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라차이발카르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라차이발카르어는 카라차이인과 발카르인이 사용하는 튀르크어이다. 음운 체계는 모음과 자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과거에는 아랍 문자를 사용했으나, 1937년 이후 키릴 문자를 공식 표기 문자로 사용하고 있다. 문법적으로는 7개의 격이 존재하며, 러시아어, 오세트어, 카바르딘어 등에서 차용된 어휘가 많다. 2012년 영화 《호드》에서 킵차크어에 가장 가까운 언어로 사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라차예보체르케스카야 공화국 - 카라차이인
카라차이인은 중앙 코카서스 산맥 구릉 지대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으로, 복잡한 역사를 거쳐 현재는 카라차이-체르케스 공화국을 중심으로 거주하며 이슬람교를 믿는다. - 카라차예보체르케스카야 공화국 - 카바르다어
카바르다어는 북서캅카스어족에 속하며 러시아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과 중동의 체르케스인 디아스포라에서 사용되고, 아디게어와 함께 체르케스어파로 분류되며,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정서법을 사용하고 적은 모음과 많은 자음을 가진다. -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 - 카바르다인
카바르다인은 세계에서 가장 큰 체르케스족 집단으로 여러 국가에 거주하며 각국의 체르케스인 공동체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역사적으로 다양한 종교를 믿었으나 현재는 수니파 무슬림이 대다수이며, 정치, 문화, 예술,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에 기여하고 있다. -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 - 발카르인
발카르인은 튀르크계 민족으로 카라차이인과 유사한 언어 및 문화를 가지며, 불가르인, 알란인, 킵차크 등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고, 이슬람교를 믿으며, 러시아 제국에 편입 후 강제 이주를 겪기도 했으나, 카프카스 지역의 문화와 유사하면서도 독자적인 문화를 지니고 카라차이-발카르어를 사용한다. - 튀르크어족 - 투르크멘어
투르크멘어는 투르크메니스탄의 공용어이자 튀르크어족 오구즈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튀르키예어, 아제르바이잔어와 유사하며 모음 조화와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가진 교착어이고,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고, 키릴 문자에서 라틴 문자 기반의 독자적인 문자 체계로 변화되었다. - 튀르크어족 - 우즈베크어
우즈베크어는 우즈베키스탄의 공용어이자 중앙아시아에서 쓰이는 튀르크어족 언어로, 다양한 문자 체계를 사용해 왔으며 차가타이어의 영향을 받아 카를루크 방언을 기반으로 표준화되었고 인접 국가와 이민 사회에서도 사용된다.
카라차이발카르어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언어 이름 | 카라차이-발카르어 |
사용 국가 | 북캅카스 |
사용 지역 |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 카라차이-체르케스 공화국, 튀르키예 |
사용자 | 카라차이인, 발카르인 |
언어 인구 | 러시아 내 화자 수 약 305,000명 (2010년) |
문자 | 키릴 문자 (주로 사용), 라틴 문자 (디아스포라에서 사용) |
공용어 지정 국가 |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 (러시아) 카라차이-체르케스 공화국 (러시아) |
언어 코드 (ISO 639-2) | krc |
언어 코드 (ISO 639-3) | krc |
Glottolog | kara1465 |
Glottolog 이름 | 카라차이-발카르어 |
방언 1 | 카라차이 방언 |
방언 2 | 발카르 방언 |
주의 사항 | 국제음성기호 표기 지원 |
언어학적 분류 | |
어족 | 알타이어족 |
어파 | 튀르크어족 |
어군 | 킵차크어군 |
언어 상태 | |
위기 정도 | 취약 |
기타 정보 | |
다른 이름 | 산악 튀르크어 |
2. 음운
카라차이발카르어의 음운은 모음과 자음으로 나뉜다.[5]
모음은 전설, 후설로 나뉘며, 폐쇄, 중설, 개 모음으로 나뉜다. 자음은 순음, 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구개수음, 성문음으로 나뉘며,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 유음, 접근음으로 나뉜다. 괄호는 변이음을, 괄호 안의 대괄호는 차용어에서 온 음소를 나타낸다.
2. 1. 모음
2. 2. 자음
카라차이발카르어는 1924년까지 아랍 문자를 사용했으며, 카짐 메치예프와 같은 초기 작가들이 이를 사용했다. 20세기 초, 이스마일 아크바예프는 부이낙스크에서 카라차이발카르 아랍 문자를 표준화하여 책을 출판했고, 1916년에는 "Ana tili"(آنا تیلی)라는 교재를 출간했다.[6][7]
괄호는 변이음을, 괄호 안의 대괄호는 차용어에서 온 음소를 나타낸다.
