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량산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량산층은 경상북도 봉화군의 청량산에서 유래된 지층으로, 안동시, 청량산, 영양군, 영덕군 등 지역에 분포한다. 안동시에서는 역암과 화산암류로 구성된 청량산층과 오십봉층으로 구분되며, 청량산 일대에서는 험준한 지형을 이룬다. 영양군 지역은 하부 청량산층원과 상부 오십봉층원으로 구성되며, 현무암류와 역암, 사암, 이암 등이 나타난다. 영덕군에서는 화산암력을 포함한 응회질역암, 사암, 이암으로 구성되며 지층 두께는 2~5m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역암 지층 - 신라 역암층
신라 역암층은 백악기에 형성된 역암 지층으로, 경상 분지 내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며 화산 활동과 관련된 다양한 암석 성분을 포함하고 퇴적 시기는 약 1억 년 전으로 추정된다. - 역암 지층 - 텐다구루 층
텐다구루 층은 탄자니아 만다와 분지에 위치하며 후기 쥐라기에서 초기 백악기에 걸쳐 퇴적된 지층으로, 다양한 공룡, 익룡, 초기 포유류, 식물 화석이 발견되어 고생물학적으로 중요하다. - 사암 지층 - 퇴적암
퇴적암은 바람, 빙하, 중력, 유수에 의해 운반된 퇴적물이 층상으로 쌓여 압축 및 교결 작용을 거쳐 형성되며, 층리와 화석을 특징으로 하고, 쇄설성, 생화학적, 화학적 퇴적암 등으로 분류된다. - 사암 지층 - 영월군
영월군은 강원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하며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에 둘러싸여 동강과 서강이 흐르고, 단종 유배지와 장릉, 김삿갓 유적지 등 역사·문화 유적과 관광지가 있는 고생대 지층의 카르스트 지형과 지하자원이 풍부한 지역이었으나 석탄 산업 쇠퇴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 셰일 지층 - 퇴적암
퇴적암은 바람, 빙하, 중력, 유수에 의해 운반된 퇴적물이 층상으로 쌓여 압축 및 교결 작용을 거쳐 형성되며, 층리와 화석을 특징으로 하고, 쇄설성, 생화학적, 화학적 퇴적암 등으로 분류된다. - 셰일 지층 - 영월군
영월군은 강원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하며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에 둘러싸여 동강과 서강이 흐르고, 단종 유배지와 장릉, 김삿갓 유적지 등 역사·문화 유적과 관광지가 있는 고생대 지층의 카르스트 지형과 지하자원이 풍부한 지역이었으나 석탄 산업 쇠퇴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청량산층 | |
---|---|
개요 | |
![]() | |
유형 | 퇴적암 |
주 암질 | 역암 |
나머지 암질 | 사암, 이암, 이회암, 현무암 |
이름 유래 | 청량산 (경북) |
지질 | |
시대 | 중생대 |
시기 | 백악기 |
상위 단위 | 경상 누층군 |
하위 단위 | 청량산층원, 오십봉층원 |
하층 | 가송동층 |
상층 | 도계동층 |
2. 지층 이름의 유래
청량산층의 이름은 이 지층이 다수 노출된 경상북도 봉화군의 청량산에서 유래되었다. 청량산층 오십봉층원의 이름은 영양군 수비면 죽파리에 위치한 오십봉(826.9m)에서 유래되었다.
