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교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등교육은 일반적으로 5세에서 8세 사이에 시작되어 읽기, 쓰기, 셈하기와 더불어 다른 과목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제공하는 교육 단계이다. 유엔아동기금(UNICEF)은 초등교육이 빈곤 감소, 아동 사망률 감소, 성 평등 장려, 환경 이해 증진 등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온다고 본다. 역사적으로 초등교육은 농업 사회에서 어른에서 아이로 전수되었으며, 종교 공동체가 교육 제공자 역할을 하기도 했다. 17세기 중반 미국에서 매사추세츠가 의무 교육을 시행한 최초의 식민지가 되었다. 1944년 교육법 이후 영국은 초등, 중등, 고등 교육으로 학교 시스템을 재구성했다. 아동 발달 단계와 관련하여, 장 피아제와 레프 비고츠키의 이론이 있으며, 지적, 신체적, 학습 기술, 언어, 정서적 영역에서의 발달이 중요하다. 유엔은 2015년까지 보편적 초등교육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법치주의, 세계 시민 교육을 통해 사회성을 함양하는 역할도 한다. 각국의 초등 교육은 대한민국, 일본, 네덜란드, 독일, 프랑스, 폴란드 등에서 상이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초등 교육 - 학교정원
학교 정원은 학생들의 교육적 가치 증진, 정서적 안정, 사회성 함양에 기여하며, 농업, 자연 학습, 미적 감각 함양, STEM 교육 연계 등 다방면으로 활용되고 건강한 식습관 형성에도 기여하며, 한국에서는 정책적 지원과 함께 디지털 기술 및 지역 사회와의 연계를 통해 지속적으로 발전할 것이다. - 교육 단계 - 졸업
졸업은 학교의 교육 과정을 마치는 것으로, 학위 취득과 연관되며 졸업식에서는 학위 수여, 송별사, 학사복 착용 등의 절차가 진행되고, 중세 유럽 대학에서 유래되어 현대에는 다양한 졸업 문화가 존재한다. - 교육 단계 - 입학
입학은 학교나 교육 기관에 학생이 등록하는 것을 의미하며, 각국은 다양한 입학 제도를 운영하고 초등학교 입학 나이는 만 5세에서 7세까지 차이가 있으며 학년 시작 시기도 다르다.
초등교육 | |
---|---|
개요 | |
정의 | 학교에서 제공하는 공식적인 교육의 첫 번째 단계 |
목적 | 기본 읽기, 쓰기, 셈하기 능력 습득, 기본적인 이해력과 지식 제공 |
주요 특징 | 필수 교육 단계 아동의 초기 발달과 학습 지원 국가별로 다양한 교육 시스템과 기간 존재 |
국제 표준 | 국제표준교육분류(ISCED)에서 '1단계'에 해당 |
기본 교육과의 관계 | 기본 교육 9년 중 첫번째 단계 |
주요 교육 내용 | 기본적인 수학, 언어, 사회, 과학 교육 |
교사 양성 | 효과적인 초등 교육을 위한 교사 양성 및 기술 개발 중요 |
교육률 | 전세계적으로 높은 초등 교육 순취학률 (2018년 기준 90% 이상) |
역사 | |
역사적 발전 | 19세기 이전에는 초등 교육이 보편적이지 않음 19세기 중반 이후 여러 국가에서 의무 교육 도입 유니버설 초등 교육을 위한 국제적인 노력 진행 |
한국의 역사 | 근대적 초등 교육은 갑오개혁 이후 시작 일제강점기, 미군정기를 거쳐 발전 교육법에 따라 초등학교 6년 의무교육 시행 |
교육 과정 | |
일반적인 교육 과정 | 국어 (모국어) 수학 사회 과학 예체능 (음악, 미술, 체육 등) 외국어 (일부 국가) |
국가별 교육 과정 | 각 국가의 문화, 사회적 가치 반영 지역적 특성과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교육 과정 운영 |
