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전송 단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대 전송 단위(MTU)는 인터넷 프로토콜(IP)에서 단편화 없이 전송될 수 있는 최대 IP 패킷 크기를 의미하며, 이더넷 프레임의 경우 추가적인 오버헤드가 더해진다. MTU는 통신 프로토콜 및 네트워크 계층에 적용되며,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관련된다. 더 큰 MTU는 효율성을 높이지만, 큰 패킷은 지연을 증가시키고 오류 발생 시 재전송 비용을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다. 인터넷과 같은 광역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패킷이 다양한 MTU를 가진 경로를 통과하며, IP 단편화가 발생할 수 있다. 경로 MTU 탐색은 소스와 목적지 사이의 경로에서 지원되는 가장 작은 MTU를 찾기 위한 방법이지만, ICMP 트래픽 차단으로 인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패킷 -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DU)는 네트워크 통신에서 데이터 전송의 기본 단위로서, 각 계층은 서비스 데이터 단위(SDU)에 헤더와 제어 정보를 더해 PDU를 생성하며, 데이터 구조화, 오류 검출, 주소 지정 등의 기능을 수행하여 효율적인 통신을 지원하고, 크기는 네트워크 성능, MTU, IP 단편화, 보안 문제와 관련된다. - 패킷 - 셀 릴레이
셀 릴레이는 가변 길이 사용자 패킷을 고정 길이 셀 그룹으로 분할하여 고속으로 전송하는 기술이며, 지연에 민감한 트래픽에 사용되고, 흐름 제어 및 오류 검출 기능은 없으며, 비동기 전송 방식(ATM)과 같은 고속 패킷 스위칭 기술의 구현에 사용된다.
최대 전송 단위 | |
---|---|
일반 정보 | |
이름 | 최대 전송 단위 |
영어 이름 | Maximum Transmission Unit (MTU) |
설명 | 네트워크 세그먼트에서 허용되는 가장 큰 패킷 크기 |
관련 RFC | RFC 791, p. 25 |
상세 정보 | |
정의 |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그램의 최대 크기 (바이트) |
역할 | 데이터 링크 계층 프로토콜에서 정의되며, 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용 |
일반적인 값 | 이더넷: 1500 바이트 PPPoE: 1492 바이트 |
경로 MTU 발견 | 정의: IP 네트워크에서 두 호스트 간의 경로를 따라 가장 작은 MTU를 결정하는 기술 목적: 패킷 조각화를 피하고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 |
문제점 | TCP는 MTU 크기를 자동으로 조정하지만, UDP는 그렇지 않음 작은 MTU를 사용하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호스트는 성능 저하를 겪을 수 있음 |
추가 정보 | |
참고 자료 | IP 통신망 서비스 인터페이스 (제1분책, 제6판) Large MTUs and internet performance |
2. 주요 미디어에서의 최대 전송 단위
매체 | 최대 전송 단위 (바이트) | 주석 |
---|---|---|
인터넷 IPv4 Path MTU | 최소 68[20] | 실제 경로의 값은 일반적으로 더 높다. 시스템은 실제 경로의 MTU를 얻기 위해 경로 MTU 탐색[21] 방법을 사용한다. |
인터넷 IPv6 Path MTU | 최소 1280[22] | 실제 경로의 값은 일반적으로 더 높다. 시스템은 실제 경로의 MTU를 얻기 위해 경로 MTU 탐색[23] 방법을 사용한다. |
이더넷 v2 | 1500[24] | 이더넷 구현에서 거의 대부분의 IP는 이더넷 V2 프레임 형식을 사용한다. |
LLC and SNAP, PPPoE | 1492[25] | |
이더넷 점보 프레임 | 1501-9216[26] | 한도는 벤더에 따라 달라진다. 정확한 상호운용을 위해, 모든 이더넷 네트워크는 같은 MTU값을 가져야한다. 점보 프레임은 보통 특수한 목적의 네트워크에서만 발견된다. 일반적으로, 점보 프레임은 최대 9000바이트의 유효 탑재량을 가진다. |
WLAN (802.11) | 7981[27] | |
토큰 링 (802.5) | 4464 | |
FDDI | 4352[21] |
MTU는 통신 프로토콜 및 네트워크 계층에 적용된다. MTU는 해당 계층이 전달할 수 있는 가장 큰 PDU(Protocol Data Unit)를 바이트 또는 옥텟 단위로 지정한 값이다. MTU 매개변수는 일반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NIC, 시리얼 포트 등)와 관련하여 나타난다. 이더넷과 같은 표준은 MTU 크기를 고정할 수 있으며, 점대점 시리얼 링크와 같은 시스템은 연결 시에 MTU를 결정할 수 있다.
