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천지호 침몰 사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지호 침몰 사고는 1954년 5월 17일, 5,243톤급 유조선 천지호가 벙커C유 7천 톤을 싣고 울산에서 인천으로 항해 중 목포 병풍도 부근 해상에서 짙은 안개와 폭풍으로 좌초되어 침몰한 사고이다. 이 사고로 벙커C유가 유출되어 흑산도와 고군산열도 어장에 피해를 입혔으며, 승선자 48명 중 31명이 구조되고 16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후 선체 인양 시도가 있었으나 실패하였고, 1973년에는 피해 보상 관련 재판이 진행되었다. 사고 원인으로는 병풍바위 충돌, 레이다 및 방향기 고장, 안전 불감증 등이 지적되었다.

2. 사고 경위

1954년 5월 17일, 천지호는 울산에서 벙커C유 7천 톤을 싣고 인천으로 향하던 중, 같은 날 21시에 목포항 동남방, 병풍도 부근 해상에서 짙은 안개와 폭풍으로 좌초, 침몰되었다.[1] 이 사고로 기름이 유출되어 흑산도와 고군산열도 어장에 피해를 주었으며, 피해액은 6억에 달했다.[2][3][4]

2. 1. 선박 정보

천지호는 5,243톤급 대형 유조선으로, 이탈리아에서 사용하던 것을 1954년에 도입하여 해운공사에서 운행하였다. 1954년 5월 10일 대한유조선회사에서 이를 대여하여 조선공사에서 수리하고 5월 17일 처음으로 항해하였다.[6]

2. 2. 침몰 과정

천지호는 1954년 이탈리아에서 사용하던 것을 도입, 해운공사에서 운행하던 5243ton급 유조선이었다. 5월 10일 대한유조선회사에서 대여하여 조선공사에서 수리하고 5월 17일 처음으로 항해하였다.[6]

천지호는 이날 15시에 울산에서 벙커C유 7천 톤을 싣고 인천으로 항해하던 중, 21시에 목포항 동남방, 병풍도 부근 해상에서 짙은 안개와 폭풍으로 좌초, 침몰되었다.[1]

2. 3. 기름 유출 피해

천지호 침몰로 벙커C유가 바다 위로 유출되어 흑산도와 고군산열도까지 확산되면서 어장에 피해를 주었으며,[2][3] 피해액은 6억에 가까운 것으로 추정되었다.[4]

3. 구조 및 사후 조치

천지호는 구조 요청 후, 해공 소속 인천호와 해군 함정에 의해 구조 작업이 시작되었으나, 짙은 안개와 높은 파도로 어려움을 겪었다. 48명의 승선자 중 31명만이 구조되었고, 16명은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었다.[1][5] 이후 침몰한 천지호는 인양되어 관매도로 예인되었으나, 인천항으로 예인 도중 다시 침몰하였다.[8][9] 1973년 서울지방법원은 대한유조선 측에 6600만완도군 어업협동조합에 지급하라는 판결을 내렸다.[10]

3. 1. 초기 구조 작업

천지호는 1967년 5월 17일 11시 45분경 목포 해운국에 긴급 구조를 요청하였다. 사고 해상 부근을 지나던 해공 소속 인천호와 연락을 받고 출동한 해군 함정이 100m 앞까지 접근, 선체가 60˚ 이상 기울어지고 선수만 남기고 침몰하였음을 확인하였다.[1]

구조 선박들은 짙은 안개 속에서 승선자 48명 중 31명을 구조하였다. 이들은 구조되지 못한 16명을 사망한 것으로 추정하였고, 15시에는 선체 구조를 포기하였다.[5] 해군과 해경의 함정, 대한유조회사의 선박들이 인양 작업에 참가하였으나, 안개와 파도로 5월 20일까지 3구의 시신을 인양하였다.[6][7]

3. 2. 선체 인양 시도

1968년 9월 16일, 서울 한성 살베지 회사에서 침몰한 천지호를 인양하여 관매도에 예인하였다. 기름 유출을 막기 위해 폭파가 고려되기도 하였으나 예인으로 최종 결정되었고, 예인된 배에서 벙커C유를 뽑아낸 후에 목포에서 인천이나 부산으로 예인할 예정으로 보도되었다.[8] 천지호는 1달여 후인 10월 23일, 인천항으로 예인 도중 강풍과 조류로 맹골도에서 다시 침몰되었다.[9]

3. 3. 피해 보상 재판

1973년 7월 19일 서울지방법원에서 열린 공판에서 대한유조선 측이 완도군 어업협동조합 측에 6600만을 지급하라는 판결을 내렸다. 천지호의 소유주인 대한해운공사에는 배상 책임이 없다고 판시하였다.[10]

4. 원인 분석 및 논란

1953년 5월 20일, 조선공사는 5월 10일 출항 당시 천지호가 항해에 위험하다고 경고하였으나, 해운공사 측에서 일부만 수리하고 조선 기술자를 승선시켜 운항하였다고 밝혔다.[12] 또한 천지호는 레이다와 방향기가 고장 난 상태에서 항해하였다고 보도되었다.[13]

4. 1. 사고 원인

천지호는 병풍바위와 충돌하여 침몰한 것으로 보도되었다.[11]

5월 20일, 조선공사는 5월 10일 출항 당시 천지호가 항해에 위험하다고 경고하였으나, 해운공사 측에서 일부만 수리하고 조선 기술자를 승선시켜 운항하였음을 밝혔다.[12]

천지호는 레이다와 방향기가 고장 난 상태에서 항해하였다고 보도되었다.[13]

4. 2. 안전 불감증 논란

천지호는 병풍바위와 충돌하여 침몰한 것으로 보도되었다.[11]

조선공사는 1953년 5월 20일, 5월 10일 출항 당시 천지호가 항해하기에 위험하다고 경고했으나, 해운공사 측에서 일부만 수리하고 조선 기술자를 승선시켜 운항했음을 밝혔다.[12]

천지호는 레이더와 방향기가 고장난 상태에서 항해한 것으로 알려졌다.[13]

참조

[1] 뉴스 大型油槽船天池號침몰 경향신문 1968-05-18
[2] 뉴스 천지號 침몰 漁場피해 億臺 동아일보 1968-06-11
[3] 뉴스 西海漁場망쳐 경향신문 1968-07-13
[4] 뉴스 漁民救濟策시급 매일경제 1968-07-06
[5] 뉴스 유조船침몰·16명溺死 동아일보 1968-05-20
[6] 뉴스 첫就航길에慘變 천지號침몰 屍體三구引揚 동아일보 1968-05-20
[7] 뉴스 屍體二구引揚 동아일보 1968-05-20
[8] 뉴스 천지號 완전引揚 동아일보 1968-09-19
[9] 뉴스 천지號또沈沒 仁川港에 예인도중 동아일보 1968-10-30
[10] 뉴스 "벙커C油로 漁場망친 被害漁民에 六千여萬원 賠償하라" 동아일보 1973-07-20
[11] 뉴스 悲運의 천지號 동아일보 1968-05-24
[12] 뉴스 修理않고 運航한탓 경향신문 1968-05-20
[13] 뉴스 船長拘束여부檢討 천지號沈沒사건 동아일보 1968-05-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