3. 표기
10월 혁명 이후, 1921년 이스마일 아크바예프는 "Ana tili" 2판을 통해 카라차이발카르 표준 아랍 문자를 개선했다.[8] 이후 소련의 라틴 문자화 정책에 따라 1924년 라틴 문자 기반 새 알파벳이 공식 채택되었다.
1930년대 소련의 정책 변화로 키릴 문자화가 시작되었고, 1937-38년에 키릴 문자 기반 새 알파벳이 공식 채택되어 현재까지 카라차이발카르어의 공식 알파벳으로 사용되고 있다.
현대 카라차이-발카르어 키릴 문자, 라틴 문자, 아랍 문자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각 하위 섹션을 참조한다.
3. 1. 아랍 문자
과거에는 아랍 문자가 1924년까지 최초의 작가들에 의해 사용되었다. 발카르 시인 카짐 메치예프의 필사본과 기타 문학 작품들이 오늘날까지 보존되어 있다. 카라차이-발카르어로 된 최초의 인쇄된 책은 20세기 초에 출판되었다.[6][7]
1910년, 교육자이자 문학 카라차이-발카르의 아버지인 이스마일 아크바예프는 부이낙스크를 기반으로 카라차이-발카르 아랍 문자를 처음으로 표준화하여 책을 출판했다. 1915년, 카라차이 종교 및 세속 학교의 교사 신디케이트는 아크바예프에게 국가 문자를 개발하도록 의뢰했다. 그 결과 1916년에 "Ana tili"(آنا تیلی)라는 제목의 교재가 출판되었다.[7]
10월 혁명 이후, 1921년 ''이스마일 아크바예프''가 출판한 "Ana tili"(آنا تیلی)의 2판에서 카라차이-발카르에 대한 표준 아랍 문자가 다시 한번 개선되었다.[8]
20세기 초부터 카라차이와 발카르 사이에서 사용되는 구어체 방언과 언어에 더 가깝게 문자를 만들려는 시도가 있었다. 알파벳 표준화에 대한 첫 번째 성공적인 국가적 시도는 1916년에 이루어졌다.[7] 두 번째이자 최종 시도는 1921년에 "이스라엘 악바예프"가 출판한 초판본에서 이루어졌다.[8]
첫 번째 반복에서는 아랍 문자가 원래의 철자를 유지하여 동음이의어 문자가 계속 사용되었고 아랍어 정자법과 마찬가지로 모음이 완전히 표시되지 않았다. 두 번째 시도에서는 모음 사용이 더 일관되고 포괄적이 되었으며 초기 ''알레프'' 문자가 삭제되었다. 또한 카라차이-발카르어에서 발음이 동일한 아랍 문자가 삭제되고 통합되었다.[8]
아래 표는 34개의 문자가 포함된 카라차이-발카르 아랍 문자의 1921년 반복 버전을 나열한다.[8]
(1) | |||||||
(1) | |||||||
/ | |||||||
// | |||||||
/ | (1) |
아랍 문자 (1920–1924) | 라틴 문자 (1924–1938) | 키릴 문자 (1961–1964) | 키릴 문자 (1937–1961), (1964–현재) |
---|---|---|---|
ا | A a | А а | А а |
ب | B в | Б б | Б б |
و | V v | В в | В в |
گ | G g | Г г | Г г |
غ | Ƣ ƣ | Ғ ғ | Гъ гъ |
د | D d | Д д | Д д |
ە | E e | Е е | Е е |
ۆ | Ө ө | Ө ө, Ё ё | Ё ё |
ژ | Ƶ ƶ | Ж ж | Ж ж |
ج | Ç ç | Җ җ | Дж дж (Ж ж) |
ز | Z z | З з | З з |
ی | I i | И и | И и |
ی | J j | Й й | Й й |
ك, ک | K k | К к | К к |
ق | Q q | Қ қ | Къ къ |
ل | L l | Л л | Л л |
م | M m | М м | М м |
ن | N n | Н н | Н н |
ڭ, ݣ | Ꞑ ꞑ | Ң ң | Нг нг (Нъ нъ) |
وٓ | O o | О о | О о |
پ | P p | П п | П п |
ر | R r | Р р | Р р |
س | S s | С с | С с |
ت | T t | Т т | Т т |
و | U u | У у | У у |
و | W w | Ў ў | У у (Ў ў, У́ у́) |
ف | F f | Ф ф | Ф ф |
خ | X x | Х х | Х х |
ح | H h | Һ һ | - |
— | S̷ s̷ | Ц ц | Ц ц |
چ | C c | Ч ч | Ч ч |
ش | Ş ş | Ш ш | Ш ш |
— | — | Щ щ | Щ щ |
— | — | ъ | ъ |
ىٕ | Ы ы | Ы ы | |
— | — | ь | ь |
ئە (اە) | E e | Э э | Э э |
ۉ | Y y | Ү ү, Ю ю | Ю ю |
- | - | Я я | Я я |
3. 2. 라틴 문자
