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강문학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강문학상은 2009년부터 시작된 문학상으로, 시, 시조, 소설, 아동문학, 수필 등 다양한 부문의 작품을 대상으로 한다. 매년 각 부문별 대상 및 우수상을 시상하며, 역대 수상작 정보가 연도별로 정리되어 있다.
김정아 - 바람 속의 잠
2. 역대 수상 작품
김승훈 - 마블링
유현주 - 감자를 묻자
강명수 - 배추벌레
정일남 - 구절리수필 김희자 - 등피 안미자 - 추임새
정기상 - 매미
박산하 - 만평농장 가꾸기
최계순 - 고가(古家)
장미숙 - 부추
김나현 - 느티나무처럼아동문학 이순영 - 꽃시계 금해랑 - 가을_할머니와 호박꽃
서진희 - 하회탈 인사
김병욱 - 글씨
김양화 - 울지 못하는 새
윤영선 - 향기
최미애 - 이, 고집불통소설 주경로 - 여우별을 사랑하다 이서진 - 그리자벨라를 위하여
이채원 - 연두벌레
조수현 - 믿음 혹은 신념의 문제
양호문 - 호수와 노인
윤규열 - 푸른 상자
정의권 - 세상 모질게 살았노라2010년 시 박은영 - 토구 도복희 - 숫돌
이기호 - 눈부처시조 장은수 - 새의 지문_빗살무늬토기 박성민 - 벽
김사은 - 껌이 내게로 와 꽃이 되었다소설 유애숙 - 안개소리 홍지화 - 내 거울 속 달팽이
김외숙 - 매직아동문학 박재광 - 돌배나무 두 그루 김규학 - 등 돌리고 자면
조명숙 - 바보 토우수필 정성희 - 舞 김혜강 - 格
장미숙 - 바지랑대2011년 시 오정순 - 공터의 풍경 임재정 - 물속 경주 남산
한승엽 - 붉은발말똥게시조 송영일 - 누이의 강 김진 - 아홉굿 의자 마을
박혜란 - 사과 3소설 김진영 - 안경 한수연 - 손
송방순 - 끈아동문학 신난희 - 숲에서 엄정숙 - 조롱박 등 수필 윤승원 - 봄, 수목원을 읽다 김정화 - 숨은 소리
최윤정 - 반딧불이처럼2012년 시 최 모 씨 - 밤 외출 김춘순 - 화농의 봄
임세한 - 감자를 캐며시조 박해성 - 만복열쇠점 최영효 - 나목시대
이하림 - 독서-갠지스강소설 홍이레 - 독거미 최지애 - 늙은 여자의 노래
장미영 - 그룹 헤로인아동문학 강영인 - 우리집 우아낙 홍이지민 - 은행나무 파라솔
김현희 - 투명인간수필 최미지 - 바닥론 이정순 - 인생 소묘
김윤선 - 틈이 말하다2013년 시 변희수 - 뿔[1] 정정례 - 덤불 설계도
박산하 - 도요와 영산댁시조 유선철 - 늦가을 문상 김석이 - 아우라지
성국희 - 균열소설 주욱 - 미노타우로스 최종미 - 로봇청소기와의 동거
박정원 - 암홍어아동문학 신솔원 - 할머니의 등긁기 우애란 - 천개의 돌탑
이서영 - 미안해서수필 박동조 - 거미 현경미 - 경계에서
허효남 - 벽, 너를 더듬다2014년 시 최정아 - 꽃피는 칼[2] 김이솝(본명 김대성) - 버드나무 활극(수목장)
정진혁 - 녹이 슬었다시조 박복영 - 저녁의 안쪽 이윤훈 - 셔코항에서
조경선 - 배웅소설 이경호 - 늑대를 기다리며 양진영 - 냉동 발레리나
최석규 - 소설이 곰치에게 줄 수 있는 것아동문학 김정민 - 내 의자 장석순 - 덩굴손
김귀자 - 전철역 비둘기수필 조현미 - 항아리 김이랑(본명 김동수) - 헌책방을 읽다
조옥상 - 무종2016년 시 박형권[3] 시조 권점희 소설 문소정 아동문학 이은미 수필 김현숙 2017년 시 최분임 - 빈 목간을 읽다[4][5] 시조 김환수 - 3대 조폭 소설 이수조 - 해무의 시간 아동문학 안선희 - 살구나무 할아버지 수필 이혜경 - 각도를 풀다 2018년 시 유종서 - 나비물 최류빈 - 편백나무의 영토 시조 이성목 - 쇠뿔 정미경 - 목인 소설 조미진 - 달려라 자전거 이준호 - 제12조 제2항 아동문학 김수희 - 덩굴장미 최은경 - 삼색 고양이, 냥고 수필 이혜경, 허정신 - 냇내, 그리움을 품다 안희옥 - 청에 젖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