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제연폭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제연폭포는 '하늘의 임금 연못'이라는 뜻으로, 제주특별자치도에 위치한 폭포이다. 제1폭포는 평상시에는 절벽이지만, 우기에 물줄기가 형성되어 폭포가 되며, 제2, 3폭포는 항상 폭포수가 흘러 계곡의 장관을 이룬다. 천제연 주변에는 담팔수, 솔잎란 등 희귀 식물이 자생하는 난대림이 있으며, 주상절리 지형을 이룬다. 중문관광단지에 있는 선임교는 칠선녀 전설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다리이다. 옛날부터 칠선녀들이 폭포 연못에서 목욕을 했다는 전설이 전해지며, 짝수 해 5월에는 칠선녀 축제가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주특별자치도의 폭포 - 정방폭포
정방폭포는 제주도 서귀포시에 있는, 바다로 직접 떨어지는 폭포로, 아름다운 경관으로 유명하지만 4·3 사건의 비극적인 역사를 지닌 곳이기도 하며, 제주도의 대표적인 자연경관 중 하나이다. - 제주특별자치도의 폭포 - 천지연폭포
천지연폭포는 서귀포시에 있는 높이 약 22m의 폭포로, 섬반천의 용천수를 수원으로 하며, 다양한 희귀식물이 서식하는 난대림과 천연기념물 담팔수 자생지가 있는 제주도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이다. - 제주특별자치도의 관광지 - 천지연폭포
천지연폭포는 서귀포시에 있는 높이 약 22m의 폭포로, 섬반천의 용천수를 수원으로 하며, 다양한 희귀식물이 서식하는 난대림과 천연기념물 담팔수 자생지가 있는 제주도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이다. - 제주특별자치도의 관광지 - 아쿠아플라넷
아쿠아플라넷은 대한민국 여러 지역에서 운영되는 아쿠아리움으로, 아쿠아플라넷 63, 여수, 제주, 일산, 광교 등이 있다. - 서귀포시의 지리 - 마라도
마라도는 대한민국 최남단의 섬으로, 해저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독특한 지형과 풍부한 해양 생태계, 최남단이라는 상징성을 지닌 관광 명소이지만, 최근 고양이 개체 수 증가로 인한 생태계 교란 문제가 있다. - 서귀포시의 지리 - 가파도
가파도는 제주도 남쪽의 평탄한 섬으로, 청보리밭과 관광 시설이 잘 갖춰져 있으며, 과거 마라도의 본섬이었고 해산물과 고구마가 특산물이며, 섬 이름은 가오리 모양이나 파도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천제연폭포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천제연폭포 |
현지명 | 天帝淵 瀑布 |
로마자 표기 | Cheonjeyeon Waterfall |
위치 정보 | |
위치 | 제주특별자치도, 대한민국 서귀포시 중문동 |
폭포 정보 | |
폭포 수 | 3 |
높이 | 22 |
최장 높이 | 30 |
너비 | 12 |
이미지 정보 | |
![]() | |
![]() |
2. 지리 및 구조
천제연은 '하늘의 임금 연못'이라는 뜻으로, 한국 전설에 따르면 일곱 선녀들이 밤에 하늘에서 내려와 목욕을 했다고 한다.[4] 3단 폭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폭포 절벽과 아래쪽 점토층 사이에서도 물이 솟아난다.[5] 첫 번째 폭포에서 떨어진 물은 두 번째 폭포를 거쳐 30m 떨어지고, 세 번째 폭포로 이어져 결국 바다에 도달한다.[1][5] 폭포 위에는 천제연 전설을 상징하는 선임교가 있다.[1][5]
2. 1. 제1폭포
천제연 제1폭포는 평상시에는 절벽처럼 보이나 우기에 비가 온 후 물줄기가 형성되어 폭포가 되는 건천(乾川)이다.[7] 제주도에는 이와 같이 비 온 후 물줄기가 형성되어 폭포가 되는 엉또폭포가 있다.[7] 주변 절벽은 주상절리대이다.[1]
차가운 물이 동굴 천장에서 흘러나와 폭포를 이룬다.[1] 폭포 절벽과 아래쪽 점토층 사이에서도 물이 솟아난다.[5] 첫 번째 폭포의 절벽 높이는 22m이고, 물은 21m 깊이의 천제연 연못으로 떨어진다.[5]
2. 2. 제2폭포 및 제3폭포


천제연 제1폭포와 달리 제2폭포 및 제3폭포는 항상 폭포수가 흘러 계곡의 장관을 이룬다. 제1폭포에서 흘러나온 물과 지류가 합쳐져 제2폭포를 이루고, 제2폭포를 거쳐 제3폭포를 이룬 후 바다로 흘러들어간다. 폭포마다 형성되어 있는 연못에서 한라산 천연보호구역으로 지정 보호되고 있는 천제연 주변 난대림 안에는 지방기념물 제14호로 별도 지정되어 있는 담팔수, 솔잎란 등 희귀식물 등이 자생하고 있다.[8] 천제연 난대림지대에는 용암류 바위들에 나무와 덩굴 따위가 뒤엉킨 곶자왈의 일부 형태도 간직하고 있다.
