유입 및 변화

청나라때 '청국노'라는 말이 일본에 유입되었다. 민남어(閩南話) 발음 "''Chheng-kok-lô͘"'' 가 일본어로 '챵꼬로'(ちゃんころ)로 표기되었다.[5]

도조 히데키는 "챵코로(짱깨)의 역사는 한족(漢族)여성의 엉덩이로 이룩한 역사일 뿐이다. 중국은 이민족의 지배로 점철된 역사이다"라고 주장하였는데, 이는 고구려가 중국을 정복하였고 선비족, 몽골족, 만주족 등 여러 이민족이 중국을 정복했기 때문에 나온 말이다.[6]

일본 제국의 정치인과 일본군이 청나라에 방문했을 때, 만주족의 지배하에 있던 한족이 만주족 앞에서 무릎을 꿇고 머리를 숙여 인사를 하면서 한족들을 노재라고 부르는 것을 보고 중국인(한족)을 청국노(짱깨)라고 부른 것이 어원이다.

"짱깨"라는 말은, 일본 제국이 중국에 적극적으로 출병하는 메이지 시대부터 빈번하게 사용되었다. 이른바 "병대 지나어"의 하나이다. 중국 옷을 "짱 옷", 중화 요리를 "짱 요리" 등으로 형용사적으로 줄여서 사용하기도 했다. 전쟁 중에 일본군이 정복한 중국 영토에 있는 중국인(한족)과 적에 대해 사용하는 속어로 정착되었다.[3][4]

짱깨라는 단어는 1930년대에도 지칭어로 사용된 기록이 존재하며, 현재도 짱깨, 짱꼴라는 멸칭이나 비속어가 아닌 속어(지칭어)로 사용되고 있다.

2. 3. 한국 유입과 의미 변화

"짱깨"라는 말은 일본 제국중국에 적극적으로 출병하던 메이지 시대부터 자주 사용되었으며, 이른바 "병대 지나어" 중 하나이다. 일본 제국의 정치인과 일본군청나라를 방문했을 때, 만주족에게 지배받던 한족이 만주족 앞에서 무릎을 꿇고 머리를 숙여 인사하며 자신들을 노재(奴才)라고 칭하는 것을 보고, 일본군이 중국인(한족)을 청국노(淸國奴, 짱깨)라고 부른 것이 그 어원이다. 중국 옷을 "짱 옷", 중화 요리를 "짱 요리"와 같이 형용사적으로 줄여 사용하기도 했다. 전쟁 중 일본군이 점령한 중국 영토 내 중국인(한족)과 적군을 대상으로 사용하는 속어로 정착되었다.[3][4]

짱깨(짱꼴라)는 한족들이 청나라의 여진족(만주족) 지배자들 앞에서 무릎을 꿇고 절하며 자신들을 '노재'라 부르던 것을 비꼬는 '청국노'에서 유래했다. 이 말은 일본이 중국을 식민지배하면서 일본에 유입되었다. 청국노는 당시 한족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는데, 민남어(閩南話) 발음 "''Chheng-kok-lô͘"''가 일본어 '챵꼬로'(ちゃんころ)로 표기되었다.[5] 도조 히데키는 "챵코로(짱깨)의 역사는 한족 여성의 엉덩이로 이룩한 역사일 뿐이다. 중국은 이민족의 지배로 점철된 역사이다"라고 주장했는데, 이는 고구려가 중국을 정복했고 선비족, 몽골족, 만주족 등 여러 이민족이 중국을 정복했기 때문에 나온 말이다.[6] 1930년대에도 짱깨라는 단어가 지칭어로 사용된 기록이 있으며, 현재도 짱깨, 짱꼴라는 멸칭이나 비속어가 아닌 속어(지칭어)로 사용되고 있다.

3. 의미와 용례

짜장면, 짬뽕과 같은 음식이나 중국집을 '짱깨'라고 부르기도 한다. '''착한 짱깨는 죽은 짱깨뿐'''이라는 뜻의 신조어 '''착짱죽짱'''은 미국 인디언 전쟁 당시 필립 셰리든이 했다고 알려진 "좋은 인디언은 오직 죽은 인디언뿐이다."[7][8][9]라는 말에서 유래했다. '좋짱죽짱'이라는 표현도 있었지만, 발음이 쉬운 '착짱죽짱'이 널리 쓰인다. 중국인이 죽으면 '착해졌다'고 표현하기도 한다. 과거 한국에서 많은 중국인 노동자들이 일했는데, 한국인 사장이 이들을 폭행하는 일이 잦아지면서 "짱깨는 패야 말을 잘 듣는다"라는 말이 유행하기도 했다.

3. 1. 중화 요리 및 중국집 지칭

짜장면, 짬뽕과 같은 음식을 짱깨, 그 음식들을 요리, 판매하는 중국집의 경우 짱깨집으로 부르기도 한다.

4. 혐오 표현으로의 확장: 착짱죽짱

'착짱죽짱'은 중국인을 혐오하는 표현으로, 대한민국신조어이다. 이 표현은 미국 인디언 전쟁 당시 필립 셰리든 장군이 말했다고 알려진 "좋은 인디언은 오직 죽은 인디언뿐이다."[7][8][9]에서 유래했다. '좋은 짱깨는 죽은 짱깨뿐'이라는 표현도 있었지만, 발음이 쉬운 '착짱죽짱'이 널리 쓰인다.

