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친 주는 미얀마 서부에 위치한 주로, 인도, 방글라데시와 국경을 접하며, 미얀마에서 두 번째로 높은 빅토리아산이 위치해 있다. 역사의 대부분 동안 버마족 왕국의 최서단 지역이었으며, 1885년 제3차 영국-미얀마 전쟁 이후 영국의 지배를 받았다. 1948년 라카인주에서 분리되어 친힐 특별 구역이 되었고, 1974년 하카를 주도로 친주가 성립되었다. 미얀마 내전의 영향으로 수많은 주민들이 이주했으며, 친랜드 방위군과 같은 무장 단체가 활동하고 있다. 2023년 친민족전선은 친랜드 헌법을 채택하여 친랜드 국가를 선포했으나, 일부 지역에서는 반대하고 있다. 친주는 4개의 구로 행정 구역이 나뉘며, 기독교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경제적으로는 기반 시설이 부족하고 개발이 미흡한 상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얀마의 주 - 라카인주
라카인주는 미얀마 서부에 위치하며 벵골만과 접하고, 역사적으로 아라칸 왕국으로 알려졌으나 현재 로힝야족 문제, 빈곤, 쿠데타 이후 정치적 불안정, 무력 충돌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쌀농사와 어업이 주요 산업이고 차우피유 항을 중심으로 경제적 변화를 겪고 있다. - 미얀마의 주 - 샨주
샨 주는 미얀마 동부에 위치하며 다양한 소수 민족이 거주하고, 역사적으로 버마 왕국의 통제를 받다가 미얀마 독립 이후 정치적 격변을 겪었으며, 현재는 11개의 군, 4개의 자치구, 1개의 자치관구로 구성되어 샨 주 정부가 행정을 담당하고, 광물 채굴, 농업, 마약 거래가 주요 산업이며, 불교가 다수를 차지한다. - 낡은 정보를 포함한 문단 - 추미애
추미애는 대한민국의 판사 출신 정치인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의 권유로 정계에 입문하여 다선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대표,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 낡은 정보를 포함한 문단 - 옥천군
옥천군은 충청북도 남부에 위치하며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곳으로 백제와 신라의 각축장이었고 조선 태종 때 옥천이라는 지명을 얻어 현재는 대전광역시의 위성도시로서 경부고속도로와 경부선 철도가 지난다. - 낡은 정보를 포함한 문서 - 추미애
추미애는 대한민국의 판사 출신 정치인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의 권유로 정계에 입문하여 다선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대표,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 낡은 정보를 포함한 문서 - 옥천군
옥천군은 충청북도 남부에 위치하며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곳으로 백제와 신라의 각축장이었고 조선 태종 때 옥천이라는 지명을 얻어 현재는 대전광역시의 위성도시로서 경부고속도로와 경부선 철도가 지난다.
친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일반 정보 | |
이름 | 친 주 |
로마자 표기 (버마어) | Hkyang: pranynai |
별칭 | 해당 없음 |
표어 | 해당 없음 |
종류 | 주 |
위치 | 미얀마 서부 |
역사 | |
이전 형태 | 아라칸 구 및 친 특별 구의 일부 |
설립 | 1974년 1월 3일 |
행정 | |
수도 | 하카 |
수반 | 푸 닥터 붕 수안 탕 |
내각 | 친 주 정부 |
입법부 | 친 주 의회 |
사법부 | 친 주 고등 법원 |
지리 | |
면적 | 36018.8 km² |
면적 순위 | 9위 |
최고 고도 | 3070 m |
최고 지점 | 낫 마 탕 |
인구 | |
총 인구 (2014년) | 478,801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인구 순위 | 14위 |
인구 통계 | 해당 없음 |
민족 | |
민족 구성 | 친족, 버마족, 미조족, 쿠키족, 조미족, 라카인족, 테딤족, 라이족 |
종교 | |
종교 구성 | 기독교 91.5% 불교 8.0% 애니미즘 및 기타 종교 0.5% |
경제 | |
인간 개발 지수 (2015년) | 0.556 |
HDI 순위 | 7위 |
시간대 | |
시간대 | MST |
UTC 오프셋 | +06:30 |
기타 정보 | |
ISO 코드 | 해당 없음 |
웹사이트 | 해당 없음 |
2. 지리
친 주는 미얀마 서부에 위치하며, 사가잉 지방, 마궤 지방, 라카인 주와 접하고, 인도 (마니푸르 주, 미조람 주), 방글라데시의 치타공 구와 국경을 접한다. 많은 강들이 산맥 사이를 남북으로 흘러 수많은 계곡을 형성한다. 해발 3,200m의 빅토리아산은 친 주에서 가장 높은 산이자 미얀마에서 두 번째로 높은 산이다. 친 주에는 하카 군, 탄탈랑 군, 파람 군, 티딤 군, 톤잔 군, 마투피 군, 민다트 군, 캄페레트 군, 팔레와 군의 9개 군이 있다.