3. MTU 적용 및 이점/단점
기본 데이터 링크 계층 및 물리 계층은 전송될 네트워크 계층 데이터에 오버헤드를 추가한다. 따라서 주어진 매체의 최대 프레임 크기에 대해 해당 매체의 MTU를 계산하려면 오버헤드 양을 빼야 한다. 예를 들어, 이더넷의 최대 프레임 크기는 1518바이트이며, 그중 18바이트는 오버헤드(헤더 및 프레임 검사 시퀀스)이므로 MTU는 1500바이트이다.
패킷 통신에서 패킷 길이 결정은 통신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데이터 손상 시 감지 및 재전송은 일반적으로 패킷 단위로 수행된다. 불안정한 전송로에서는 작은 패킷으로 통신하는 것이 재전송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반면, 오류가 거의 없는 전송로에서는 패킷 길이를 크게 하여 패킷화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통신 매체는 이러한 특성에 따라 MTU를 설정하며, 캡슐화도 MTU를 감소시킨다.
인터넷과 같은 WAN 환경에서는 패킷이 목적지에 도착하기까지 다양한 MTU의 전송로를 거칠 수 있다. 프레임 길이가 MTU를 초과하면 패킷 단편화 및 재통합이 수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패킷 재구성은 라우터 부하 증가 및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되므로, 단편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패킷 길이를 제한하는 방법도 있다. 단, 이 값은 목적지 및 경로에 따라 다르므로, 미리 정적으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타협이 필요할 수 있다. IPv4에서 단편화된 경우, IPv4 헤더의 "플래그"를 사용하여 단편화를 관리한다.
다음은 주요 매체별 최대 전송 단위(MTU)를 나타낸 표이다.매체 (Media) 최대 전송 단위 (바이트) 주석 Internet IPv4 Path MTU 최소 68[20] 실제 경로의 값은 일반적으로 더 높다. 시스템은 실제 경로의 MTU를 얻기 위해 경로 MTU 탐색[21] 방법을 사용할 것이다. Internet IPv6 Path MTU 최소 1280[22] 실제 경로의 값은 일반적으로 더 높다. 시스템은 실제 경로의 MTU를 얻기 위해 경로 MTU 탐색[23] 방법을 사용할 것이다. Ethernet v2 1500[24] 이더넷 구현에서 거의 대부분의 IP는 이더넷 V2 프레임 형식을 사용한다. Ethernet with LLC and SNAP, PPPoE 1492[25] Ethernet Jumbo Frames 1501-9216[26] 한도는 벤더에 따라 달라진다. 정확한 상호운용을 위해, 모든 이더넷 네트워크는 같은 MTU값을 가져야한다. 점보 프레임은 보통 특수한 목적의 네트워크에서만 발견된다. 일반적으로, 점보 프레임은 최대 9000바이트의 유효 탑재량을 가진다. WLAN (802.11) 7981[27] Token Ring (802.5) 4464 FDDI 4352[21]
3. 1. MTU 크기에 따른 장단점
더 큰 MTU는 각 네트워크 패킷이 더 많은 사용자 데이터를 전달하는 반면, 헤더 또는 기본 패킷당 지연과 같은 프로토콜 오버헤드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더 큰 효율성을 가져온다. 결과적으로 더 높은 효율성은 벌크 프로토콜 처리량의 향상을 의미한다. 또한 더 큰 MTU는 동일한 양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더 적은 수의 패킷을 처리해야 한다. 일부 시스템에서 패킷당 처리는 중요한 성능 제한 요소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점에는 단점도 있다. 큰 패킷은 작은 패킷보다 더 오랜 시간 동안 링크를 점유하여 후속 패킷에 더 큰 지연을 유발하고 네트워크 지연 및 지연 변화를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계층에서 이더넷이 허용하는 최대 크기인 1500바이트 패킷은 14.4k 모뎀을 약 1초 동안 점유한다.