주요 학습 목표 | 기초적인 문해력과 수리력 향상 학습 능력 및 자기 주도 학습 능력 배양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기본 소양 함양 |
교육 시스템 | |
교육 기간 | 국가별로 4년에서 7년까지 다양 |
교육 기관 | 공립학교, 사립학교, 대안학교 등 다양한 형태 존재 |
교사 자격 | 각 국가별 교사 자격 및 임용 기준 상이 교사 양성 기관에서 전문 교육 이수 |
교육 방법 | 강의식 수업 외에도 다양한 활동 중심 학습 병행 프로젝트 학습, 협동 학습 등 적용 |
교육 현황 | |
교육 참여율 | 개발도상국에서 초등 교육 접근성 향상 노력 진행 중 |
교육 질 향상 | 교사 역량 강화, 교육 환경 개선, 교육 과정 개발 등 노력 |
교육 불평등 문제 | 지역, 성별,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교육 격차 존재 |
디지털 교육 | 정보통신기술(ICT) 활용 교육 확대 추세 |
교육의 중요성 | 개인의 성장 및 사회 발전의 핵심 요소 평생 학습 능력의 기초 마련 |
국제 협력 | |
국제기구의 노력 | 유네스코 (UNESCO) 등 국제기구에서 초등 교육 지원 모든 어린이를 위한 초등 교육 기회 제공 목표 |
국제 협력의 중요성 | 개발도상국의 교육 시스템 개선 교육 격차 해소 및 교육 질 향상 |
기타 | |
관련 용어 | 의무 교육 기초 교육 문해 교육 학교 교육 |
관련 문서 | 대한민국 초등학교 초등학교 |
참고 자료 | 국제연합개발계획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
2. 정의
1997년 ISCED 정의에 따르면, 초등교육은 일반적으로 5~8세 사이에 시작되며 읽기, 쓰기, 산술과 함께 다른 과목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2011년에는 "''학습의 탄탄한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다른 과목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가 삭제되었다.[4]
유엔아동기금(UNICEF)은 아동에게 초등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많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온다고 본다.
- 빈곤 감소
- 아동 사망률 감소
- 성평등 장려
- 환경 이해 증진[5]
3. 역사
농경 사회 이전에는 아이들이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배웠기 때문에 강제적인 교육은 필요하지 않았다.[7] 농업 사회에서는 농업, 축산업, 물물교환, 건축 기술 등이 어른에게서 아이로, 스승에게서 제자로 전수되었다. 사회는 아이들이 문화적 전통과 신념을 배우고 흡수해야 한다는 데 동의했는데, 이는 가족 내에서 비공식적으로 이루어지거나 아이들을 모아 가정교사를 고용하는 방식으로 시도되었다. 15세기 초의 한 자료에는 프랑스 백작이 귀족 사냥꾼들에게 "7~8세 정도의 어린 소년 하인"을 선택하고 "...주인의 명령을 수행하지 못할까 두려워할 때까지 때려야 한다"고 조언했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7][6]
종교 공동체는 교육 제공자가 되었고 교육 과정을 정의했다. 성경 구절 암송이 우선시되었고, 사회 발전을 위해 구전이 서면으로 대체되면서 일부 학생들은 구절을 기록해야 했다. 수도원 학생들은 종교 언어로 쓰여진 것을 읽어야 했고, 일상 언어로 읽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았다. 이는 마드라사와 학교에서의 정규 교육으로 이어졌다. 마르틴 루터는 구원은 각 개인의 성경 독해에 달려 있다고 선언했다.[7] 무역과 경영은 회계에 대한 수요를 창출했고, 읽기, 쓰기, 셈하기가 초등 교육의 핵심이 되었다.