역사의 대부분 동안, 인구가 희박한 친 구릉은 이라와디 계곡을 기반으로 한 버마족 왕국의 최서단 지역이었다. 버마족의 친 구릉 지배는 지역장 임명 정도에 그쳤다.[6] 마니푸르는 1558년 바인나웅 왕의 치세 때 처음 버마의 종주권하에 들어왔다.[6] 이후 역으로 친 구릉의 북부를 지배하던 마니푸르 왕국은 1730년대와 1740년대에 정기적으로 버마 북서부를 침공하였다.[6] 버마는 1750년대에 꼰바웅 왕조의 얼라웅퍼야 왕 때 지역의 지배권을 되찾았고 1758년에 마니푸르를 정복하여 다시 한 번 버마의 왕국에 공물을 바치게 했다.[6] 19세기 초에 버마의 왕은 친 구릉과 마니푸르를 넘어 팽창 정책을 취했다.[6] 보도퍼야 왕은 1813년에 마니푸르를 병합하였고 1817년에는 아삼을 점령하였다.[6] 그의 후계자 바지도 왕은 1819년에 마니푸르, 1821~22년 아삼의 반란을 진압하였다.[6] 친 구릉은 1824~26년 제1차 영국-미얀마 전쟁 이후 서부에서 유일하게 미얀마에게 남은 지역이다.[6] 아삼, 마니푸르, 아라칸과 같은 다른 서부 지역은 전쟁 이후 영국에 할양되었다.[6]
3. 역사
영국은 1885년의 제3차 영국-미얀마 전쟁 후에 친 구릉을 얻었다.[6] 계속되는 친족의 영국에 대한 저항은 1890년이 돼서야 진압되었다.[6] 영국은 친 구릉을 아라칸구의 관할로 하였다.[6] 1896년, 민다트와 깐뻬렛은 영국령 버마의 파콕쿠 힐 트랙트 구역의 관할이 되었고, 이후 친 구릉 지대로 불리게 되었다. 팔레트와 타운십만이 영국령 버마의 아라칸 힐 트랙트 구역의 일부가 되었다.[6] 미국인 선교사가 1890년대에 도착했고 20세기 중반에 친족의 대부분이 크리스트교로 개종하였다.[6]
친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3년 11월에 일본 제국 육군이 가장 서쪽으로 점령한 지역이었다.[6] 전쟁 후에 친족 수령은 판롱 회의에 참가하여 독립한 버마 연방의 미래에 대해 논의하였다.[6] 이 지역은 경제적으로 미얀마 본토에 크게 의존하고 있었기 때문에 친족 수령은 다른 소수민족 지도자와 달리 완전히 독립된 국가가 아닌 특별행정구만을 요구하였다.[6]
1948년, 아라칸주에서 분리되어 label=팔람/Falam, Burma영어을 주도로 하는 친힐 특별 구역이 되었다.[6] 1974년, 주도를 하카로 옮기고 친주가 성립되었다.[6] 오늘날 주는 기반 시설이 거의 없고 아주 빈곤하고 미개발된 상태로 남아있다.[9]
미얀마 내전 발발 이후, 친 주는 다른 미얀마 지역과 마찬가지로 심각한 영향을 받았다. 수만 명의 친 주 주민들이 인접국인 인도의 미조람으로 피신했으며, 탄틀랑과 같은 마을들은 전투로 파괴되었다.[12] 내전 발발 이후 친랜드 방위군(Chinland Defense Force)이라고 자칭하는 여러 무장 반군 단체가 등장했다. 이 단체들은 친족 디아스포라와 망명 중인 야권 정부인 미얀마 국민통합정부의 자금 지원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13] 2023년 12월 6일 친민족전선은 친랜드 헌법을 채택하여 친랜드 국가를 선포했다.[14] 그러나 친 주의 9개 읍 중 5개 읍(팔람, 칸페틀렛, 마투피, 민다트, 테딤)의 저항 단체들은 이 헌법에 반대했다.[15]
3. 1. 초기 역사