3. 천제연 난대림
천제연 폭포 주변의 난온대림은 1993년 천연기념물 제378호로 지정되었다.[6] 천제연 난대림지대에는 용암류 바위들에 나무와 덩굴 따위가 뒤엉킨 곶자왈의 일부 형태도 보존되어 있다. 솔잎란이나 골고사리 (''Psilotum nudum'')와 같은 희귀 식물들을 암석 틈에서 찾아볼 수 있다.[1][6] 한라산 천연보호구역으로 지정 보호되고 있는 천제연 주변 난대림 안에는 지방기념물 제14호로 별도 지정되어있는 담팔수 등 희귀식물들이 자생하고 있다.[8]
4. 선임교 (칠선녀 다리)
중문관광단지 끝에 있는 다리로 길이는 128m, 높이는 78m, 폭은 4m이다. 견우와 직녀 설화의 오작교 형태로 꾸민 구름다리로 양쪽 옆면에는 칠선녀의 전설을 소재로 조각한 칠선녀상이 있기 때문에 ‘선녀다리’, ‘칠선녀교’라고도 불린다.[9] 칠선녀상은 각각 다른 악기를 들고 구름을 타고 올라가는 모습으로 양면에 조각되어 있다. 선녀상 주변에는 한국 전통 건축 형태의 누각인 천제루와 거북이, 용, 돼지, 원앙, 잉어가 조각된 오복천이 있다.[9]
5. 칠선녀 전설
한국 전설에 따르면, 일곱 선녀들이 밤에 하늘에서 내려와 천제연의 연못에서 목욕을 했다고 한다.[4] 옛날부터 칠석 (음력 7월 7일)과 백중 (음력 7월 15일)에 폭포 아래에 서면 병이 낫는다고 여겨졌으나, 현재는 수영이 금지되어 있다.[4] 짝수 해 5월에는 이곳에서 칠선녀 축제가 열린다.[1][4]
참조
[1]
웹사이트
Cheonjeyeon Falls
https://web.archive.[...]
2011-06-07
[2]
논문
Relationship between Destination Image and Tourists' Future Behavior: Observations from Jeju Island, Korea
[3]
뉴스
Midnight at the pond of the Gods
http://www.jejuweekl[...]
2011-06-07
[4]
서적
Frommer's South Korea
https://books.google[...]
Frommer's
2011-06-07
[5]
웹사이트
Cheonjeyeon Waterfall
https://web.archive.[...]
2011-06-07
[6]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and Nature Reserves of Korea
http://www.paforum.o[...]
Korea Protected Areas Forum
2011-06-07
[7]
웹사이트
천제연 폭포
https://korean.visit[...]
2020-02-15
[8]
웹사이트
중문관광단지
http://www.jungmunre[...]
2020-02-15
[9]
웹사이트
천제연폭포(선임교)
http://www.jungmunre[...]
2020-0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