17세기 중반, 미국 매사추세츠는 의무 교육을 시행한 최초의 식민지가 되었다. 1690년부터 그곳과 인접 식민지의 아이들은 뉴잉글랜드 프라이머를 통해 읽는 법을 배웠다.[7]
3. 1. 유럽의 초등 교육 역사
농업 사회 이전에는 아이들이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배웠기 때문에 강제적인 교육은 필요하지 않았다.[7] 농업 사회에서는 농업, 축산업, 물물교환, 건축 기술 등이 어른에게서 아이로, 스승에게서 제자로 전수되었다.사회는 아이들이 문화적 전통과 신념을 배우고 흡수해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 이는 가족 내에서 비공식적으로 이루어지거나, 아이들을 모아 가정교사를 고용하는 방식으로 시도되었다. 지주들에게는 효과적이었지만, 무지한 아이들은 7세부터 하인으로 고용되었다. 15세기 초 프랑스 백작은 귀족 사냥꾼들에게 "7~8세 정도의 어린 소년 하인"을 선택하고 "...주인의 명령을 수행하지 못할까 두려워할 때까지 때려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문서에는 소년이 매일 수행할 일과 사냥개의 필요를 돌보기 위해 견사 위 다락방에서 잘 것이 나열되어 있다.[7][6]
종교 공동체는 교육 제공자가 되었고 교육 과정을 정의했다. 성서 구절 암송이 우선시되었고, 사회 발전을 위해 구전이 서면으로 대체되면서 일부 학생들은 구절을 기록해야 했다. 수도원 학생들은 종교 언어로 쓰여진 것을 읽어야 했고, 일상 언어로 읽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았다. 이는 마드라사와 학교에서의 정규 교육으로 이어졌다. 마르틴 루터는 구원이 각 개인의 성경 독해에 달려 있다고 선언했다.[7] 무역과 경영은 회계에 대한 수요를 창출했고, 읽기, 쓰기, 셈하기가 초등 교육의 핵심이 되었다.
17세기 중반, 미국 매사추세츠는 의무 교육을 시행한 최초의 식민지가 되었다. 1690년부터 그곳과 인접 식민지의 아이들은 뉴잉글랜드 프라이머를 통해 읽는 법을 배웠다.[7]
그리스와 로마 시대에는 소년들이 7세까지 어머니에게 교육받은 후, 지역과 시대 문화에 따라 정규 교육을 시작했다. 스파르타에서는 12세까지 군사학교에서 체력과 전투 기술을 가르쳤지만, 읽기, 쓰기, 산수도 함께 교육했다.[8] 아테네에서는 폴리스의 법 이해, 읽기, 쓰기, 산수, 음악, 체조, 육상을 중시했고, 호메로스의 도덕적 이야기를 가르쳤다.[8] 소녀들은 집에서 모든 교육을 받았다. 로마에서는 초등학교를 ''루두스''라고 불렀고, 교육과정은 수 세기 동안 발전하여 라틴어와 그리스어를 모두 배우는 것을 특징으로 했다. 서기 94년, 퀸틸리아누스는 ''인스티투시오 오라토리아''를 출판하여 체계적인 교육에 대해 설명했다.[8] 그는 가르침과 배우는 것을 구분하고, 7세에서 14세 사이의 아이들은 감각 경험으로 배우고, 개념을 형성하며, 언어와 기억력을 발달시킨다고 설명했다. 그는 교사가 체벌 대신 수업을 흥미롭게 만들어 학생들을 동기 부여해야 한다고 권장했다.[8] 삼학(문법, 수사학, 논리학)과 사학(산수, 기하학, 천문학, 음악)은 로마 교육과정의 유산이었다.[8]

로마의 영향력이 약해지면서, 대성당학교가 설립되어 성가대원과 성직자를 양성했다. 캔터베리 왕립학교는 597년에 설립되었다. 853년 로마 공의회는 각 본당이 기본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고 명시했는데, 이는 종교 의식뿐만 아니라 라틴어 읽기와 쓰기를 포함했다.[8]
