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사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사유(1372년 ~ 1455년)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다. 자는 휘지이며, 최윤문의 아들이다. 1399년 사마시에 합격하고, 1402년 문과에 급제하여 용담현령, 의성현령, 홍문관 부수찬 등을 역임했다. 사간원 좌헌납, 성균관 사예, 보문각 직제학을 거쳐 지승문원사 통정대부에 올랐으며, 좌익원종공신 2등에 책록되고 영원군에 봉해졌다. 문정공 최항의 공훈으로 영원부원군에 봉해지고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崔斯宥중국어는 1372년(공민왕 21)에 태어나 1455년(세조 1)에 사망하였다. 자(字)는 휘지(徽之)이며, 최윤문(崔潤文)의 아들이다. 1399년(정종 1) 사마시 생원과 진사 양시에 모두 합격하였고, 1402년(태종 2) 식년문과에 병과 5위로 급제하였다. 홍문관 부수찬, 춘추관 기사관, 장흥고사 등을 역임하였다.
2. 생애
1432년(세종 14) 사간원 헌납, 성균관 사예, 보문각 직제학을 거쳐 지승문원사, 통정대부에 올랐다. 아들 최항의 공훈으로 영원부원군에 봉해지고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2. 1. 관직
崔斯宥중국어는 1399년(정종 1) 사마시 생원, 진사 양시에 모두 합격하고, 1402년(태종 2) 식년문과에 병과 5위(8/33)로 급제하였다. 이후 여러 관직을 거쳤다. 주요 관직은 다음과 같다.
이후 좌익원종공신 2등에 책록되었으며, 영원군에 봉해지고 기로소에 들어갔다. 아들 최항의 공훈으로 영원부원군에 봉해지고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2. 2. 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증조부 | 최선보(崔善甫) | 친어모군낭장(親御侮軍郎將) |
증조모 | 온양 조씨(溫陽趙氏) | 의인(宜人) |
조부 | 최충(崔忠) | 증 병조판서(贈 兵曹判書) |
조모 | 영양 남씨(英陽南氏) | 증 정부인 (贈 貞夫人) |
부 | 최윤문(崔潤文) | 증 의정부 우찬성 (贈 右贊成) |
모 | 함종 어씨(咸從魚氏) | 증 정경부인 (贈 貞敬夫人), 부(父) 삼사좌윤(三司左尹) 백유(伯遊) |
배우자 | 해주 오씨(海州吳氏) | 증 정경부인 (贈 貞敬夫人), 부(父) 판종부시사(判宗簿寺事) 혁충(奕忠) |
아들 | 최항(崔恒) | 영성부원군(寧城府院君), 영의정(領議政), 문정공(文靖公), 태허정(太虛亭) |
며느리 | 달성 서씨 | 정경부인 (貞敬夫人), 부(父) 달천부원군(達川府院君) 미성(彌性), 외조부 문충공(文忠公) 양촌(陽村) 권근(權近) |
손자 | 최영린(崔永潾) | 예조참의(禮曹參議) |
손부 | 경주 이씨(慶州李氏) | 숙부인(淑夫人), 부(父) 대호군(大護軍) 이효림(李孝林), 좌의정(左議政) 정순공(靖順公) 이성중(李誠中) 증손 |
손부 | 고령 박씨(高靈朴氏) | 숙부인(淑夫人), 부(父) 감(監司) 박건순(朴健順) |
증손 | 최수영(崔秀英) | 부사직(副司直), 사직공파 파조(司直公派 派祖) |
증손부 | 성주 이씨(星州李氏) | 숙인(淑人), 부(父) 부사(府使) 이숙생(李叔生) |
현손 | 최준철(崔濬哲) | 증 집의(贈 執義) |
현손부 | 광산 김씨(光山金氏) | 증 숙인(贈 淑人), 부(父) 목사(牧使) 김거(金琚), 좌상국(左相國) 김국광(金國光) 후손 |
현손 | 최준문(崔濬文) | |
현손부 | 전의 이씨(全義李氏) | 부(父) 생원(生員) 이한생(李翰生) |
증손 | 최수웅(崔秀雄) | 증 좌통례(贈 左通禮), 통례공파 파조(通禮公派 派祖) |
증손부 | 진주 하씨(晉州河氏) | 숙부인(淑夫人), 부(父) 사직(司直) 하응(河應), 안렴사(按廉使) 하중룡(河仲龍) 현손 |
현손 | 최준원(崔濬源) | |
현손부 | 상주 박씨(尙州朴氏) | 부(父) 군기시정(軍器寺正) 박기수(朴期壽) |
현손 | 최준옥(崔濬沃) | |
현손부 | ? | |
증손 | 최수걸(崔秀傑) | 부사정(副司正), 사정공파 파조(司正公派 派祖) |
증손부 | 장연 노씨(長淵盧氏) | 의인(宜人), 부(父) 호군(護軍) 노수강(盧守壃) |
현손 | 최준형(崔濬亨) | 참봉(參奉) |
현손부 | 전의 이씨(全義李氏) | 부(父) 생원(生員) 이철수(李鐵壽), 감사(監司) 이신효(李愼孝) 증손 |
현손 | 최준인(崔濬仁) | 목사(牧使) |
현손부 | 평산 신씨(平山申氏) | 숙인(淑人), 부(父) 참군(參軍) 신수례(申守禮), 대사성(大司成) 증 예조판서(贈 禮曹判書) 신자승(申自繩) 증손 |
손자 | 최영호(崔永灝) | 증 좌찬성(贈 左贊成), 찬성공파 파조(贊成公派 派祖) |
손부 | 경주 정씨(慶州鄭氏) | 증 정경부인(贈 貞敬夫人), 부(父) 계림군(鷄林君) 정효상(鄭孝常) |
증손 | 최수언(崔秀彦) | 이조판서(吏曹判書), 판서공파 파조(判書公派派祖) |
증손부 | 청송 심씨(靑松沈氏) | 정부인(貞夫人), 부(父) 군수(郡守) 심빈(沈賓), 1녀, 서(婿) 허정(許淨) 양천인(陽川人) |
증손부 | 안동 권씨(安東權氏) | 정부인(貞夫人), 아들 최경립(崔卿立) |
현손 | 최경립(崔卿立) | |
현손부 | 김해 김씨(金海金氏) | 부(父) 판서(判書) 김묵(金默), 아들 최응룡(崔應룡) |
증손 | 최수진(崔秀珍) | 영천부원군(寧川府院君) 증 영의정(贈 領議政), 경파(京派) |
증손부 | 창녕 성씨(昌寧成氏) | 정경부인(貞敬夫人), 판서(判書) 허백당(虛白堂) 성현(成俔)의 3녀, 무후(無後) |
증손부 | 전의 이씨(全義李氏) | 정경부인(貞敬夫人), 이세신(李世臣)의 딸, 1남 1녀 |
현손 | 최흥원(崔興源) | 영평부원군(寧平府院君) 영의정(領議政) 충정공(忠貞公) 청백리(淸白吏) |
현손부 | 안동 권씨(安東權氏) | 정경부인(貞敬夫人), 부(父) 이참(吏參) 권응창(權應昌) |
이 문단은 내용이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3. 평가
4. 상훈 및 봉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