4. 1. '착짱죽짱'의 유래와 의미

'''착한 짱깨는 죽은 짱깨뿐'''(줄여서 '''착짱죽짱''')은 대한민국신조어이다. 이 표현은 미국에서 미국 인디언 전쟁을 이끈 필립 셰리든 장군이 말했다고 알려진 "좋은 인디언은 오직 죽은 인디언뿐이다."[7]라는 말에서 유래했다.[8][9] '좋은 짱깨는 죽은 짱깨뿐'(줄여서 '좋짱죽짱')이라는 표현도 있었지만, 발음하기 쉬운 '착짱죽짱'이 더 널리 쓰이게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중국인이 사망했을 때 '착해졌다'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과거부터 많은 중국인들이 한국에서 외화벌이 노동자로 일해 왔는데, 한국인 사장이 중국인 노동자들을 폭행하는 사건이 자주 발생하면서 "짱깨는 맞아야 말을 잘 듣는다"라는 말도 유행하기 시작했다.

4. 2. '착짱죽짱'의 사회적 영향

'착짱죽짱'은 대한민국신조어로, 미국 인디언 전쟁 당시 필립 셰리든 장군이 말했다고 알려진 "좋은 인디언은 오직 죽은 인디언뿐이다."[7][8][9]라는 말에서 유래했다. '좋은 짱깨는 죽은 짱깨뿐'이라는 표현도 있었으나, 발음하기 쉬운 '착짱죽짱'이 더 널리 사용된다. 이 표현은 중국인이 사망했을 때 '착해졌다'고 말하는 식으로 변형되어 쓰이기도 한다. 과거 한국인 사장이 중국인 노동자들을 폭행하는 일이 잦아 "짱깨는 패야 말을 잘 듣는다"라는 말이 유행하기도 했다.

5. 한국 사회와 짱깨 인식

이전 단계에서 원본 소스(source)가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주어진 지시사항에 따라 결과물을 수정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원본 소스가 있어야 내용을 분석하고, 중복을 제거하고, 허용된 문법에 맞게 수정할 수 있습니다.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지시사항에 맞춰 수정된 위키텍스트를 출력하겠습니다.

6. 관련 사건 및 논란

'짱깨'라는 단어와 관련된 사건 및 논란으로는 '착한 짱깨는 죽은 짱깨뿐'이라는 표현이 줄여서 착짱죽짱으로 대한민국에서 신조어로 사용되고 있다. 이 표현은 미국 인디언 전쟁 당시 필립 셰리든 장군이 "좋은 인디언은 오직 죽은 인디언뿐이다."라고 말한 것에서 유래했다.[7][8][9] 여기서 파생되어 중국인이 사망했을 때 '착해졌다'고 표현하기도 한다. 과거 한국에 많은 중국인 노동자들이 일하러 왔을 때, 한국인 사장이 중국인 노동자들을 폭행하는 일이 잦아지면서 "짱깨는 패야 말을 잘 듣는다"라는 말도 유행하기 시작했다.

대한민국의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 '짱깨', '착짱죽짱'과 같은 표현이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표현은 중국인에 대한 혐오를 조장하고, 나아가 인종차별적인 인식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6. 1. 혐오 발언 및 차별 사례

'착한 짱깨는 죽은 짱깨뿐'이라는 말은 줄여서 착짱죽짱이라고도 하며, 대한민국신조어이다. 이는 미국 인디언 전쟁 당시 필립 셰리든 장군이 말했다고 알려진 "좋은 인디언은 오직 죽은 인디언뿐이다."라는 말에서 유래했다.[7][8][9] '좋은 짱깨는 죽은 짱깨뿐'이라는 표현도 있었지만, 발음하기 쉬운 '착짱죽짱'이 더 널리 쓰이게 되었다. 여기서 파생되어 중국인이 사망했을 때 '착해졌다'고 표현하기도 한다. 과거 한국에 많은 중국인 노동자들이 일하러 왔을 때, 한국인 사장이 중국인 노동자들을 폭행하는 일이 잦아지면서 "짱깨는 패야 말을 잘 듣는다"라는 말도 유행하기 시작했다.

6. 2. 온라인 혐오 표현 문제

대한민국의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 '짱깨', '착짱죽짱'과 같은 표현이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있다. '착짱죽짱'은 "착한 짱깨는 죽은 짱깨뿐"이라는 말의 줄임말로, 미국 인디언 전쟁 당시 필립 셰리든 장군이 말했다고 알려진 "좋은 인디언은 오직 죽은 인디언뿐이다."[7][8][9]라는 말에서 유래했다.

이러한 표현은 중국인에 대한 혐오를 조장하고, 나아가 인종차별적인 인식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참조

[1] 서적 大辞林 三省堂
[2] 문서 広辞苑
[3] 웹사이트 http://zokugo-dict.c[...]
[4] 문서
[5] 문서
[6] 문서
[7] 뉴스 “죽은 인디언 대신, 살아남아 최악의 인디언이 되리라” https://www.hankooki[...] 2022-04-15
[8] 뉴스 "착한 짱X는 죽은 짱X죠"…도 넘은 중국인 혐오, 문제 없나 https://cm.asiae.co.[...] 2022-01-13
[9] 뉴스 "'착짱죽짱' 들은 중국인…"한국이 밉다"[관심집中] https://mt.co.kr/ren[...] 2020-05-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