통신 오류가 발생하면 큰 패킷도 문제가 된다. 순방향 오류 정정이 사용되지 않으면 패킷의 단일 비트 손상이 전체 패킷을 재전송해야 하며, 이는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다. 주어진 비트 오류율에서 더 큰 패킷은 손상에 더 취약하다. 페이로드가 더 커서 더 큰 패킷의 재전송에 더 오래 걸린다. 재전송 기간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에도 불구하고 큰 패킷은 엔드 투 엔드 TCP 성능에 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1]
4. 인터넷 프로토콜에서의 MTU
인터넷 프로토콜에서 최대 전송 단위(MTU)는 분할 없이 전송 가능한 IP 패킷의 최대 크기를 의미한다. 여기에는 IP 헤더는 포함되지만, 프로토콜 스택의 낮은 단계 헤더는 포함되지 않는다.[18][19] MTU는 모든 호스트가 지켜야 하는 최소 데이터그램 크기와는 다른 개념이다.
MTU는 통신 프로토콜 및 네트워크 계층에 적용되며, 해당 계층이 전달할 수 있는 가장 큰 PDU(Protocol Data Unit)의 크기를 바이트 또는 옥텟 단위로 나타낸다. MTU 매개변수는 일반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NIC, 시리얼 포트 등)와 관련되어 나타난다. 이더넷과 같은 표준은 MTU 크기를 고정할 수 있지만, 점대점 시리얼 링크와 같은 시스템은 연결 시에 MTU를 결정할 수 있다.
기본 데이터 링크 계층 및 물리 계층은 일반적으로 전송될 네트워크 계층 데이터에 오버헤드를 추가한다. 따라서 주어진 매체의 최대 프레임 크기에 대해 해당 매체의 MTU를 계산하려면 오버헤드 양을 빼야 한다. 예를 들어, 이더넷의 최대 프레임 크기는 1518바이트이며, 그중 18바이트가 오버헤드(헤더 및 프레임 검사 시퀀스)이므로 MTU는 1500바이트이다.
매체 (Media) | 최대 전송 단위 (바이트) | 주석 |
---|---|---|
Internet IPv4 Path MTU | 최소 68[20] | 실제 경로의 값은 일반적으로 더 높다. 시스템은 실제 경로의 MTU를 얻기 위해 경로 MTU 탐색[21] 방법을 사용한다. |
Internet IPv6 Path MTU | 최소 1280[22] | 실제 경로의 값은 일반적으로 더 높다. 시스템은 실제 경로의 MTU를 얻기 위해 경로 MTU 탐색[23] 방법을 사용한다. |
Ethernet v2 | 1500[24] | 이더넷 구현에서 거의 대부분의 IP는 이더넷 V2 프레임 형식을 사용한다. |
Ethernet with LLC and SNAP, PPPoE | 1492[25] | |
Ethernet Jumbo Frames | 1501-9216[26] | 한도는 벤더에 따라 달라진다. 정확한 상호운용을 위해, 모든 이더넷 네트워크는 같은 MTU값을 가져야한다. 점보 프레임은 보통 특수한 목적의 네트워크에서만 발견된다. 일반적으로, 점보 프레임은 최대 9000바이트의 유효 탑재량을 가진다. |
WLAN (802.11) | 7981[27] | |
Token Ring (802.5) | 4464 | |
FDDI | 4352[21] |
호스트는 자신의 인터페이스와 피어의 MTU는 알 수 있지만, 다른 피어에 대한 링크 체인에서 가장 낮은 MTU는 처음부터 알 수 없다. 또한 상위 계층 프로토콜이 로컬 링크에서 지원하는 것보다 더 큰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는 문제도 있다.
IPv4는 지정된 MTU 제한을 수용할 수 있을 만큼 작은 조각으로 데이터그램을 분할하는 IP 단편화를 허용한다. 이 단편화 과정은 인터넷 계층에서 발생하며, 단편화된 패킷은 대상 호스트의 IP 계층이 패킷을 원래 데이터그램으로 재조립해야 함을 알 수 있도록 표시된다. 패킷의 모든 조각이 도착해야 패킷이 수신된 것으로 간주되므로, 네트워크가 조각을 삭제하면 전체 패킷이 손실된다.
