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산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철산역은 2000년 2월 29일 서울 지하철 7호선 온수~신풍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지하철역이다.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4개의 출구가 있다. 2005년 열차 내 방화 사건이 발생한 적이 있으며, 주변에는 철산시장, 광명시청 등 다양한 시설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명시의 전철역 - 광명역
광명역은 경기도 광명시와 안양시에 걸쳐 있는 KTX 고속철도 및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으로, 경부고속선과 호남고속선에 위치하며, 개통 초기 이용객이 저조했으나 현재는 KTX 역 중 이용객 증가율이 높은 주요 교통 거점으로 자리매김했고, 역세권에는 대규모 상업시설과 주거단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도심공항터미널이 개장하여 교통 편의성을 높였다. - 광명시의 전철역 - 광명사거리역
광명사거리역은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으로, 2000년에 '광명역'으로 개통되었으나 2004년 KTX 광명역과의 구분을 위해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2면 3선의 혼합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주변에 시장과 학교 등의 시설이 위치한다. -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 - 보라매역
보라매역은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7호선과 서울 경전철 신림선이 지나며, 2000년에 7호선이 개통되어 영업을 시작했고 2022년 신림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 - 논현역
논현역은 서울 지하철 7호선과 신분당선이 지나는 강남구의 지하철역으로, 2000년에 7호선이 개통되었고 2022년 신분당선 연장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다양한 시설이 주변에 위치해 있다. - 2000년 개업한 철도역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2000년 개업한 철도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철산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역 이름 (한국어) | 철산역 |
역 이름 (한자) | 鐵山驛 |
역 이름 (로마자) | Cheolsan Station |
위치 정보 | |
주소 | 경기도 광명시 철산로 지하13 (철산동 526) |
좌표 | 37° 28′ 33.9″ N, 126° 52′ 5.3″ E |
기본 정보 | |
노선 | 7호선 |
역 번호 | 747 |
운영 기관 | 서울교통공사 |
역 구조 | 지하역 |
승강장 | 2면 2선 (상대식) |
개업일 | 2000년 2월 29일 |
승하차 통계 | |
2015년 승차 인원 | 25,155명 |
2015년 승하차 인원 | 50,377명 |
노선 정보 | |
영업 거리 | 장암 기점 42.4 km |
이전 역 | 가산디지털단지 (746) |
이전 역 간 거리 | 1.4 km |
다음 역 | 광명사거리 (748) |
다음 역 간 거리 | 1.3 km |
출입구 정보 | |
![]() | |
승강장 정보 | |
![]() |
2. 역사
2000년 2월 29일 서울 지하철 7호선 온수~신풍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3] 2005년 1월 3일에는 가산디지털단지역(당시 가리봉역) 사이에서 열차 내 방화 사건이 발생했다.[3] 2014년 6월 30일 1번 출구 에스컬레이터가 개통되었고, 2016년 3월 21일 4번 출구 에스컬레이터도 개통되었다.
2. 1. 연혁
- 2000년 2월 29일 : 서울 지하철 7호선 온수~신풍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3]
- 2005년 1월 3일 : 철산역과 가산디지털단지역(당시 가리봉역) 사이에서 열차 내 방화 사건 발생[3]
- 2014년 6월 30일 : 1번 출구 에스컬레이터 개통
- 2014년 11월 30일 : 4번 출구 에스컬레이터 설치 공사
- 2016년 3월 21일 : 4번 출구 에스컬레이터 개통
3. 역 구조
철산역은 2면 2선의 곡선 상대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4개이다. 이 역은 반대 방향으로 횡단이 불가능하며, 삼거리를 지나가기 때문에 승강장이 상당히 구부러져 있어 열차와의 간격이 매우 넓다. 이 때문에 고속터미널역과 함께 특정역으로 분류된다.