교육의 목적은 사회 변혁이 아닌 구원에 대한 설명이었다. 교회는 교육에 대한 독점권을 가졌고, 봉건 영주들도 이에 동의하여 아들들을 소수의 교회 학교에서 교육받도록 허락했다. 유럽 대부분 지역의 경제는 농업에 기반을 두었고, 농노의 자녀들은 가능한 한 빨리 일을 시작했다. 기독교인들은 인간이 아담의 모습대로 하나님에 의해 창조되었고 원죄를 지니고 태어난다는 것을 사실로 받아들였다. 따라서 교회의 가르침과 성사만이 그를 구원할 수 있었다.[8] 본당은 기본 교육을 제공했지만, 모든 아이들에게 제공할 의무는 없었다. 필요한 것은 사제를 양성하는 것이었고, 샤를마뉴 왕국과 같은 안정적인 왕국에서는 라틴어로 기본적인 글쓰기 기술과 세금 징수 및 관리에 필요한 산술 능력을 갖춘 관리자를 필요로 했다. 알쿠인 (735~804)은 질문과 답을 반복하고 암기하는 교리 교육 방식을 기반으로 한 교재를 개발했지만, 정보를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지 않았다. 이러한 기술은 클뤼니와 같은 대수도원에서도 필요했다. 도시와 수도원의 요구 사항 간에는 차이가 있었고, 본당, 예배당, 수도원, 대성당 학교의 발전을 볼 수 있다. 여성이 교회 생활에 참여함에 따라 수녀원이 설립되었고, 수녀원 학교도 함께 설립되었다. 여아들은 8세에 입학하여 라틴어 문법, 종교 교리, 음악과 방적, 직조, 태피스트리, 회화, 자수와 같은 여성의 기술을 배웠다.[8] 베다는 7세에 자로의 수도원 학교에 입학하여 작가이자 역사가가 되었다. 예배당 학교는 자선 기부의 결과였으며 가난한 사람들을 교육했다. 804년부터 본당은 학교를 설립해야 했고, 1179년 라테라노 공의회 이후 대성당은 학교를 설립해야 했다. 기본 교육은 주로 중등 교육 과정의 기초를 이루는 삼학과 칠학에 필요한 충분한 라틴어를 가르치는 것이었다.[9]

종교 개혁과 수도원 해체 이후, 에드워드 6세에게 기금을 청원하여 라우드 에드워드 6세 문법학교, 노리치 에드워드 6세 문법학교, 스트랫퍼드어폰에이본 에드워드 6세 학교 등이 재정 지원을 받았다. 문법학교는 초등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설립되었지만, 입학생들에게는 모국어로 읽고 쓸 수 있는 능력을 요구했다. 이러한 더 기초적인 필요는 여학교, 자선학교, 영국 학교, 국립학교 등이 충족시켰다.[11]
3. 1. 1. 교육 철학
인문주의는 중등 교육 과정에는 큰 변화를 가져왔지만, 초등 교육 과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9] 르네상스 시대의 소년들은 다섯 살부터 돈나투스와 프리스키아누스(Priscian)의 문법 책을 포함해 로마 시대의 아이들과 같은 책을 사용하여 라틴어 문법을 배웠다. 이어서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기''와 히에로니무스(St Jerome)의 라틴어 불가타(Vulgate)를 공부했다.[10]부유한 소년들은 가정교사에게 교육을 받았다. 다른 소년들은 교구, 대성당 또는 수도원에 딸린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13세기부터 부유한 상인들은 사제들에게 "문법을 가르치는 학교를 설립"할 자금을 기부했다. 이러한 초기 문법학교는 소년들에게 기본적인 문법을 가르치는 것이었고, 연령 제한은 없었다. 영국의 초기 사례로는 랭커스터 왕립 문법학교(Lancaster Royal Grammar School), 버킹엄의 왕립 라틴 학교(Royal Latin School), 스톡포트 문법학교(Stockport Grammar School)가 있다. 종교 개혁(Reformation)과 수도원 해체(Dissolution of the Monasteries) (1548년)는 많은 학교의 재정을 혼란에 빠뜨렸다. 학교들은 에드워드 6세 왕에게 기금 지원을 청원했다. 기금을 지원받은 학교의 예로는 라우드 에드워드 6세 문법학교(King Edward VI Grammar School, Louth), 노리치 에드워드 6세 문법학교(King Edward VI Grammar School, Norwich), 스트랫퍼드어폰에이본 에드워드 6세 학교(King Edward VI School, Stratford-upon-Avon)가 있는데, 이곳에서 윌리엄 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가 7세부터 14세까지 학생으로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유럽과 그로부터 갈라져 나온 식민지들과 관련된 특정 교육 운동들이 있었다. 미국인들은 페스탈로치, 조셉 랭캐스터(Joseph Lancaster), 오언(Owen)[8] 그리고 프로이센 학교[8]의 사상에 관심이 있었다.