단편화해야 하는 패킷 수 또는 조각 수가 많으면 단편화로 인해 과도하거나 불필요한 오버헤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터널링 상황은 헤더의 데이터만큼 약간의 MTU를 초과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각 패킷은 두 개의 조각으로 전송되어야 하며, 두 번째 조각은 매우 적은 페이로드만 전달하게 된다.
패킷 통신에서 패킷 길이 결정은 통신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데이터가 손상된 경우, 감지 및 재전송은 패킷 단위로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불안정한 전송로에서는 작은 패킷으로 통신하는 것이 재전송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반면, 오류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전송로에서는 패킷 길이를 크게 하여 패킷화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인터넷과 같은 WAN 환경에서는 패킷이 목적지에 도착하기까지 다양한 MTU의 전송로를 통과할 수 있으며, MTU를 초과하는 경우 상위 계층에서 패킷의 단편화 및 재조합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패킷 재조합은 라우터의 처리 부하 증가 및 통신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된다.
IP에서는 RFC 1191에 정의된 경로 MTU 탐색(Path MTU Discovery)을 사용하여 종단까지 단편화를 수행하지 않고 전송할 수 있는 MTU를 동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는 패킷에 단편화 금지 플래그(DF 플래그)를 설정해두고, MTU 문제로 전송할 수 없는 경로에 도달하면 해당 내용을 ICMP 패킷으로 송신측에 통지하여 프레임 길이를 재조정하는 방식이다. ICMP는 전송할 수 없었던 라우터에서 송신측 호스트로 전송된다.
전송할 수 없음을 통지하는 ICMP 패킷은 Type 3(Destination Unreachable Message)의 Code 4(fragmentation needed and DF set)이다. "Datagram Too Big"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4. 1. 인터넷 프로토콜의 최소 MTU 요구 사항
인터넷 프로토콜 모음은 서로 다른 여러 네트워킹 기술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되었으며, 각 기술은 서로 다른 크기의 패킷을 사용할 수 있다. 인터넷 프로토콜은 호스트가 최소 576바이트(IPv4의 경우) 또는 1280바이트(IPv6의 경우)의 IP 데이터그램을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이는 이 최소 MTU보다 작은 MTU를 가진 링크 계층에서 IP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IPv6의 사양에 따르면 특정 링크 계층이 1280바이트 IP 데이터그램을 단일 프레임으로 전달할 수 없는 경우, 해당 링크 계층은 IP 단편화 메커니즘과 별도로 자체 단편화 및 재조립 메커니즘을 제공하여 1280바이트 IP 데이터그램을 손상 없이 IP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5. 경로 MTU 탐색 (Path MTU Discovery)
인터넷 프로토콜에서 경로 MTU는 소스와 목적지 사이의 경로에 있는 모든 홉에서 지원되는 가장 작은 MTU로 정의된다. 즉, 경로 MTU는 단편화 없이 이 경로를 통과할 수 있는 가장 큰 패킷 크기이다.
경로 MTU 탐색(Path MTU Discovery, PMTUD)은 IPv4와 IPv6 모두에 대해 정의된 기술로, 두 IP 호스트 간의 경로 MTU를 결정한다. IP 헤더에 DF(Don't Fragment, 분할 금지) 옵션을 설정하여 패킷을 전송하고, MTU가 패킷보다 작은 경로의 모든 장치는 해당 패킷을 삭제하고 MTU를 나타내는 ICMP "대상에 도달할 수 없음 (데이터그램이 너무 큼)" 메시지를 보낸다. 이 정보를 통해 소스 호스트는 가정된 경로 MTU를 적절하게 줄일 수 있다. 이 과정은 MTU가 단편화 없이 전체 경로를 통과할 수 있을 만큼 작아질 때까지 반복된다.
표준 이더넷은 1500바이트의 MTU를 지원하며, 점보 프레임을 지원하는 이더넷 구현은 최대 9000바이트의 MTU를 허용한다. 그러나 PPPoE와 같은 경계 프로토콜은 이를 줄인다. 경로 MTU 탐색은 이더넷 엔드 노드에서 보이는 MTU와 경로 MTU 간의 차이점을 드러낸다.