3. 1. 개요
철산역은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가진 지하역으로, 전면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개찰구는 상하행 승강장별로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개찰구 내에서 승강장 간 이동은 불가능하다. 화장실은 개찰구 외부에 1곳 있다. 엘리베이터가 완비되어 있으며, 출입구는 1번부터 4번까지 총 4곳이 있다.
3. 2. 특징
철산역은 2면 2선의 곡선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4개이다. 이 역은 반대 방향으로 횡단이 불가능하며, 삼거리를 지나가기 때문에 승강장이 상당히 구부러져 있어 열차와의 간격이 매우 넓다. 이 때문에 고속터미널역과 함께 특정역으로 분류된다.
개찰구는 상하행 승강장별로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개찰구 내에서 승강장 간 이동은 불가능하다. 화장실은 개찰구 바깥에 1곳 있다.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출입구는 1번부터 4번까지 총 4곳이다.
3. 3. 승강장
철산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가진 지하역으로, 전면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개찰구는 상하행 승강장별로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개찰구 내에서 승강장 간 이동은 불가능하다. 화장실은 개찰구 외부에 1곳 있다.
엘리베이터가 완비되어 있고, 출입구는 1번부터 4번까지 총 4곳이 있다. 안내상의 승강장 번호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
4. 역 주변
철산역 주변에는 철산시장, 중앙시장, 철산로데오거리 등 상업 시설과 신한은행 철산역지점, 광명경찰서, 광명시청, 광명시의회, 광명시민회관, 광명세무서, 한국전력공사 광명지점, 철산고속시외버스정류장, 2001 아울렛, 광명시민운동장, 철산공원, 광명성애병원 등 다양한 시설이 있다. 행정 시설로는 철산4동 행정복지센터, 철산3동 주민센터, 철산3동 우체국, 수원지방법원 안산지원 광명시법원 등이 있다.
4. 1. 주요 시설
wiki- 철산시장
- 중앙시장
- 철산로데오거리
- 신한은행 철산역지점[1]
- 광명경찰서[1]
- 철산4동 행정복지센터
- 광명시청[1]
- 광명시의회
- 광명시민회관
- 철산3동 주민센터
- 철산3동 우체국
- 수원지방법원 안산지원 광명시법원[1]
- 광명세무서
- 한국전력공사 광명지점[1]
- 철산고속시외버스정류장
- 2001 아울렛
- 광명시민운동장
- 철산공원
- 광명성애병원
- 광명고등학교[1]
- 광명중학교[1]
- 광성초등학교[1]
- 안양천
출구 번호 | 주요 시설 |
---|---|
1번 출구 | 왕자산 공원, 철산시장[1] |
2번 출구 | 광명경찰서, 광덕초등학교[1] |
3번 출구 | 광명중학교, 광명고등학교, 광명시청, 광명법원[1] |
4번 출구 | 광성초등학교[1] |
4. 2. 행정구역
출구 | 주요 시설 |
---|---|
1번 출구 | 왕자산 공원, 철산 시장[1] |
2번 출구 | 광명경찰서, 광덕 초등학교[1] |
3번 출구 | 광명중학교, 광명고등학교, 광명시청, 광명시 법원[1] |
4번 출구 | 광성 초등학교[1] |
4. 3. 교육 시설
인근에 광덕초등학교, 광명중학교, 광명고등학교, 광성초등학교가 있다.[1]5. 이용객 변동
서울 지하철 7호선 철산역의 이용객 변동을 살펴보면, 하위 섹션에서 연도별 이용객 수와 최근 이용객 추이를 상세히 다루고 있다.[5][2]
5. 1. 개요
- - 서울 지하철 7호선 철산역의 최근 1일 평균 이용 인원 추이는 다음과 같다. 200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0년 2월 29일부터 12월 31일까지 307일간의 평균이다.[5][2]
노선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
서울 지하철 7호선 | 승차 인원 | 13,630 | 20,484 | 23,378 | 23,517 | 22,716 | 22,450 | 20,953 | 20,335 | 21,754 | 21,577 |
하차 인원 | 13,054 | 19,371 | 22,109 | 22,208 | 21,263 | 21,388 | 19,967 | 19,395 | 20,918 | 21,071 | |
