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악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치악산은 강원특별자치도에 위치한 산으로, 주봉인 비로봉(1,288m)을 중심으로 여러 봉우리들이 능선을 따라 이어진다. 꿩의 보은 설화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본래 붉은 단풍으로 인해 적악산으로 불리었으나 꿩 치(雉) 자를 써서 치악산으로 불리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비로봉 정상에는 미륵불탑이 있으며, 등산로 및 치악산 둘레길이 조성되어 있다. 지질학적으로는 선캄브리아기 고원생대의 암석인 치악산 편마암이 분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차령산맥 - 계룡산
계룡산은 충청남도에 위치하며 백제 시대부터 신성시된 산으로, 천왕봉을 최고봉으로 하는 다양한 봉우리와 폭포, 활엽수림으로 이루어져 있고 계룡산성, 사찰, 계룡대 등이 있으며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고 민간 신앙과 방송 서비스와도 관련 깊다. - 차령산맥 - 칠갑산
주병선의 노래 "칠갑산"으로 유명한 칠갑산은 충청남도 서북부에 위치한 산이며, 이 노래는 화전민들의 고된 삶과 애환을 담고 있다. - 원주시의 관광지 - 뮤지엄산
뮤지엄 산은 안도 타다오가 설계한 강원도 원주의 산 정상에 위치한 박물관으로, 자연과의 조화를 강조한 건축물과 화원, 수경원, 제임스 터렐관 등의 야외 정원, 그리고 이인희 컬렉션을 소장하고 있다. - 원주시의 관광지 - 박경리 문학공원
박경리 문학공원은 소설가 박경리의 삶과 문학을 기리기 위해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에 조성되었으며, 작가가 《토지》를 집필한 옛집과 소설 속 배경, 북카페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매주 월요일과 명절 당일을 제외하고 개방되어 있다. - 원주시의 지리 - 금왕 단층
금왕 단층은 진천군에서 설악산까지 이르는 넓은 지역에 걸쳐 있으며 제4기 동안 여러 차례 재활동한 대규모 단층으로, 음성 분지와 풍암 분지 형성과 관련이 있고, 현재 활동성은 미약한 것으로 평가되나 지진 발생 가능성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원주시의 지리 - 원주기업도시
원주기업도시는 기업도시개발 특별법에 따라 강원도 원주시에 조성된 자족형 복합도시로서, ICT 융합 연구 기관과 공공기관이 입주해 있고, 대중교통을 통해 원주시내 및 타 지역으로 연결되며, 초등학교와 중학교가 운영 중이다.
치악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치악산 |
한자 | 雉岳山 |
높이 | 1288 |
위치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횡성군 |
산맥 | 차령산맥 |
로마자 표기 | Chiaksan |
이미지 | |
![]() | |
국립공원 정보 | |
목록 | 대한민국의 국립공원 |
기타 정보 | |
천연기념물 | 원성성남리의성황림(原城城南里의城隍林) (1962년 12월 3일 지정) |
소재지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신림면 성남리 191 |
관련 문서 | 치악산국립공원 |
2. 명칭
옛날, 한 승려가 구렁이에게 잡아먹히려던 꿩을 구해준다. 그날 밤, 구렁이가 승려를 찾아와 잡아먹으려 하자, 해가 뜨기 전 산에서 종소리가 들리면 살려주겠다고 한다. 잠시 후, 산에서 종소리가 세 번 울리고, 구렁이는 승려를 살려주고 떠난다. 승려가 상원사로 가서 확인해보니, 종 아래에 꿩이 죽어있었다. 꿩이 종을 쳐서 승려에게 은혜를 갚은 것이다.[4] 이 설화 때문에 본래 단풍이 붉어 적악산(赤岳山)이라 불리던 산이 꿩 치(雉) 자를 써서 치악산(雉岳山)으로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5][6]
이 설화는 해남 대흥사에서 1921년 발행한 《범해선사 문집》의 '자웅종기'(雌雄鐘記)에 처음 등장한다.[7][8] 하지만, 자웅종기가 나오기 전부터 치악산이라고 불린 기록이 있어, 위 설화 때문에 치악산이라는 이름이 생겼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주장도 있다.[9]
2. 1. 꿩의 보은 설화
옛날, 한 승려가 구렁이에게 잡아먹히려던 꿩을 구해준다. 그날 밤, 구렁이가 승려를 찾아와 잡아먹으려 하자, 해가 뜨기 전 산에서 종소리가 들리면 살려주겠다고 한다. 잠시 후, 산에서 종소리가 세 번 울리고, 구렁이는 승려를 살려주고 떠난다. 승려가 상원사로 가서 확인해보니, 종 아래에 꿩이 죽어있었다. 꿩이 종을 쳐서 승려에게 은혜를 갚은 것이다.[4] 이 설화 때문에 본래 단풍이 붉어 적악산(赤岳山)이라 불리던 산이 꿩 치(雉) 자를 써서 치악산(雉岳山)으로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5][6]이 설화는 해남 대흥사에서 1921년 발행한 《범해선사 문집》의 '자웅종기'(雌雄鐘記)에 처음 등장한다.[7][8] 하지만, 자웅종기가 나오기 전부터 치악산이라고 불린 기록이 있어, 위 설화 때문에 치악산이라는 이름이 생겼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주장도 있다.[9]