IP에서는 경로 MTU 탐색을 사용하여 종단까지 단편화를 수행하지 않고 전송할 수 있는 MTU를 동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패킷에 단편화 금지 플래그(DF 플래그)를 설정하고, MTU 문제로 전송할 수 없는 경로에 도달하면 해당 내용을 ICMP 패킷으로 송신측에 통지하여 프레임 길이를 재조정한다. 전송할 수 없음을 통지하는 ICMP 패킷은 Type 3(Destination Unreachable Message)의 Code 4(fragmentation needed and DF set)이며, "Datagram Too Big"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 값은 단편화를 필요로 했던 전송로의 MTU이므로 송신측이 재시도할 때 경로 MTU의 다음 후보 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경로 MTU 탐색은 정의된 대로 동작하면 단편화를 필요로 하지 않는 최대 MTU를 검출할 수 있지만, 현실에서는 설정 문제로 인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드물지 않다.
5. 1. 경로 MTU 탐색의 문제점: 블랙홀
인터넷 프로토콜에서 경로 MTU는 소스와 목적지 사이의 경로에 있는 모든 홉(hop)에서 지원되는 가장 작은 MTU로 정의된다. 경로 MTU 탐색은 IP 헤더에 DF(분할 금지) 옵션을 설정하여 작동하며, MTU가 패킷보다 작은 장치는 해당 패킷을 삭제하고 ICMP 메시지를 보내 소스 호스트가 경로 MTU를 적절하게 줄이도록 한다.하지만, 증가하는 수의 네트워크가 서비스 거부 공격을 방지하기 위해 ICMP 트래픽을 삭제하므로 경로 MTU 탐색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를 '경로 MTU 탐색 블랙홀'이라고 부른다. 이 문제는 방화벽 등에서 ICMP 패킷, 특히 "Datagram Too Big" 메시지(Type 3 Code 4)를 필터링하여 발생한다.[16] 송신 측은 패킷 손실을 인지하지 못하고 타임아웃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CMP 필터링 시에도 Type 3 Code 4("fragmentation needed and DF set")는 통과시켜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경로 MTU 탐색을 중단하고 단편화를 허용하도록 설정해야 한다.
현실적으로 통신 상대에게 문제를 이해시키고 수정하도록 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TCP의 최대 세그먼트 크기(MSS) 옵션을 사용하여 회피하는 방법이 있다. TCP 연결 시작 시, 자체 호스트가 수신 가능한 최대 세그먼트 길이를 통지하고, 상대는 이 길이를 초과하는 TCP 데이터그램을 송신하지 않도록 한다. 최근의 광대역 라우터는 TCP 세그먼트 전송 시 MSS 옵션을 재작성하는 기능을 통해 경로 MTU 탐색 문제를 회피할 수 있도록 돕는다.[16]
6. 기타 환경에서의 MTU
최대 전송 단위는 모든 호스트가 지켜야 하는 최소 데이터그램 크기와 혼동되어서는 안 된다 (IPv4[18]: 576 바이트, IPv6[19]: 1280 바이트).
매체 (Media) | 최대 전송 단위 (바이트) | 주석 |
---|---|---|
Internet IPv4 Path MTU | 최소 68[20] | 실제 경로의 값은 일반적으로 더 높다. 시스템은 실제 경로의 MTU를 얻기 위해 경로 MTU 탐색[21] 방법을 사용할 것이다. |
Internet IPv6 Path MTU | 최소 1280[22] | 실제 경로의 값은 일반적으로 더 높다. 시스템은 실제 경로의 MTU를 얻기 위해 경로 MTU 탐색[23] 방법을 사용할 것이다. |
Ethernet v2 | 1500[24] | 이더넷 구현에서 거의 대부분의 IP는 이더넷 V2 프레임 형식을 사용한다. |
Ethernet with LLC and SNAP, PPPoE | 1492[25] | |
Ethernet Jumbo Frames | 1501-9216[26] | 한도는 벤더에 따라 달라진다. 정확한 상호운용을 위해, 모든 이더넷 네트워크는 같은 MTU 값을 가져야 한다. 점보 프레임은 보통 특수한 목적의 네트워크에서만 발견된다. 일반적으로, 점보 프레임은 최대 9000바이트의 유효 탑재량을 가진다. |
WLAN (802.11) | 7981[27] | |
Token Ring (802.5) | 4464 | |
FDDI | 4352[21] |
MTU는 때때로 네트워크 계층 외의 통신 계층에서 최대 PDU 크기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 시스코 시스템즈(Cisco Systems)와 마이크로틱(MikroTik)은 최대 프레임 크기에 대해 ''L2 MTU''를 사용한다.