역사의 대부분 동안, 인구가 희박한 친 구릉은 이라와디 계곡을 기반으로 한 버마의 왕국의 최서단 지역이었다.[6] 버마족의 친 구릉의 지배 정도는 지역장을 임명하는 정도에 그쳤다.[6] 마니푸르는 1558년 바인나웅 왕의 치세 때 처음 버마의 종주권하에 들어왔다.[6] 이후 역으로 친 구릉의 북부를 지배하던 마니푸르 왕국은 1730년대와 1740년대에 정기적으로 버마 북서부를 침공하였다.[6] 버마는 1750년대에 꼰바웅 왕조의 얼라웅퍼야 왕 때 지역의 지배권을 되찾았고 1758년에 마니푸르를 정복하여 다시 한 번 버마의 왕국에 공물을 바치게 했다.[6] 19세기 초에 버마의 왕은 친 구릉과 마니푸르를 넘어 팽창 정책을 취했다.[6] 보도퍼야 왕은 1813년에 마니푸르를 병합하였고 1817년에는 아삼을 점령하였다.[6] 그의 후계자 바지도 왕은 1819년에 마니푸르, 1821~22년 아삼의 반란을 진압하였다.[6] 친 구릉은 1824~26년 제1차 영국-미얀마 전쟁 이후 서부에서 유일하게 미얀마에게 남은 지역이다.[6] 아삼, 마니푸르, 아라칸과 같은 다른 서부 지역은 전쟁 이후 영국에 할양되었다.[6]
영국은 1885년의 제3차 영국-미얀마 전쟁 후에 친 구릉을 얻었다.[6] 계속되는 친족의 영국에 대한 저항은 1890년이 돼서야 진압되었다.[6] 영국은 친 구릉을 아라칸구의 관할로 하였다.[6] 1896년, 민다트와 깐뻬렛은 영국령 버마의 파콕쿠 힐 트랙트 구역의 관할이 되었고, 이후 친 구릉 지대로 불리게 되었다. 팔레트와 타운십만이 영국령 버마의 아라칸 힐 트랙트 구역의 일부가 되었다.[6] 미국인 선교사가 1890년대에 도착했고 20세기 중반에 친족의 대부분이 크리스트교로 개종하였다.[6]
친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3년 11월에 일본 제국 육군이 가장 서쪽으로 점령한 지역이었다.[6] 전쟁 후에 친족 수령은 판롱 회의에 참가하여 독립한 버마 연방의 미래에 대해 논의하였다.[6] 이 지역은 경제적으로 미얀마 본토에 크게 의존하고 있었기 때문에 친족 수령은 다른 소수민족 지도자와 달리 완전히 독립된 국가가 아닌 특별행정구만을 요구하였다.[6]
1948년, 아라칸주에서 분리되어 label=팔람/Falam, Burma영어을 주도로 하는 친힐 특별 구역이 되었다.[6] 1974년, 주도를 하카로 옮기고 친주가 성립되었다.
3. 2. 영국 식민 통치
인구가 희박한 친 구릉은 역사 대부분 동안 이라와디 계곡을 기반으로 한 버마 왕국의 최서단 지역이었다. 버마족의 친 구릉 지배는 지역장 임명 정도에 그쳤다. 마니푸르는 1558년 바인나웅 왕 치세 때 처음 버마의 종주권하에 들어왔다. 이후 역으로 친 구릉 북부를 지배하던 마니푸르 왕국은 1730년대와 1740년대에 정기적으로 버마 북서부를 침공하였다. 버마는 1750년대 꼰바웅 왕조의 얼라웅퍼야 왕 때 지역 지배권을 되찾았고, 1758년 마니푸르를 정복하여 다시 버마 왕국에 공물을 바치게 했다. 19세기 초, 버마 왕은 친 구릉과 마니푸르를 넘어 팽창 정책을 폈다. 보도퍼야 왕은 1813년 마니푸르를 병합, 1817년 아삼을 점령했다. 그의 후계자 바지도 왕은 1819년 마니푸르, 1821~22년 아삼의 반란을 진압했다. 친 구릉은 제1차 영국-미얀마 전쟁(1824~26) 이후 서부에서 유일하게 미얀마에게 남은 지역이다. 아삼, 마니푸르, 아라칸 같은 다른 서부 지역은 전쟁 이후 영국에 할양되었다.