청량산층은 분포하는 지역에 따라 구성 암석과 층서에 차이를 보인다. 과거 지질조사에서는 청량산층을 '''청량산층군'''으로 명명하고, 이를 하부의 청량산층과 상부의 오십봉층으로 구분하였다. 예를 들어, 중평동 지질도폭(1970)에서는 역암으로 구성된 청량산층과 주로 화산암류로 된 오십봉층으로 나누었으며,[2][3] 예안 지질도폭(1963)에서도 유사하게 하부 청량산층(주로 역암)과 상부 오십봉층(안산암질 화산암류와 역암의 호층)으로 구분하였다.[4][1]
3. 지역별 암상
3. 1. 안동시
중평동 지질도폭(1970)에서 '''청량산층군'''으로 명명되었으며, 이 층은 역암으로 구성된 청량산층과 주로 화산암류로 이루어진 오십봉층으로 구분되었다.[2][3] 예안 지질도폭(1963)에서도 동일하게 청량산층군으로 명명하고, 하부의 청량산층(주로 역암)과 상부의 오십봉층(안산암질 화산암류와 역암의 호층)으로 구분하였다.[4][1]
'''청량산층'''
안동시 임동면 태곡리 남부에 일부 분포하며, 뚜렷한 원형 역암과 함께 사암, 이암, 이회암이 얇은 층으로 끼어 있다. 역암을 구성하는 역(礫)은 편마암, 화강암, 회색 사암, 적갈색 이암 등이다.[2][3] 예안 지질도폭에 따르면, 청량산층은 청량산을 비롯하여 낙동강 상류 동부 지역의 험준한 지형을 이루며, 대체로 원형 역암이 우세하고 이회암, 사암, 이암, 석회암 등이 얇게 협재된다. 역의 종류는 담회색 및 회색 규암, 결정질 편암, 회색 석회암, 각섬석 화강암, 편마암, 적갈색 이암, 회색 사암 등이며, 드물게 안산암류도 포함한다. 역의 지름은 보통 5cm에서 10cm 정도이다. 지층의 두께는 약 650m에서 700m에 달한다.[4][1]
'''오십봉층'''
중평동 도폭 북동부, 즉 안동시 예안면 구룡리와 임동면 대곡리 상부 계곡 지역에 북서-남동 방향으로 발달한다. 주로 안산암 및 현무암질 용암류로 구성되며, 용암류 사이에는 여러 매의 자색(赭色) 사암과 이암, 역암이 번갈아 나타난다. 임동면 대곡리에서는 최대 13매의 안산암류가 관찰되었으나, 예안도폭과의 경계 부근(임동면 태곡리 일대)에서는 1매에 불과했다. 이는 최소 13회 이상의 용암 분출이 있었음을 시사한다. 용암류 각 층의 두께는 15m 내외의 두꺼운 것부터 1m 내외의 얇은 것까지 다양하며, 용암류의 매수 또한 가까운 거리에서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금수천, 대곡리, 두름산(頭廩山)을 잇는 약 4km2 범위 내에서 금수천 골짜기에서는 13매였던 것이 대곡리 골짜기에서는 3매로 줄었다가, 두름산 부근에서는 6~7매가 확인되었다. 이는 이 지역이 용암류의 가장자리에 해당하여 용암이 도달한 거리가 달랐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2][3]
예안 지질도폭에 따르면, 오십봉층은 태곡 단층에 의해 서쪽의 청량산 일대와 동쪽의 봉화군 재산면 남면리 일대로 분리되어 분포한다. 안산암질 용암류 사이에 여러 매의 원형 역암, 적갈색 사암, 이암이 협재되어 있다. 오십봉층 하부에는 비교적 두꺼운 안산암류가 넓게 발달한다. 역암의 역은 지름 3cm에서 5cm 크기의 화강암, 규암, 사암, 편암, 변성퇴적암 및 화성암류이다. 청량산 남부에서는 화산암류 속에 뚜렷한 퇴적암층 3매가 확인되었으며, 각 층의 두께는 아래에서부터 각각 25m~30m, 10m, 10m이고, 이들은 5m~15m 간격으로 떨어져 있다. 최상부 화산암류 내에도 얇은 원형 역암, 사암, 이암의 호층이 불규칙하게 나타난다. 안산암은 풍화되면 암갈색을 띤다. 지층의 두께는 행화동 부근에서 약 250m로 측정되었다.[4][1]
안동시 예안면 인계리, 지방도 제933호선 도로변(지번: 예안면 인계리 819, 북위 36° 40′ 38.0″ 동경 128° 54′ 28.0″)에 청량산층의 노두가 드러나 있다.