3. 지리
wikitext
치악산은 주봉인 비로봉(1,288 m)을 중심으로 여러 봉우리들이 능선을 따라 이어진다. 북서쪽으로는 삼봉(1,072 m), 투구봉(1,002 m) 등이, 북동쪽으로는 천지봉(1,086 m), 매화산(1,084 m) 등이 이어진다.[10] 남쪽으로는 향로봉(1,043 m), 남대봉(1,181 m) 등이 이어진다.[10]
비로봉 정상에는 미륵불탑이 있는데, 이 돌탑 3기는 각각 용왕탑, 산신탑, 칠성탑이라고 불린다.[11] 이 탑들은 용창중이라는 사람이 꿈에서 신의 계시를 받고 1962년 9월부터 1964년까지 만들었다고 한다.[12]
치악산은 주봉인 비로봉(1,288 m)을 중심으로 능선을 따라 북쪽으로는 구룡사, 세렴폭포를 잇는 길이 나있으며, 남쪽으로는 향로봉(1,043 m), 남대봉(1,181 m)으로 이어지는 능선길이 있다.[10] 사다리병창길은 치악산 비로봉과 세렴폭포를 이어주는 능선길이다.[13] '병창'은 강원특별자치도 방언으로 '벼랑'을 이르는 말로,[14] '사다리병창'이라는 명칭은 사다리를 세워놓은 것처럼 생긴 벼랑길이라는 의미이다.[15] 계곡길은 사다리병창길 서쪽에 위치하며, 계곡을 따라 걷는 코스이다.[10] 치악산에는 총 길이 139.2 km인 치악산 둘레길이 있다.[16] 총 11개 코스로 구성된 이 둘레길은,[17] 2016년부터 조성되기 시작하여 2021년 5월 20일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18][19]
3. 1. 봉우리
치악산은 주봉인 비로봉(1,288 m)을 중심으로 여러 봉우리들이 능선을 따라 이어진다. 북서쪽으로는 삼봉(1,072 m), 투구봉(1,002 m) 등이, 북동쪽으로는 천지봉(1,086 m), 매화산(1,084 m) 등이 이어진다. 남쪽으로는 향로봉(1,043 m), 남대봉(1,181 m) 등이 이어진다.비로봉 정상에는 미륵불탑이 있는데, 이 돌탑 3기는 각각 용왕탑, 산신탑, 칠성탑이라고 불린다. 이 탑들은 용창중이라는 사람이 꿈에서 신의 계시를 받고 1962년 9월부터 1964년까지 만들었다고 한다.
3. 2. 등산로 및 둘레길
치악산은 주봉인 비로봉(1,288 m)을 중심으로 능선을 따라 북쪽으로는 구룡사, 세렴폭포를 잇는 길이 나있으며, 남쪽으로는 향로봉(1,043 m), 남대봉(1,181 m)으로 이어지는 능선길이 있다.[10] 사다리병창길은 치악산 비로봉과 세렴폭포를 이어주는 능선길이다.[13] '병창'은 강원특별자치도 방언으로 '벼랑'을 이르는 말로,[14] '사다리병창'이라는 명칭은 사다리를 세워놓은 것처럼 생긴 벼랑길이라는 의미이다.[15] 계곡길은 사다리병창길 서쪽에 위치하며, 계곡을 따라 걷는 코스이다.[10] 치악산에는 총 길이 139.2 km인 치악산 둘레길이 있다.[16] 총 11개 코스로 구성된 이 둘레길은,[17] 2016년부터 조성되기 시작하여 2021년 5월 20일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18][19]4. 지질
선캄브리아기 고원생대의 암석들은 횡성군 남부 치악산과 가까운 지역인 안흥면에 가장 넓게 분포한다. 이중 안흥면에 분포하는 고원생대 변성암류는 광역적인 미그마타이트화 작용과 화강암화 작용을 받은 '''편마암 복합체'''와 이들을 관입하는 '''고기 화강암류'''로 구분된다. 이 지역에 가장 넓게 분포하고 있는 편마암 복합체는 퇴적암과 석회암이 다양한 성분의 화강암질 물질의 유입을 수반하는 고도 변성작용에 의해 미그마타이트화 작용 및 화강암화 작용을 받은 암체이다.[20]
4. 1. 치악산 편마암
치악산 편마암(PRcgn; Precambrian chiaksan gneiss)은 횡성군에서 가장 오래된 암석이다.[2] 남으로는 치악산과 박달령, 동으로는 평창군 방림면 일대에 이르기까지 넓게 분포하는 변성 기반암 복합체의 일부이며, 이질(泥質) 및 사질(沙質) 성분의 퇴적암과 석회암이 다양한 성분의 화강암질 물질의 유입을 수반하는 고도 변성작용에 의해 미그마타이트화 작용 및 화강암화 작용을 받아 형성된 준(準)편마암 복합체이다.[2]대체로 호상구조가 뚜렷한 흑운모편마암과 미그마타이트질 편마암이 우세하나, 유입된 화강암질 물질의 종류와 양에 따라 석영장석질 편마암, 거정질 편마암, 반상질 편마암, 우백질 편마암 등 다양한 암상으로 구성되어 있다.[2] SHRIMP 저어콘 U-Pb 연대(이하 U-Pb 연대)를 측정한 결과 치악산 편마암의 퇴적시기는 약 2,070∼1,960 Ma, 약 20억 년 전에 해당할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약 1,860 Ma 시기에 변성작용과 화강암화 작용을 받아 현재의 치악산 편마암을 형성한 것으로 추정된다.[2]
참조
[1]
서적
신 한국 100 명산 ('The New' 100 Korean Mountains)
깊은솔 (Gipeunsol)
[2]
웹사이트
숲에 on
http://www.san.go.kr[...]
