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기술책임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고기술책임자(CTO)는 기업 내 기술 또는 엔지니어링 부서를 이끄는 최고 기술 임원 직위이다. 2차 세계 대전 이후 기업들이 연구소를 설립하면서 기술 전반의 인프라에 집중하는 CTO의 개념이 시작되었으며, 1980년대 정보 기술 산업과 컴퓨터(인터넷) 기업의 성장과 함께 직책이 만들어졌다. CTO는 기업의 기술 관련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CIO(최고정보책임자)와 협력하며, CEO, CFO, COO 등 다른 최고 임원들과 협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업의 직책 - 회장
회장은 조직이나 단체를 대표하며 회의를 주재하는 직함으로, 조직의 종류와 구조에 따라 권한과 책임이 다르며 행정 및 집행 의무, 의사 결정, 규칙 시행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 기업의 직책 - 최고경영자
최고경영자는 이사회에서 권한을 위임받아 전략 경영, 주요 정책 결정, 조직 운영을 총괄하는 최고 경영 책임자로서, 역할은 조직 구조와 법률에 따라 다르며, 임명과 해임은 이사회의 권한이다. - 경영직 - 교장
교장은 학교 교육 활동을 총괄하고 교직원을 감독하며 학교 운영 전반을 책임지는 교육직 공무원의 최고 직위로, 국가와 학교 규모에 따라 역할과 임용 방식, 자격 요건이 다르다. - 경영직 - 최고경영자
최고경영자는 이사회에서 권한을 위임받아 전략 경영, 주요 정책 결정, 조직 운영을 총괄하는 최고 경영 책임자로서, 역할은 조직 구조와 법률에 따라 다르며, 임명과 해임은 이사회의 권한이다. - 경영학 - 의사결정
의사결정은 특정 결과를 위해 여러 선택지 중 하나를 고르는 과정으로, 불확실성, 인지적 편향, 구조에 따라 분류되며, 합리적, 비합리적 접근과 개인 및 집단 역학의 영향을 받고,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위해 객관적인 정보와 인지적 편향 인식이 중요하며, 인공지능 발전으로 윤리적 논의가 필요하다. - 경영학 - 비즈니스 인큐베이터
비즈니스 인큐베이터는 초기 단계 기업의 성장을 위해 사무 공간, 자금 조달, 멘토링, 네트워킹 등의 지원을 제공하는 기관으로, 1959년 미국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으며 일자리 창출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지만 정부 지원 과다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최고기술책임자 | |
---|---|
직책 개요 | |
직책 명칭 | 최고 기술 책임자 |
동의어 | 최고 기술 전문가 |
역할 | 기술 운영 책임자 |
활동 분야 | 기술, 경영 |
요구 역량 | 기술적 전문성, 전략적 사고, 리더십, 커뮤니케이션 능력 |
필요 교육 | 공학, 컴퓨터 과학 등 관련 분야 학사 학위 이상 (석사 또는 박사 학위 선호) |
관련 직업 | 최고 정보 책임자 (CIO), 엔지니어링 관리자, 기술 컨설턴트 |
주요 책임 | |
전략적 책임 | 기술 전략 개발 및 실행 기술 로드맵 정의 및 관리 경쟁 환경 분석 및 기술 트렌드 예측 신기술 평가 및 도입 검토 |
기술 관리 책임 | 연구 개발 (R&D) 활동 관리 기술 인프라 구축 및 유지보수 기술 표준 및 프로세스 개발 기술 관련 예산 관리 |
관계 관리 책임 | 다른 부서와의 협력 및 지원 외부 파트너십 및 협력 관계 구축 투자자와의 기술 관련 커뮤니케이션 |
기타 책임 | 기술 관련 위험 관리 지적 재산권 관리 기술 윤리 준수 |
추가 정보 | |
관련 연구 | 최고 기술 책임자: 전략적 책임과 관계 (Roger D. Smith, Research-Technology Management, 2003) |
참고 자료 | 최고 기술 책임자 (CTO) 정의 - WhatIs.com (Margaret Rouse) 최고 기술 책임자란 무엇인가? - Business Research Guide (2016년 7월 29일) |