영국은 1885년 제3차 영국-미얀마 전쟁 후 친 구릉을 얻었다. 계속되는 친족의 영국에 대한 저항은 1890년이 돼서야 진압되었다. 영국은 친 구릉을 아라칸구의 관할로 하였다. 1896년, 민다트와 깐뻬렛은 영국령 버마의 파콕쿠 힐 트랙트 구역의 관할이 되었고, 이후 친 구릉 지대로 불리게 되었다. 팔레트와 타운십만이 영국령 버마의 아라칸 힐 트랙트 구역의 일부가 되었다. 미국인 선교사가 1890년대에 도착했고, 20세기 중반 친족 대부분이 크리스트교로 개종하였다.
3. 3. 제2차 세계 대전
역사의 대부분 동안, 인구가 희박한 친 구릉은 이라와디 계곡을 기반으로 한 버마 왕국의 최서단 지역이었다. 버마족의 친 구릉 지배는 지역장을 임명하는 정도에 그쳤다. 마니푸르는 1558년 바인나웅 왕의 치세 때 처음 버마의 종주권하에 들어왔다. 이후 역으로 친 구릉의 북부를 지배하던 마니푸르 왕국은 1730년대와 1740년대에 정기적으로 버마 북서부를 침공하였다. 버마는 1750년대에 꼰바웅 왕조의 얼라웅퍼야 왕 때 지역의 지배권을 되찾았고 1758년에 마니푸르를 정복하여 다시 한 번 버마의 왕국에 공물을 바치게 했다. 19세기 초에 버마의 왕은 친 구릉과 마니푸르를 넘어 팽창 정책을 취했다. 보도퍼야 왕은 1813년에 마니푸르를 병합하였고 1817년에는 아삼을 점령하였다. 그의 후계자 바지도 왕은 1819년에 마니푸르, 1821~22의 아삼의 반란을 진압하였다. 친 구릉은 1824~26의 제1차 영국-미얀마 전쟁 이후 서부에서 유일하게 미얀마에게 남은 지역이다. 아삼, 마니푸르, 아라칸과 같은 다른 서부 지역은 전쟁 이후 영국에 할양되었다.
영국은 1885년의 제3차 영국-미얀마 전쟁 후에 친 구릉을 얻었다. 계속되는 친족의 영국에 대한 저항은 1890년이 돼서야 진압되었다. 영국은 친 구릉을 아라칸구의 관할로 하였다. 미국인 선교사가 1890년대에 도착했고 20세기 중반에 친족의 대부분이 크리스트교로 개종하였다.
친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3년 11월에 일본 제국 육군이 가장 서쪽으로 점령한 지역이었다.