3. 2. 영국의 초등 교육 역사
영국에서 초등 교육은 여학교(Dame school)와 자선학교(charity school)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 학교들은 종종 교회에서 설립되었다. 영국 학교와 조셉 랭캐스터의 국립학교도 있었다.[11]1870년, 영국은 의무 국가 교육을 시작했다.[12] 1870년부터 1944년까지 잉글랜드와 웨일스의 초등학교는 6세에서 14세 아동에게 기본적인 교육을 제공했다. 이 학교들은 직업 훈련과 기초 교육을 제공했으며, 읽기, 쓰기, 산수(3R 운동)에 중점을 둔 제한적인 교육 과정을 제공했다. 학교는 모니터 제도에 따라 운영되었는데, 한 명의 교사가 여러 명의 모니터(대개 고학년 학생)의 도움을 받아 많은 학생들을 감독했다. 초등학교 교사의 급여는 학생들의 성적에 따라 결정되었다. 학생들은 읽기, 쓰기, 산수에서 일정 수준을 달성해야 했다.[13] 이를 위해 기존의 교회, 길드, 개인 또는 단체가 운영하는 학교를 보완하기 위해 자발적인 종교 학교와 비종교적인 국립학교(이사회 학교)를 포함하는 이중 교육 시스템이 도입되었다.[12]
1944년 교육법으로 학교 시스템이 변경되었다. 교육은 초등 교육, 중등 교육, 고등 교육의 3단계로 재구성되었다.[14] (1944년 이전에는 학생 인구의 약 80%가 14세까지 초등학교에 다녔고 나머지는 11세에 중학교 또는 기술학교로 진학했다.)
3. 2. 1. 20세기 영국 교육 연표
- 1918 – 1918년 교육법(Education Act 1918)에 따라 초등 교육의 모든 수업료가 폐지되고, 의무 교육 종료 연령이 12세에서 14세로 상향되었다.
- 1919 – 번햄 위원회(Burnham Committee)가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전국적인 급여 체계를 도입하였다.
- 1944 – 초등 교육이 연령에 따라 초등 및 중등으로 분리되었다. 11플러스 시험(eleven plus exam)을 포함한 3분법 시스템(tripartite system)이 도입되었다.
- 1963 – 런던과 맨체스터에서 11플러스 시험이 폐지되었다.
- 1967 – 플라우든 보고서(Plowden Report)가 유치원 교육 확장을 옹호하였다.
4. 아동 발달 단계
장 피아제는 아동의 지적, 도덕적, 정서적 발달을 설명하는 틀을 확립했다.[16] 그는 1918년에 박사 학위를 받고 취리히와 파리에서 박사후 연구를 수행했다.[17] 피아제는 아동의 사고 발달 과정을 다음과 같은 네 가지 단계로 보았다.
# 발달의 사회학적 모델: 아동이 자기중심주의에서 사회중심주의로 이동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직관적인 반응에서 과학적이고 사회적으로 수용되는 반응으로 점진적으로 발전한다.
# 지적 발달의 생물학적 모델: 종의 적응이라는 생물학적 과정의 확장으로, 동화와 조절이라는 두 가지 지속적인 과정을 보여준다.
# 지적 발달의 논리적 모델 정교화: 지능이 연령과 관련된 일련의 단계로 발달하며, 한 단계가 완료되어야 다음 단계가 일어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각 발달 단계에서 아동은 연령에 따른 현실관을 형성한다.