[3]
백과사전
치악산 국립공원
[4]
웹인용
제3경 상원사
https://www.wonju.go[...]
2021-10-13
[5]
뉴스
구름같은 ‘초록 가을’과의 만남… 한나절이면 마음에 담습니다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021-10-13
[6]
뉴스
머리로 종 친 꿩, 금강송의 치악산 청정 공기, 속세에 닿는다
http://news.heraldco[...]
헤럴드경제
2021-10-13
[7]
웹인용
향토자료
https://lib.gwe.go.k[...]
2021-10-13
[8]
뉴스
은혜갚은 꿩 제모습 찾는다
http://www.wonjutoda[...]
원주투데이
2021-10-13
[9]
웹인용
[2월의 명산ㅣ치악산] 높지 않지만 우뚝 솟아 상고대‧설화 일품
http://san.chosun.co[...]
2021-10-13
[10]
웹인용
치악산국립공원안내도
https://www.knps.or.[...]
2021-10-13
[11]
뉴스
원주 치악산 비로봉 돌탑 복원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21-10-13
[12]
뉴스
치악산 돌탑의 원형복원을 기대하며
http://www.kado.net/[...]
강원도민일보
2021-10-13
[13]
뉴스
[여름산행특집]지친일상 활력을 주는 원주 '치악산'
https://www.news1.kr[...]
뉴스1
2021-10-13
[14]
뉴스
[여름명산 배틀트립] 조망의 치악이냐…드라이브의 금수산이냐
https://www.mk.co.kr[...]
매일경제
2021-10-13
[15]
뉴스
원주 치악산, 겨울 본색을 드러내다
https://www.mk.co.kr[...]
매일경제
2021-10-13
[16]
웹인용
둘레길 소개
http://www.chiaktrai[...]
2021-10-13
[17]
뉴스
‘치악산 둘레길’ 5년 만에 완공…길이 140km, 3개 시군 지나
https://news.kbs.co.[...]
KBS
2021-10-13
[18]
뉴스
원주 굽잇길 이어 치악산 둘레길 139km 개통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1-10-13
[19]
뉴스
원주 '치악산 둘레길'에 공영버스 노선 신설…주말·공휴일 운행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1-10-13
[20]
간행물
안흥리도폭 지질조사보고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1년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철원·화천·양구 등 강원 영서 북부에 150~230㎜ 폭우···춘천·의암댐 수위조절 나서
수도권 집중호우에 사망·이재민 잇따라…최대 180mm 비 더 내려 추가 피해 우려
강원 철원 227㎜ 폭우 쏟아져…낙석·나무전도 등 비 피해 잇따라
강원도도 폭우에 몸살…태백산 등 '출입 금지'
강원 영서 지역에 80~160㎜ 비 쏟아져 피해 속출···낙석·나무 쓰러짐 등 40건
강원 영서에 70~130㎜ 비 내려 ‘나무 쓰러짐’ 등 피해 속출
'잠기고 쓰러지고' 밤사이 강원서 폭우 피해 속출
치악산면·청라구·에코델타동?…행정구역 명칭변경 놓고 ‘개명 전쟁’
‘고유지명 독점 불가’인데 원주 ‘치악산면’ 개칭 시도…횡성 ‘부글’
‘소백산면’ 이어 이번엔 ‘치악산면’ 논란···마을 명칭변경 문제로 원주와 횡성 갈등
[MK부동산 단신] 1500세대 6.2%대 편의점 실 투자 4.8억원
치악산 인근 5차례 ‘연쇄 방화’ 30대 구속
40㎝ 폭설 이어 또 최대 56㎝ 눈…강원서 폭설 피해 잇따라
강원지역 ‘봄 시샘 폭설’ 이어져 국립공원 탐방로 67곳 통제
‘꽃샘 폭설’에 차량 고립·정전 피해···여객선 83척 운항 중단
강원·경북에 대설특보, 전해상에 픙랑특보···여객선 38척 결항
[MK 부동산 단신] 원주IC, 치악산조망 제2종 일반주거지역 토지 ‘경매’
진부령, 구룡령 등 강원 산간 30~34cm 폭설···비닐하우스 등 시설물 피해 잇따라
최대 50㎝ ‘3월 폭설’에 제설차도 ‘쾅’…4일에도 더 내린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