3. 2. 청량산 (경북)
청량산층의 하부인 청량산층원(청량산역암)은 봉화군의 청량산도립공원 내 청량산 산정부를 비롯해 산복부에 넓게 분포하며 문명산, 청량산을 비롯한 험준한 지형을 형성한다. 청량산층의 상부인 오십봉 현무암은 도립공원 동부 산정부에 분포하며 4~6매의 현무암과 그 사이에 끼어 있는 녹회색 또는 적갈색 역암, 적갈색 사암 및 이암으로 구성된다. 청량산도립공원 내에는 두께 50m의 역암으로 이루어진 병풍바위와 같이 수많은 절벽이 발달해 있다. 청량산 도립공원에는 기반암인 청량산층이 드러나 암석 봉우리를 이루는 곳이 많다. 이는 청량산층이 영양소분지의 다른 지층보다 상대적으로 풍화와 침식에 강하여 높은 산지를 형성했기 때문이다. 청량산도립공원 안에는 서북서-동남동 방향으로 남애 단층과 북곡 단층이 지난다. 이 단층들은 수직 절리, 단애(절벽), 직선 모양의 계곡을 만들었다.[5]
3. 3. 영양군
영양군 지역의 청량산층은 도계동 지질도폭(1963)에 따르면, 주로 역암으로 구성된 '''하부 청량산층원'''(Kchc)과 현무암류로 구성된 '''상부 오십봉층원'''(Kcho)으로 나뉜다.[6] 영양 지질도폭(1970)에서도 유사하게 구분하며, 오십봉층원은 퇴적암과 현무암류가 번갈아 쌓인 호층으로 구성된다고 설명한다.[8]
'''하부 청량산층원'''은 도계동도폭에 의하면 신라층군의 가장 아래에 놓이는 기저 역암층으로, 대부분 갈색을 띠는 역암으로 이루어져 있다.[6] 이 역암에 포함된 역(자갈)은 울련산층의 역과 비슷하지만, 붉은색 장석을 포함한 화강암(red feldspar granite) 역을 많이 포함하는 점이 다르다. 역의 크기는 보통 15cm 내외이며, 1.5m에 달하는 큰 것도 있다. 이 층은 대구 지역 신라층군 기저층인 '''신라 역암층'''에 해당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층의 두께는 지역에 따라 0m에서 150m까지 다양하며, 영양군 수비면 오기리와 죽파리 지역에서는 아래의 가송동층과 위의 오십봉층원 사이에 묻혀 잠시 나타나지 않는다.[6] 영양 지질도폭(1970)에 따르면, 청량산층원은 영덕군 창수면 창수리 북서부와 영양군 입암면 대천리-산해리의 영등산(505.5m) 주변에 소규모로 분포한다. 주로 담회녹색 역암으로 구성되며, 역질사암, 사암, 이암, 응회질 역암 및 사암층을 사이에 포함한다. 역은 주로 현무암, 규암, 화강암류, 사암, 편마암 등이며 크기는 평균 5cm~16cm, 최대 25cm~30cm이다. 두께는 영등산에서 130m로 가장 두껍고, 창수리 북서부에서는 40m 이하로 얇다.[8]
'''상부 오십봉층원'''은 도계동도폭에 따르면 주로 현무암류로 구성된다. 아래쪽에는 현무암류가 뚜렷하게 발달하지만, 위로 갈수록 여러 매의 현무암류가 역암, 사암, 붉은색 셰일 및 이암 등과 번갈아 쌓인 호층 구조를 보인다. 위쪽으로 가면서 현무암층은 점차 얇아지며 사라지고, 상부의 도계동층으로 점차 변해간다.[6] 수비면 일대의 북동-남서 방향 장수포 단층을 기준으로 동쪽과 서쪽의 현무암 발달 양상이 다르다. 단층 서쪽인 일월산 남쪽 지역에서는 현무암류와 퇴적암층이 여러 번 반복되지만, 동쪽인 수비면 죽파리와 송하리 등지에서는 층원 하부에 대규모 현무암류가 발달한다. 특히 도폭 동남부 수비면 죽파리의 오십봉 부근에서는 현무암류 두께가 약 900m에 달한다. 오십봉 주변에 넓게 분포하는 이 현무암층은 최소 5번 이상의 용암 분출로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6] 영양읍 기산리 부근에 분포하는 오십봉층원 상부에서는 5~6매 이상의 현무암층이 역암 및 붉은색 셰일, 이암 등 퇴적암과 호층을 이룬다. 전체적으로 오십봉층원은 최소 11번 이상의 용암 분출로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층원 상부의 퇴적암(역암, 사암, 셰일, 이암)은 대체로 화산재를 포함한 응회질이며, 하부 청량산층원의 역암과는 색깔, 역의 크기와 모양이 다르다. 역의 크기는 10cm 이하이며 5cm 내외가 가장 많다. 사암과 셰일은 응회질이며 갈색 또는 붉은색을 띤다. 이 퇴적암층의 두께는 각각 20m 내외이다.[6] 사암, 셰일, 이암의 지층면에서는 종종 땅이 마르면서 갈라진 흔적(건열)이 발견되며, 사암과 이암 속에는 벌레가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가는 관 모양의 흔적(생흔 화석)이 남아 있다. 현무암류는 서쪽 청량산 방면으로 갈수록 안산암질 암석으로 변해가며, 예안도폭 지역에서는 안산암으로 나타난다. 도계동도폭 내에서도 위쪽 지층으로 갈수록 안산암질 암석으로 변하는 경향이 있다. 현무암은 육안으로 암회색 내지 어두운 붉은색을 띠며, 사장석의 흰색 바늘 모양 결정이 보인다. 오십봉층원의 두께는 100m에서 900m까지 변화한다.[6]