- 델(Dell)/포스10(Force10)은 최대 프레임 크기에 대해 ''MTU''를 사용한다.
- 휴렛 팩커드(Hewlett-Packard)는 선택적 IEEE 802.1Q 태그를 포함한 최대 프레임 크기에 대해 단순히 ''MTU''를 사용했다.
- 주니퍼 네트웍스(Juniper Networks)는 여러 MTU 용어를 사용한다: ''물리 인터페이스 MTU''(L3 MTU 및 일부 지정되지 않은 프로토콜 오버헤드), ''논리 인터페이스 MTU''(IETF MTU와 일치) 및 ''최대 MTU''(점보 프레임에 대해 구성 가능한 최대 프레임 크기).
세그먼트의 MTU보다 큰 패킷이 물리적 네트워크 세그먼트에서 전송되는 것은 재버라고 알려져 있다. 이것은 거의 항상 결함이 있는 장치로 인해 발생한다. 네트워크 스위치와 일부 리피터 허브는 장치가 재버링할 때 이를 감지하는 기능을 내장하고 있다.
7. RFC 문서
RFC 1191에서는 경로 MTU 검색에 대해 설명한다.[1] RFC 1812는 IP 버전 4 라우터 요구 사항을 다룬다.[2] RFC 1981에서는 IP 버전 6의 경로 MTU 검색을 설명한다.[3] RFC 2923에서는 경로 MTU 검색과 관련된 TCP 문제를 다룬다.[4]
참조
[1]
서적
2012 IEEE 1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igh Performance Switching and Routing
[2]
간행물
IEEE 802.3
[3]
간행물
Jumbo Frames
http://www.networkwo[...]
Network World
2013-08-05
[4]
간행물
Physical Interface Properties
https://www.juniper.[...]
2020-05-01
[5]
웹사이트
Practical Issues Associated With 9K MTUs
https://www.stsauver[...]
uoregon.edu
2016-12-15
[6]
문서
802.11-2012
[7]
웹사이트
Configure and Verify Maximum Transmission Unit on Cisco Nexus Platforms
http://www.cisco.com[...]
Cisco
2017-01-04
[8]
웹사이트
MTU in RouterOS
https://help.mikroti[...]
MikroTik
2022-09-02
[9]
웹사이트
How to configure MTU (Maximum Transmission Unit) for Jumbo Frames on Dell Networking Force10 switches
http://www.dell.com/[...]
Dell
2017-01-06
[10]
서적
HP Networking 2910al Switches Management and Configuration Guide
Hewlett-Packard
2011-11
[11]
웹사이트
SRX Series Services Gateways for the Branch Physical Interface Modules Reference: ''MTU Default and Maximum Values for Physical Interface Modules''
http://www.juniper.n[...]
Juniper
2017-01-04
[12]
간행물
jabber
http://www.thenetwor[...]
The Network Encyclopedia
2016-07-28
[13]
간행물
show interfaces
http://www.juniper.n[...]
Juniper Networks
2016-07-28
[14]
문서
IEEE 802.3
[15]
웹사이트
IP通信網サービスのインタフェース 第一分冊 (第6版)
http://www.flets.com[...]
東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2009-09-13
[16]
웹사이트
Microsoft Updateが遅くなるトラブルが発生
https://xtech.nikkei[...]
日経BP ITpro
2009-09-19
[17]
저널
Large MTUs and internet performance
http://www.kevin-lee[...]
[18]
문서
RFC 791
[19]
문서
RFC 2460
[20]
문서
RFC 791
[21]
문서
RFC 1191
[22]
문서
RFC 2460
[23]
문서
RFC 6145
[24]
문서
Network Working Group of the IETF
[25]
문서
RFC 1042
[26]
인용
Jumbo Frames
http://www.networkwo[...]
Network World
2013-08-05
[27]
문서
IEEE Standard for Information technolog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