2. 역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대기업들이 본사에서 분리된 위치에 연구소를 설립하면서 최고기술책임자(CTO)의 개념이 시작되었다.[4] 당시 연구소장은 기업 부사장이었으나, 기업 의사 결정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대신 기술 이사가 새로운 과학자를 유치하고 제품을 개발하는 책임을 맡았다.[5] 1980년대에 기술이 제품 및 서비스 개발의 기본이 되면서, 기업들은 기술적인 측면을 이해하고 조언할 수 있는 운영 임원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6] 이는 1980년대 후반 정보 기술 산업과 컴퓨터(인터넷) 기업의 성장에 따라 대기업에서 최고기술책임자 직책이 만들어지는 결과로 이어졌다.[3]
2. 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대기업들은 본사에서 분리된 위치에 연구소를 설립했다. 기업의 목표는 과학자들을 고용하고 일상적인 사무 업무의 부담 없이 회사를 위해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시설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여기서 기술 전반의 인프라에 집중하는 최고기술책임자(CTO)의 아이디어가 시작되었다.[4]당시 연구소장은 회사의 기업 의사 결정에 참여하지 않는 기업 부사장이었다. 대신 기술 이사는 새로운 과학자를 유치하여 연구를 수행하고 제품을 개발하는 책임을 맡았다.[5]
1980년대에 이러한 연구 이사의 역할은 실질적으로 변화했다. 기술이 대부분의 제품 및 서비스 개발의 기본 부분이 되면서, 기업들은 제품의 기술적인 측면을 이해하고 개선 및 개발 방법을 조언할 수 있는 운영 임원을 필요로 했다.[6]
이 모든 것은 정보 기술 산업과 컴퓨터(인터넷) 기업의 성장에 따라 1980년대 후반 대기업에 의해 최고기술책임자 직책이 만들어지는 결과를 낳았다.[3]
2. 2. 1980년대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대기업들은 본사에서 분리된 위치에 연구소를 설립했다. 기업의 목표는 과학자들을 고용하고 일상적인 사무 업무의 부담 없이 회사를 위해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시설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여기서 기술 전반의 인프라에 집중하는 최고기술책임자(CTO)의 아이디어가 시작되었다.[4]당시 연구소장은 회사의 기업 의사 결정에 참여하지 않는 기업 부사장이었다. 대신 기술 이사는 새로운 과학자를 유치하여 연구를 수행하고 제품을 개발하는 책임을 맡았다.[5]
1980년대에 이러한 연구 이사의 역할은 실질적으로 변화했다. 기술이 대부분의 제품 및 서비스 개발의 기본 부분이 되면서, 기업들은 제품의 기술적인 측면을 이해하고 개선 및 개발 방법을 조언할 수 있는 운영 임원을 필요로 했다.[6]
이 모든 것은 정보 기술 산업과 컴퓨터(인터넷) 기업의 성장에 따라 1980년대 후반 대기업에 의해 최고기술책임자 직책이 만들어지는 결과를 낳았다.[3]
3. 역할과 책임
최고기술경영자(CTO)는 회사 내 기술 부문을 대표하는 최고 임원으로서, 전사적인 사업 전략을 기술 부문에 연계시켜 기업의 시너지를 창출하는 역할을 한다.[9] CTO는 조직의 단기 및 장기적인 요구 사항을 검토하고, 조직이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설계된 투자를 활용한다.[7]
CTO의 구체적인 역할은 다음과 같다.
- 기술 전략 수립 및 실행: 회사의 전반적인 사업 목표에 부합하는 기술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로드맵을 제시한다.
- 연구 개발(R&D) 관리: 회사의 핵심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R&D 활동을 기획하고 관리하며, 새로운 기술 트렌드를 파악하여 R&D에 반영한다.
- 기술 투자 결정: 기술 개발, 인프라 구축, 기술 제휴 등 기술 관련 투자를 결정하고, 투자 대비 효과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자원 배분을 수행한다.
- 기술 인력 관리: 기술 인력을 채용하고 육성하며, 기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한다.
- 대외 협력: 외부 기술 기업, 연구 기관, 대학 등과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기술 제휴, 공동 연구 등을 추진한다.