라틴 문자화라는 새로운 국가 캠페인의 일환으로 카라차이 및 발카르 교육자들이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알파벳을 개발했으며, 1924년에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8]카라차이-발카르어 라틴 문자:
A a | B в | C c | Ç ç | D d | E e | F f | G g |
Ƣ ƣ | H h | I i | J j | K k | Q q | L l | M m |
N n | Ꞑ ꞑ | O o | Ө ө | P p | R r | S s | Ş ş |
Ꞩ ꞩ | T t | Ь ь | U u | V v | W w | Y y | X x |
Xh xh | Z z | Ƶ ƶ |
3. 3. 키릴 문자
1930년대에 소련의 공식 정책이 수정되면서 소련 언어의 키릴 문자화 과정이 시작되었다. 1937~38년에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알파벳이 공식적으로 채택되었으며, 이는 현재까지 카라차이-발카르어의 공식 알파벳으로 남아 있다.현대 카라차이-발카르어 키릴 문자:
아 | 베 | 게 | 게 (구개음) | 데 | 예 | 요 | 제 | (유성 치경구개 마찰음) | 제 (유성 치경 마찰음) | 이 | 이 (단모음) | 카 | 카 (구개수음) | 엘 | 엠 | 엔 | 엔 (연구개 비음) | 오 | 페 | 에르 | 에스 | 테 | 우 | 에프 | 하 | 체 | 체 (무성 치경구개 파찰음) | 샤 | 샤 (무성 치경구개 마찰음) | 시차 | 트베르디 즈낙 (경구개화) | 이 (장모음) | 먀흐키 즈낙 (연구개화) | 에 | 유 | 야 |
---|---|---|---|---|---|---|---|---|---|---|---|---|---|---|---|---|---|---|---|---|---|---|---|---|---|---|---|---|---|---|---|---|---|---|---|---|
А а | Б б | В в | Г г | Гъ гъ | Д д | Е е | Ё ё | Ж ж | З з | И и | Й й | К к | Къ къ | Л л | М м | Н н | Нг нг | О о | П п | Р р | С с | Т т | У у | Ф ф | Х х | Ц ц | Ч ч | Ш ш | Щ щ | Ъ ъ | Ы ы | Ь ь | Э э | Ю ю | Я я |
아랍 문자 (1920–1924) | 라틴 문자 (1924–1938) | 키릴 문자 (1961–1964) | 키릴 문자 (1937–1961), (1964–현재) |
---|---|---|---|
ا | A a | А а | А а |
ب | B в | Б б | Б б |
و | V v | В в | В в |
گ | G g | Г г | Г г |
غ | Ƣ ƣ | Ғ ғ | Гъ гъ |
د | D d | Д д | Д д |
ە | E e | Е е | Е е |
ۆ | Ө ө | Ө ө, Ё ё | Ё ё |
ژ | Ƶ ƶ | Ж ж | Ж ж |
ج | Ç ç | Җ җ | Дж дж (Ж ж) |
ز | Z z | З з | З з |
ی | I i | И и | И и |
ی | J j | Й й | Й й |
ك, ک | K k | К к | К к |
ق | Q q | Қ қ | Къ къ |
ل | L l | Л л | Л л |
م | M m | М м | М м |
ن | N n | Н н | Н н |
ڭ, ݣ | Ꞑ ꞑ | Ң ң | Нг нг (Нъ нъ) |
وٓ | O o | О о | О о |
پ | P p | П п | П п |
ر | R r | Р р | Р р |
س | S s | С с | С с |
ت | T t | Т т | Т т |
و | U u | У у | У у |
و | W w | Ў ў | У у (Ў ў, У́ у́) |
ف | F f | Ф ф | Ф ф |
خ | X x | Х х | Х х |
ح | H h | Һ һ | - |
— | S̷ s̷ | Ц ц | Ц ц |
چ | C c | Ч ч | Ч ч |
ش | Ş ş | Ш ш | Ш ш |
— | — | Щ щ | Щ щ |
— | — | ъ | ъ |
ىٕ | Ы ы | Ы ы | |
— | — | ь | ь |
ئە (اە) | E e | Э э | Э э |
ۉ | Y y | Ү ү, Ю ю | Ю ю |
- | - | Я я | Я я |
4. 문법
카라차이발카르어는 튀르크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명사, 대명사, 동사 등에 어미가 붙어 문법적 기능이 나타나는 교착어이다. 명사는 7개의 격을 가지며, 인칭대명사는 단수와 복수에 따라 형태가 달라진다.