# 비유적 사고 연구: 기억과 지각을 포함한다. 피아제의 이론은 생물학적 성숙과 단계에 기초하며, 준비성의 개념이 중요하다. 정보나 개념은 학생들이 적절한 인지 발달 단계에 도달했을 때 가르쳐야 한다.[18]
레프 비고츠키는 사회적 학습 이론을 통해 근접 발달 영역(ZPD) 개념을 제시하고, 교수적 발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20][21]
4. 1. 발달 영역
장 피아제는 아동의 지적, 도덕적, 정서적 발달을 설명하는 틀을 확립한 사람이다.[16] 그는 아동의 발달 단계를 감각 운동기, 전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조작기의 네 단계로 나누었다.[19]레프 비고츠키의 이론[20]은 사회적 학습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여기서 더 지식이 풍부한 다른 사람(MKO)이 아동이 자신의 근접 발달 영역(ZPD) 내에서 발전하도록 돕는다. ZPD 내에는 아동이 할 수 있지만 독립적인 능숙함으로 옮겨가기 위해 보여주어야 하는 기술이 있다.[20] 교수적 발판은 지원 또는 지시의 형태가 된다. 이 용어와 개념은 제롬 브루너, 데이비드 우드, 게일 로스에 의해 개발되었다.[21]
이러한 발달 영역은 다음과 같다.[22][23]
- 지적
- 신체적
- 학습 기술
- 언어
- 정서적
5. 국제적 해석
유엔의 밀레니엄 개발 목표 2(2002)는 2015년까지 보편적 초등교육을 달성하는 것이었다. 유엔은 인종이나 성별에 관계없이 모든 아동이 초등 교육을 마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24]
유엔은 학교에 다니지 않는 아동의 대다수가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와 남아시아에 거주하는 것에 주목했으며, 2015년까지 목표 달성이 어려울 수 있다고 보았다. 2010년 9월 자료에 따르면, 학교에 다니지 않는 학령기 아동은 약 6900만 명이었으며, 그중 거의 절반이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 4분의 1 이상이 남아시아에 있었다.[25]
2015년까지 목표를 달성하려면 2009년까지 초등학교 공식 입학 연령에 해당하는 모든 아동이 수업에 참여해야 했으며, 이는 초등 교육 기간과 학교가 학생들을 교육 과정 종료까지 얼마나 잘 유지하는지에 달려 있었다. 또한 국가는 수요를 충족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교사와 교실을 확보해야 했는데, 2010년 기준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서만 필요한 신규 교사 수는 해당 지역의 기존 교사 수와 같았다.[26]
교육을 받지 못하는 아동의 성별 격차는 줄어들었다. 1999년부터 2008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교육을 받지 못하는 여아 수는 57%에서 53%로 감소했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오히려 증가했다.[26]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여러 지역에서 취학률이 증가하는 등 진전이 있었다.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 이남 지역의 취학률은 1999년부터 2008년 사이에 18%(58%에서 76%) 증가했고, 남아시아와 북아프리카에서도 각각 11%, 8% 증가했다.[26]
가장 가난한 국가에서도 큰 진전이 있었다. 부룬디는 초등학교 수업료를 폐지하여 2008년 기준 초등학교 취학률이 99%에 달했고, 탄자니아도 같은 기간 동안 취학률이 두 배로 증가했다. 중남미의 과테말라와 니카라과, 남아프리카의 잠비아는 "초등 교육 접근성 향상을 위한 90%를 돌파했다."[26]
5. 1. 법치주의 증진
학교는 아동의 사회화와 공유, 공정성, 상호 존중 및 협력에 대한 이해를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학교는 정의, 민주주의 및 인권과 같은 개념에 대한 이해의 기초가 되는 기본적인 가치와 역량을 형성한다.[27]
정의를 위한 교육, 즉 법의 지배(RoL)와 국제 인권 및 기본적 자유에 대한 존중을 증진하는 교육 시스템은 학습자와 공공 기관 간의 관계를 강화하여 젊은이들이 평화와 정의의 옹호자가 되도록 한다. 교사들은 종종 이러한 노력의 최전선에 있으며, 가족과 함께 아동의 태도와 행동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27]
세계 시민 교육은 RoL에 대한 접근 방식에 대한 전반적인 틀을 제공한다. 이는 학습자가 지역적으로나 전 세계적으로 더욱 정의롭고, 평화롭고, 관용적인,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지속 가능한 세상에 적극적으로 기여하는 주체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참여하도록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7]
6. 각국의 초등 교육
대한민국의 초등 교육 기관은 초등학교이며, 의무 교육으로 현재 6년제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일본은 소학교가 초등 교육 기관에 해당한다.[1]
대한민국에서 초등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교육대학교, 제주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과를 전공해야 한다.[1]
- 네덜란드 - 5세부터 8년간 초중일관교육으로 운영되는 basisschoolnl(영: Basic school).[1]
- 타이완 - 국민소학교[1]
- 독일 - Grundschulede[1]
- 일본 - 초등학교, 의무교육학교의 전기과정(2016년부터 시행), 특수학교의 초등부에서 6년간 실시.[1]
- 프랑스 - 5년제 école primaire프랑스어.[1]
- 폴란드 - 6년제 szkoła podstawowapl.[1]
6. 1. 아시아
대한민국에서의 초등 교육 기관은 초등학교에 해당하며, 의무 교육을 실시하며, 현재 6년제이다. 대한민국에서 초등교육을 가르치는 초등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교육대학교, 제주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과를 전공해야 자격이 주어진다.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일본의 경우 초등 교육 기관은 소학교에 해당한다. 일본의 초등학교, 의무교육학교의 전기과정(2016년부터 시행), 특수학교의 초등부에서 초등 교육을 6년간 실시한다.