영양 지질도폭(1970)에 따르면, 오십봉층원은 영양군 영양읍 무창리와 감천리, 입암면 금학리와 영등산 정상부에 분포한다. 아래의 청량산층원과는 오십봉층원 가장 아래의 현무암류를 기준으로 구분되며, 청량산층원이 없는 곳에서는 가송동층을 직접 덮는다. 현무암류와 퇴적암층(역암, 역질사암, 이암, 이회암 등)이 번갈아 쌓여 있으며 전반적으로 현무암류가 더 많다. 위로 갈수록 퇴적암층 두께가 약간 증가하고 현무암류는 얇아지며, 퇴적암의 입자가 굵어지는 경향이 있다. 현무암류는 영양읍 화천리-무창리 일대에서 최소 9매로 가장 많고, 남서쪽으로 갈수록 줄어들어 석보면 홍계리 부근에서 4~6매, 주남리 남곡마을에서 2~3매, 신평리 신평마을에서 1~2매로 감소하다가 택전 단층에 의해 잘려 도계동층과 만난다. 현무암류의 두께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경향이 있으며, 가장 위쪽 암류가 가장 두껍다. 영양읍 무창리-창수면 백청리 간 쉰섬재에서 영양읍 양구리 양구마을 부근까지는 100m 내외, 턱골바위 부근에서는 140m에 달한다. 그러나 석보면 홍계리 주산(680.3m)과 신평리 사이에서는 20m~50m 두께를 보인다. 오십봉층원의 전체 두께는 지역 변화가 심해 영양읍 무창리에서 700m에 달하지만 석보면에서는 15m까지 감소하며, 입암면 영등산 일대에서는 100m 정도로 비교적 일정하다.[8]
=== 주요 노두 ===3. 4. 영덕군
영덕군의 청량산층은 현무암, 규암, 화강암, 사암, 편마암 등의 역을 가진 화산암력을 포함한 응회질역암, 사암, 이암으로 구성된다. 지층의 두께는 2m~5m 정도이며, 최대 50m에 달한다. 층리는 거의 관찰되지 않으며, 영덕군 지품면 덕경산에서는 현무암의 얇은 층이 이 지층의 가장 아래쪽에 놓여 있다.[9][10]
참조
[1]
논문
영양소분지 하양층군의 층서분류에 있어서 청량산역암과 오십봉현무암의 역할 (Role of the Cheongryangsan Conglomerate and the Osipbong Basalt in Classifying Stratigraphy of the Hayang Group, Yeongyang Subbasin)
https://www.dbpia.co[...]
2009-09
[2]
웹인용
中平洞 地質圖幅說明書 (중평동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0년
[3]
웹인용
5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4]
웹인용
예안 지질도폭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3년
[5]
논문
청량산 도립공원의 지형경관과 지질학적 지배 요인 : 암질차이와 단층 (Topographical Landscapes and their Controlling Geological Factors in the Cheongryangsan Provincial Park : Lithologic Difference and Faults)
https://www.dbpia.co[...]
2017-09
[6]
웹인용
道溪洞 地質圖幅說明書 (도계동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3년
[7]
서적
경북권 지질유산 발굴 및 가치평가
대한지질학회
2017-11
[8]
웹인용
英陽 地質圖幅說明書 (영양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0년
[9]
논문
Cretaceous and Early Cenozoic Stratigraphy and History of Eastern Kyŏngsang Basin, S. Korea (경상분지 동부의 백악기 및 전기신생대 층서 및 지사)
https://www.dbpia.co[...]
1990-10
[10]
웹인용
경북 영덕군 동부 일원의 지질과 U-Pb 연령 (Geology and U-Pb Age in the Eastern Part of Yeongdeok-gun, Gyeongsangbuk-do, Korea)
https://www.dbpia.co[...]
2018-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