3. 4. 독립 이후
역사의 대부분 동안, 인구가 희박한 친 구릉은 이라와디 계곡을 기반으로 한 버마족 왕국의 최서단 지역이었다. 버마족의 친 구릉 지배는 지역장 임명 정도에 그쳤다.[9] 마니푸르는 1558년 바인나웅 왕의 치세 때 처음 버마의 종주권하에 들어왔다. 이후 역으로 친 구릉의 북부를 지배하던 마니푸르 왕국은 1730년대와 1740년대에 정기적으로 버마 북서부를 침공하였다. 버마는 1750년대에 꼰바웅 왕조의 얼라웅퍼야 왕 때 지역의 지배권을 되찾았고 1758년에 마니푸르를 정복하여 다시 버마 왕국에 공물을 바치게 했다. 19세기 초, 버마 왕은 친 구릉과 마니푸르를 넘어 팽창 정책을 취했다. 보도퍼야 왕은 1813년에 마니푸르를 병합하였고 1817년에는 아삼을 점령하였다. 그의 후계자 바지도 왕은 1819년에 마니푸르, 1821~22년 아삼의 반란을 진압하였다. 친 구릉은 1824~26년 제1차 영국-미얀마 전쟁 이후 서부에서 유일하게 미얀마에게 남은 지역이다. 아삼, 마니푸르, 아라칸과 같은 다른 서부 지역은 전쟁 이후 영국에 할양되었다.[9]
영국은 1885년 제3차 영국-미얀마 전쟁 후에 친 구릉을 얻었다. 계속되는 친족의 영국에 대한 저항은 1890년이 돼서야 진압되었다. 영국은 친 구릉을 아라칸구의 관할로 하였다. 미국인 선교사가 1890년대에 도착했고 20세기 중반에 친족의 대부분이 크리스트교로 개종하였다.[9]
친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3년 11월에 일본 제국 육군이 가장 서쪽으로 점령한 지역이었다. 전쟁 후, 친족 수령은 판롱 회의에 참가하여 독립한 버마 연방의 미래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지역은 경제적으로 미얀마 본토에 크게 의존하고 있었기 때문에 친족 수령은 다른 소수민족 지도자와 달리 완전히 독립된 국가가 아닌 특별행정구만을 요구하였다.[9]
1948년 미얀마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하면서 팔람을 주도로 하는 친 구릉 특별구가 아라칸주에서 분리되어 설치되었다.[9] 1974년 1월 4일 주도를 하카로 옮기고 친주가 성립되었다.[9] 오늘날 주는 기반 시설이 거의 없고 아주 빈곤하고 미개발된 상태로 남아있다.[9]
"친 국립의 날"은 1948년에 열린 "친랜드 총회"를 기념하기 위해 2월 20일로 지정되었다.[10] 친 국립의 날의 첫 번째 기념 행사는 1951년에 열렸지만, 2010년대까지 미얀마 정부로부터 인정을 받지 못했다.[11]
3. 5. 미얀마 내전
미얀마 내전 발발 이후, 친 주는 다른 미얀마 지역과 마찬가지로 심각한 영향을 받았다. 수만 명의 친 주 주민들이 인접국인 인도의 미조람으로 피신했으며, 탄틀랑과 같은 마을들은 전투로 파괴되었다.[12] 내전 발발 이후 친랜드 방위군(Chinland Defense Force)이라고 자칭하는 여러 무장 반군 단체가 등장했다. 이 단체들은 친족 디아스포라와 망명 중인 야권 정부인 미얀마 국민통합정부의 자금 지원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13]
역사적으로 인구가 희박한 친 구릉은 이라와디 계곡을 기반으로 한 버마 왕국의 최서단 지역이었다. 버마족의 친 구릉 지배는 지역장 임명 정도에 그쳤다. 마니푸르는 1558년 바인나웅 왕 치세 때 처음 버마의 종주권하에 들어왔다. 이후 역으로 친 구릉 북부를 지배하던 마니푸르 왕국은 1730년대와 1740년대에 정기적으로 버마 북서부를 침공하였다. 버마는 1750년대 꼰바웅 왕조의 얼라웅퍼야 왕 때 지역 지배권을 되찾았고, 1758년 마니푸르를 정복하여 다시 공물을 바치게 했다. 19세기 초, 보도퍼야 왕은 1813년 마니푸르를 병합하고 1817년 아삼을 점령하는 등 팽창 정책을 취했다. 그의 후계자 바지도 왕은 1819년 마니푸르, 1821~22년 아삼의 반란을 진압했다. 친 구릉은 제1차 영국-미얀마 전쟁(1824~26) 이후 서부에서 유일하게 미얀마에게 남은 지역이 되었다.