타이완의 초등 교육 기관은 국민소학교이다.
6. 2. 유럽
국가 | 제도 |
---|---|
네덜란드 | 5세부터 8년간 초중일관교육으로 운영되는 basisschoolnl(영: Basic school) |
독일 | Grundschulede |
프랑스 | 5년제 école primaire프랑스어 |
폴란드 | 6년제 szkoła podstawowapl |
참조
[1]
웹사이트
Total net enrollment rate in primary education
https://ourworldinda[...]
2020-03-07
[2]
서적
Building skills for effective primary teaching
SAGE
2017-08-04
[3]
웹사이트
Elementary education Definition, Goals, & Facts
https://www.britanni[...]
2023-09-22
[4]
간행물
ISCED 2011
https://web.archive.[...]
UNESCO Institute for Statistics
2012
[5]
웹사이트
What Is Primary Education?
https://learn.org/ar[...]
2019-09-18
[6]
서적
Medieval children
2001
[7]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Education
https://www.psycholo[...]
2021-03-08
[8]
서적
A History of the Western Educational Experience: Second Edition
https://books.google[...]
Waveland Press
2019-04-16
[9]
학술지
Humanism and Education in Medieval and Renaissance Italy: Tradition and Innovation in Latin Schools from the Twelfth to the Fifteenth Century
2001
[10]
뉴스
The Italian Renaissance - The Education and Learning During the Renaissance
https://www.thegreat[...]
2019-04-19
[11]
서적
The Education of the Working Classes to 1870 British History Online
https://www.british-[...]
2019-04-22
[12]
웹사이트
History of Education
https://www.sagepub.[...]
2021-03-08
[13]
웹사이트
Towards a State System of Education
https://education-uk[...]
2013-11-20
[14]
백과사전
Elementary school
Microsoft Encarta
2004
[15]
웹사이트
Timeline: A history of education
https://www.tes.com/[...]
2021-03-08
[16]
학술지
The zeroeth Piaget
2011
[17]
학술지
Piaget's enduring contribution to developmental psychology
1992
[18]
백과사전
Jean Piaget
[19]
서적
Psychology: Themes and Variations
Cengage Learning
[20]
서적
Vygotsky: An Intellectual Biography
https://www.routledg[...]
Routledge
2018
[21]
자료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and Cultural Tools Scaffolding, Guided Participation
2006
[22]
웹사이트
School-age children development: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https://medlineplus.[...]
NIH
2019-09-18
[23]
웹사이트
The Importance of Acquiring Education for Children
https://en.kavyakish[...]
2023-03-23
[24]
웹사이트
United Nations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https://www.un.org/m[...]
2017-05-23
[25]
웹사이트
GOAL 2: Achieve Universal Primary Education
https://www.un.org/m[...]
2017-05-23
[26]
웹사이트
GOAL 2: Achieve Universal Primary Education
https://www.un.org/m[...]
2017-05-23
[27]
서적
Empowering students for just societies: a handbook for primary school teachers
https://unesdoc.unes[...]
UNESCO
[28]
웹사이트
ミレニアム開発目標(MDGs)
http://www.jp.undp.o[...]
国際連合開発計画
2016-01-24
[29]
백과사전
초등 교육
http://www.encyber.c[...]
[30]
백과사전
초등 교육
http://www.encyber.c[...]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