4. 1. 명사
카라차이발카르어의 명사에는 7개의 격이 존재하며, 격은 명사에 붙는 어미로 나타낸다.격 | 어미 |
---|---|
주격 | -ø |
대격 | -НИ |
속격 | -НИ |
여격 | -ГА |
처격 | -ДА |
탈격 | -дан |
인칭대명사는 단수와 복수에 따라 형태가 달라진다.
단수 | 복수 | |
---|---|---|
1인칭 | -임 | -이비즈 |
2인칭 | -잉 | -이기즈 |
3인칭 | -(s)이(n) | -(s)이(n) |
5. 어휘
러시아어, 오세트어, 카바르딘어, 아랍어, 페르시아어에서 유입된 차용어가 꽤 있다.[4]
5. 1. 숫자
숫자 | 카라차이-발카르어 | 쿠미크어 | 노가이어 |
---|---|---|---|
0 | ноль | ноль | ноль |
1 | бир | бир | бир |
2 | эки | эки | эки |
3 | юч | уьч | уьш |
4 | тёрт | дёрт | доьрт |
5 | беш | беш | бес |
6 | алты | алты | алты |
7 | джети | етти | йети |
8 | сегиз | сегиз | сегиз |
9 | тогъуз | тогъуз | тогыз |
10 | он | он | он |
100 | бир джюз | бир юз | бир юз |
6. 대중문화 속 카라차이-발카르어
러시아 영화 제작자 안드레이 프로시킨은 영화 《호드》에서 카라차이발카르어를 사용했는데, 이는 당시 골든 호드에서 사용되었던 원어인 킵차크어에 가장 가까운 언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12]
7. 참고 문헌
- 초디요르 도니요로프(Chodiyor Doniyorov)와 사오다트 도니요로바(Saodat Doniyorova). ''카라차이-발카르어 학습''. 파리: 아르마탕, 2005.
- 스티브 시그밀러(Steve Seegmiller) (1996) ''카라차이어'' (린콤)
참조
[1]
웹사이트
Karachay-Balkar in Russian Federation
https://en.wal.unesc[...]
2024-06-22
[2]
서적
The Turkic Languages and Literatures of Central Asia: A Bibliography
[3]
서적
Языки мира: Тюркские языки
Институт языкознания (Российская академия наук)
[4]
서적
Compendium of the World Languag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5-23
[5]
서적
Phonological and Orthographical Information in Dictionaries: The Case of Pröhle's Karachay Glossary and its Successors
[6]
서적
Исмаил Акбаев - просветитель, создатель первой письменности Карачая и Балкарии, автор и переводчик первых учебников
2012
[7]
서적
آنا تيلى
http://www.elbrusoid[...]
1916
[8]
서적
Ана-тили
http://www.elbrusoid[...]
1924
[9]
서적
Қарачай-малқар тилни орфографиясы
http://www.elbrusoid[...]
[10]
서적
Къарачай-малкъар тилни орфографиясы
http://www.elbrusoid[...]
Ставрополь китаб издательство
[11]
웹사이트
Архив газеты «Юйге игилик» («Мир дому твоему»)
http://as-alan.com/i[...]
2016-01-19
[12]
웹사이트
Максим Суханов стал митрополитом
https://snob.ru/sele[...]
2010-09-14
[13]
웹사이트
http://www.gks.ru/fr[...]
Федеральная служба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статистики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