영국은 제3차 영국-미얀마 전쟁 후인 1885년에 친 구릉을 얻었다. 친족의 저항은 1890년이 돼서야 진압되었고, 영국은 친 구릉을 아라칸구 관할로 하였다. 1896년, 민다트와 깐뻬렛은 영국령 버마의 파콕쿠 힐 트랙트 구역의 관할이 되었고, 이후 친 구릉 지대로 불리게 되었다. 1948년 아라칸주에서 분리되어 label=팔람/Falam, Burma영어을 주도로 하는 친힐 특별 구역이 되었다. 1974년 주도를 하카로 옮기고 친주가 성립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3년 11월, 친은 일본 제국 육군이 가장 서쪽으로 점령한 지역이었다. 전쟁 후 친족 수령은 판롱 회의에 참가하여 독립 후 버마 연방의 미래에 대해 논의하였다. 친족 수령은 경제적으로 미얀마 본토에 크게 의존하고 있었기 때문에, 다른 소수민족 지도자와 달리 완전히 독립된 국가가 아닌 특별행정구만을 요구하였다.
2023년 12월 6일 친민족전선은 친랜드 헌법을 채택하여 친랜드 국가를 선포했다.[14] 그러나 친 주의 9개 읍 중 5개 읍(팔람, 칸페틀렛, 마투피, 민다트, 테딤)의 저항 단체들은 이 헌법에 반대했다.[15] 오늘날 친 주는 기반 시설이 거의 없고 아주 빈곤하고 미개발된 상태로 남아있다.
4. 행정 구역
친주는 4개의 구로 구성되어 있다.[16][17][18] 북부의 팔람군, 중부의 하카군, 중부 및 남서부의 머뚜비군, 남동부의 민다군이 있다. 하카군은 2012년 6월 1일 친주 훌루타 제2차 임시 회의를 통해 설립되었다.[16] 머뚜비군은 2017년 6월 28일 제2차 피이다웅수 훌루타 정기 회의를 통해 설립되었다.[17][18]
각 구에는 타운십이 포함되어있다. 팔람군에는 팔람 타운십, 테딤 타운십, 톤장 타운십이 있다. 하카군에는 하카 타운십, 탄틀랑 타운십이 있다. 머뚜비군에는 마투피 타운십, 레주아 소타운십, 팔레트와 타운십이 있다. 민다군에는 민다트 타운십, 칸페틀레 타운십이 있다.
민다군은 외국인 출입 금지 특별 구역으로, 국방부로부터 특별 입국 허가서를 사전에 취득해야 한다.
5. 정치
5. 1. 행정부
친 주의 행정부는 주지사가 이끌며, 친 주의 주지사는 친 주의 행정 수반이다.5. 2. 입법부
친 주의 입법부는 친 주 흘루타이다.6. 경제
친 주는 기반 시설이 거의 없고, 극도로 가난하고 개발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다.
7. 인구
친주의 인구는 2006년 12월 기준으로 518,144명이고 인구 밀도는 평방마일당 37명이다.
친주의 친족의 인구는 2000년대 초 이래로 경제적, 정치적인 이유 때문에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경제적으로 생계는 급격한 인구 증가와 지속가능하지 않은 화전 농업 때문에 어렵다. 정치적으로는 1990년대 초 이래로 많은 수의 버마족 군인들이 친주로 오고 있으나 어떠한 저항 운동도 없다. 2000년 이래로 팔람 지역에서만 약 10만 명이 미얀마의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였고 상당히 많은 수가 인도, 말레이시아, 태국 등의 이웃 국가로 떠난 것으로 추정된다. 하카와 탄란 지방에서는 자그마치 10만 명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미얀마의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였다. 이 많은 사람들의 이주 현상은 친주의 아주 고립된 마을들을 제외하고는 다른 지역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2000년대 초 이래로 많은 친족이 생계와 일자리를 위해 난민으로서 합법적, 불법적으로 오스트레일리아, 노르웨이, 핀란드, 덴마크, 네덜란드, 캐나다, 미국, 뉴질랜드에 재정착하였으며 그 중 미국이 가장 많다.
지난 100년간 선교사들의 작업 덕분에 상당한 인구가 크리스트교를 믿는다. 그러나 상당 수가 상좌부 불교와 애니미즘을 고수하고 있다.