- 규제 및 지적 재산 관리: 기술 관련 규제를 준수하고, 특허, 영업 비밀 등 회사의 지적 재산을 보호하고 관리한다.
CTO는 IT 산업의 부상과 함께 등장했지만, 이후 컴퓨터 기반 기술(예: 게임 개발자, 전자 상거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기타/비컴퓨터 중심 기술(예: 생명공학/제약, 방위, 자동차)을 포함한 모든 유형의 기술 기반 산업에서 널리 퍼지게 되었다.[7]
기술 중심 조직에서는 최고 정보 책임자(CIO)와 CTO 직위가 동일한 수준일 수 있으며, CIO는 정보 기술에, CTO는 핵심 회사 및 기타 지원 기술에 중점을 둔다. 기술적이지 않은 조직에서 CTO는 일반적으로 CIO에게 직접 보고하며, 장기적인 문제에 주로 관여한다.[7]
CTO가 되기 위해서는 정보과학, 소프트웨어 공학 등의 기술 지식뿐만 아니라, 경영에 관한 지식이나 리더십 등의 경험도 요구된다.
4. 다른 최고 임원과의 관계
최고기술책임자(CTO)는 회사 내에서 기술 부문을 대표하는 최고 임원으로서, 전사적인 사업 전략을 기술 부문에 연계시켜 기업의 시너지를 창출하는 역할을 한다.[9] 최고정보책임자(CIO)는 정보 기술에, CTO는 핵심 회사 및 기타 지원 기술에 중점을 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CTO는 조직의 단기 및 장기적인 요구 사항을 검토하고, 조직이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설계된 투자를 활용한다.[7] 또한 규제 및 지적 재산 문제에 대한 실질적인 지식을 갖추고, 이러한 고려 사항을 전략적 계획 및 회사 간 협상에 통합하기 위해 법률 고문과 소통할 수 있어야 한다.
회사 구조와 계층 구조에 따라, CTO가 상호 작용하거나 감독하는 R&D 매니저, R&D 이사 및 엔지니어링 부사장과 같은 직위가 있을 수 있다. 제조, 해운 또는 은행과 같이 IT 자동화 이전에 존재했을 수 있는 많은 기존 산업에서 CTO와 같은 임원 역할은 기존 활동을 자동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5. 관련 용어
6. 각국의 상황
미국에서는 GE, 애플 등에서, 대한민국에서는 삼성, 아시아나항공 등에서 최고기술책임자 제도를 도입해 실시하고 있다.[10]
6. 1. 미국
미국에서는 GE, 애플 등에서 최고기술책임자 제도를 도입했다.[10]6. 2. 일본
일본에서 법적으로 CTO(최고 기술 책임자)를 정의하는 법률은 존재하지 않으며, CEO 등과 마찬가지로 기업의 내부 호칭일 뿐이다(2008년 현재).[1]법적으로 규정된 CTO 상당의 직책으로는 구 일본국유철도에서 총재를 기술면에서 보좌하는 직책인 기술사장직(구 일본국유철도법 제12조 및 제13조 제3항) 등이 있다.[1]
참조
[1]
논문
The Chief Technology Officer: Strategic Responsibilities and Relationships
[2]
웹사이트
What is Chief Technology Officer (CTO)? - Definition from WhatIs.com
https://searchcio.te[...]
2019-11-08
[3]
웹사이트
What Is a Chief Technology Officer?
https://www.govtech.[...]
2016-07-29
[4]
웹사이트
The Role of the Chief Technology Officer in Strategic Innovation, Project Execution, and Mentoring
https://www.cs.princ[...]
[5]
논문
Management for the New Millennium-The Challenge of Change. (One Point of View)
https://www.questia.[...]
2001-11-01
[6]
논문
A new mission for corporate technology
1990
[7]
웹사이트
Chief Technology Officer - CTO
http://www.investope[...]
2011-07-11
[8]
서적
ITエンジニアのための業務知識がわかる本 第4版
2014
[9]
서적
시사경제용어사전
대한민국정부
2010
[10]
서적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챗GPT의 시대, 챗봇 개발사의 고민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