승하차 인원 | 26,684 | 39,856 | 45,487 | 45,725 | 43,979 | 43,837 | 40,920 | 39,731 | 42,672 | 42,647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
서울 지하철 7호선 | 승차 인원 | 25,047 | 26,032 | 25,585 | 25,948 | 25,636 | 25,155 | ||||
하차 인원 | 24,511 | 25,465 | 25,244 | 25,748 | 25,486 | 25,222 | |||||
승하차 인원 | 49,559 | 51,496 | 50,829 | 51,696 | 51,122 | 50,377 |
5. 2. 연도별 이용객 수
200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0년 2월 29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307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7호선 | 승차 | 13,630 | 20,484 | 23,378 | 23,517 | 22,716 | 22,450 | 20,953 | 20,335 | 21,754 | 21,577 | [5] |
하차 | 13,054 | 19,371 | 22,109 | 22,208 | 21,263 | 21,388 | 19,967 | 19,395 | 20,918 | 21,071 | ||
승하차 | 26,684 | 39,856 | 45,487 | 45,725 | 43,979 | 43,837 | 40,920 | 39,731 | 42,672 | 42,647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7호선 | 승차 | 25,047 | 26,032 | 25,585 | 25,947 | 25,635 | 25,154 | 24,677 | 24,360 | |||
하차 | 24,511 | 25,465 | 25,243 | 25,748 | 25,486 | 25,222 | 24,908 | 24,665 | ||||
승하차 | 49,559 | 51,496 | 50,828 | 51,695 | 51,121 | 50,376 | 49,585 | 49,025 |
노선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출처 | |
---|---|---|---|---|---|---|---|---|---|---|---|---|
-- 7호선 | 승차 인원 | 13,630 | 20,484 | 23,378 | 23,517 | 22,716 | 22,450 | 20,953 | 20,335 | 21,754 | 21,577 | [2] |
하차 인원 | 13,054 | 19,371 | 22,109 | 22,208 | 21,263 | 21,388 | 19,967 | 19,395 | 20,918 | 21,071 | ||
승하차 인원 | 26,684 | 39,856 | 45,487 | 45,725 | 43,979 | 43,837 | 40,920 | 39,731 | 42,672 | 42,647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
-- 7호선 | 승차 인원 | 25,047 | 26,032 | 25,585 | 25,948 | 25,636 | 25,155 | |||||
하차 인원 | 24,511 | 25,465 | 25,244 | 25,748 | 25,486 | 25,222 | ||||||
승하차 인원 | 49,559 | 51,496 | 50,829 | 51,696 | 51,122 | 50,377 |
6. 사건/사고
2005년 1월 3일 - 이 역과 가산디지털단지역(당시 가리봉역) 사이에서 열차 내 방화 사건이 발생했다.[3]
7. 인접한 역
가산디지털단지역 (장암 방면) ← 철산역 → 광명사거리역 (석남 방면)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smrt.co.k[...]
2012-12-08
[2]
웹사이트
서울도시철도공사 > 알림정보 > 자료실
http://smrt.co.kr/pr[...]
[3]
웹사이트
광명 지하철 방화 용의자 검거
http://www.imaeil.co[...]
[4]
웨이백
광명 지하철 방화 용의자 검거
http://www.imaeil.co[...]
매일신문
2017-08-27
[5]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서울 아파트 팔면 다른 지역 2.6채 산다”…지역별 집값 양극화 최고조
“역시 ‘똘똘한 한 채’가 정답”…확실한 ‘한 곳’ 고르는 키워드는
광명 재개발 ‘철산역 자이’ 650가구 일반분양
규제 강화 속 수도권 역세권 아파트 ‘쾌속질주’
입주 몰린 광명 … 집값·전셋값 동반 하락
입주폭탄이 흔든 ‘준서울’ 광명…저점매수 기회일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