종교 단체 | 인구 % 1983 | 인구 % 2014 |
---|---|---|
기독교 | 91.5% | 91.5% |
불교 | 6.1% | 8.0% |
토착 종교 및 기타 종교 | 1.3% | 0.4% |
힌두교 | 0.0% | 0.0% |
이슬람교 | 0.1% | 0.1% |
7. 1. 종교
지난 100년간 선교사들의 노력으로 상당수의 친족이 크리스트교를 믿게 되었다. 그러나 일부는 여전히 상좌부 불교와 애니미즘을 신봉하고 있다.2014년 미얀마 인구 조사에 따르면, 기독교인이 91.5%로 친 주의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한다. 소수 종교로는 불교도 (8.0%), 이슬람교도 (0.1%), 힌두교도 (0.0%), 그리고 토착 신앙 및 기타 종교 (0.4%)가 있으며, 여기에는 Pau Cin Hau의 신봉자들도 포함된다. 인구의 0.1%는 종교가 없거나 기타 종교를 가지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그렇지 않거나 집계되지 않았다. 친 주는 미얀마에서 기독교인이 다수를 차지하는 유일한 주이다.
종교 단체 | 인구 % 1983 | 인구 % 2014 |
---|---|---|
기독교 | 91.5% | 91.5% |
불교 | 6.1% | 8.0% |
토착 종교 및 기타 종교 | 1.3% | 0.4% |
힌두교 | 0.0% | 0.0% |
이슬람교 | 0.1% | 0.1% |
8. 교육
공식 통계에 따르면, 2003년 친 주에는 25개의 고등학교가 있었다.[23] 테딤 타운십의 베델 성경 대학, 친 크리스천 칼리지(하카 타운십), 조미 신학 대학(팔람, 팔람 타운십) 등이 있다.
9. 교통
친주에는 뻘래와 공항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Union of Myanmar
http://www.citypopul[...]
City Population
2009-04-10
[2]
서적
Census Report
https://drive.google[...]
Ministry of Immigration and Population
2015-05
[3]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18-09-13
[4]
웹사이트
Census Population Dashboard {{!}} MIMU
https://themimu.info[...]
2020-02-29
[5]
웹사이트
Myanmar Living Conditions Survey 2017
https://www.undp.org[...]
2023-11-12
[6]
서적
The Chin Hills: A History of the People, our dealings with them, their Customs and Manners, and a Gazetteer of their Country
Government Printing
1896
[7]
서적
Mualthum Kampau Guite Hausate Tangthu
https://www.amazon.c[...]
Amazon/CreateSpace
2018
[8]
문서
The Chin Hills
[9]
웹사이트
Myanmar Divisions
http://www.statoids.[...]
Statoids
2017-11-18
[10]
웹사이트
Celebration Of 65th Chin National Day
http://unpo.org/arti[...]
Unrepresented Nations and Peoples Organization
2017-11-18
[11]
웹사이트
Chin Identity and Chin National Day
http://www.norwaychi[...]
Chin Community in Norway
2017-11-18
[12]
뉴스
Myanmar's striking civil servants: Displaced, forgotten, but holding on
https://www.aljazeer[...]
2023-11-12
[13]
뉴스
Insight: In Myanmar's Chin state, a grassroots rebellion grows
https://www.reuters.[...]
2023-11-13
[14]
웹사이트
The First Chin-Written Constitution: A New Template For Self-Determination?
https://www.irrawadd[...]
2023-12-26
[15]
웹사이트
Trouble Among the Chin of Myanmar
https://www.csis.org[...]
2024-11-01
[16]
문서
http://www.mrtv3.net[...]
[17]
간행물
Second Pyidaungsu Hluttaw, fifth regular meeting record
https://drive.google[...]
Pyidaungsu Hluttaw
[18]
문서
Rezua
[19]
서적
Census Report
https://drive.google[...]
Ministry of Immigration and Population
2015-05
[20]
서적
The 2014 Myanmar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Census Report Volume 2-C
https://drive.google[...]
Department of Population Ministry of Labour, Immigration and Population MYANMAR
2016-07
[21]
서적
The 2014 Myanmar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Census Report Volume 2-C
https://www.dop.gov.[...]
Department of Population Ministry of Labour, Immigration and Population
2016-07
[22]
뉴스
Laipian Pa Ni kibawl
http://www.zomidaily[...]
archive.is
2017-11-18
[23]
웹사이트
Education statistics by level and by State and Division
http://www.etrademya[...]
Myanmar Central Statistical Organization
2009-04-19
[24]
웹사이트
Census Population Dashboard {{!}} MIMU
https://themimu.info[...]
2022-09-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