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렌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렌어는 중국티베트어족 내 위치가 불분명하며, 지리적으로 북부, 중부, 남부 방언 또는 언어로 분류된다. 주요 언어로는 스고 카렌어, 포 카렌어, 파오어, 카렌니어 등이 있으며, 스고어, 동부 포어, 서부 포어는 상호 이해가 어려워 버마어를 사용해 소통하기도 한다. 카렌어는 어휘와 문법 면에서 유사성을 보이지만, 게버어는 어순에서 차이를 보인다. 민족적 정체성 관점에서 카렌니족, 파다웅족, 파오족은 스스로를 카렌과 다른 민족으로 간주하는 경우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국의 언어 - 크메르어
    크메르어는 캄보디아의 공용어로서 약 1,300만 명의 모어 화자를 가지며, 다양한 방언과 남인도계 아부기다 계통의 크메르 문자를 사용하는, 어미가 없는 분석적인 언어이다.
  • 태국의 언어 - 크무어
    크무어는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 크무어어파의 언어로, 표준어 없이 서부와 동부 크무어로 나뉘는 여러 방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메르어와 어휘적 유사성이 있지만 별개의 언어이다.
  • 미얀마의 언어 - 버마어
    버마어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미얀마의 공용어로 사용되고, 고대 몬 문자 또는 퓨 문자에 기원을 두며, 다양한 방언과 문어체, 구어체를 가지며, 유니코드와 Zawgyi 글꼴을 지원한다.
  • 미얀마의 언어 - 리수어
    리수어는 중국 남서부 등지에서 사용되는 티베트-버마어족 언어로, 프레이저 문자로 문자화되었으나, 사용자 감소 문제와 다양한 방언 및 문자 체계가 존재한다.
  •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파
    중국어파는 중국어 및 그 방언들을 묶어 부르는 말로, 중국티베트어족의 주요 어군이며, 현대 언어학에서는 의사소통이 어려울 정도로 차이가 큰 여러 방언들을 별개의 어군으로 분류한다.
  • 중국티베트어족 - 발티어
    발티어는 파키스탄 길기트발티스탄과 인도 카르길 및 라다크 지역에서 사용되는 시노티베트어족 언어로, 네 가지 상호 이해 가능한 방언으로 나뉘며 페르시아-아랍 문자를 주로 사용하고 풍부한 음운 체계를 가지나, 우르두어와 영어의 영향 및 정치적·종교적 요인으로 인해 언어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카렌어
언어 정보
이름카렌어족
원어명Karenic languages
사용 지역미얀마 남동부, 태국 서부
사용자약 450만 명 (2017년 기준)
어족중국티베트어족
어파티베트-미얀마어파
하위 언어스고우 카렌어
파오어
포 카렌어
조어원시 카렌어족
ISO 639-2kar
Glottologkare1337
Glottolog 참조카렌어족
언어 계통 (일반적인 견해)
지도 정보
카렌어족 분포도
카렌어족 분포도

2. 분류

카렌어의 세부 분류에 관해서는 여전히 이설이 많고, 중국티베트어족 내에서 이들을 어느 위치에 비정해야 할지도 아직 불분명한 점이 많다.[21]

카렌어는 형태론과 통사론에서 다른 티베토버만어파와 다르기 때문에, 폴 K. 베네딕트는 카렌어를 티베토버만어파에서 분리했지만, 이는 더 이상 받아들여지지 않는다.[3][6]

카렌어는 크게 지리적 분류, Manson(2011), Shintani(2012), Luangthongkum(2019)의 분류로 나뉜다.

협의의 "카렌어"에 포함되는 스고 카렌어, 동부 포 카렌어, 서부 포 카렌어는 각각 의사 소통이 불가능할 정도로 다르다. 이 때문에 스고 카렌어 화자와 포 카렌어 화자는 같은 "카렌족"이면서도 버마어를 사용하여 의사 소통을 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동부 포 카렌어와 서부 포 카렌어는 종종 성조가 "역전"되어 있으며, 이것이 서로의 의사 소통에 있어 가장 큰 장벽이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협의의 "카렌어"는 다른 카렌어에 비해 어휘적으로도 문법적으로도 매우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예를 들어 스고 카렌어, 동부 포 카렌어, 서부 포 카렌어, 게바어 모두 "나는 밥을 빨리 먹는다"를 표현할 때 "나-먹다-밥-빠르다"라는 어순을 공유한다. 다만, 게바어에서는 "나-먹다-빠르다-밥" 어순을 사용한다.

민족적 정체성의 관점에서도 카렌니족이나 파다웅족, 파오족은 스스로를 "카렌"과는 다른 민족으로 간주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게버어 화자는 협의의 "카렌어"와의 언어 계통상의 거리에도 불구하고 종종 스스로를 "카렌"으로 간주한다.

2. 1. 지리적 분류

카렌어는 지리적으로 크게 북부, 중부, 남부 방언 또는 언어로 분류할 수 있다.[21]

일반적인 지리적 분류는 세 그룹으로 나뉜다.

  • '''북부''': 파오어
  • '''중부''': 가장 다양한 지역으로, 카야어(레드 카렌 또는 카렌니), 카야우어(브렉), 브웨어(브가이), 게바어 등을 포함한다.
  • '''남부''': 푸어 및 스가우어


카얀어(파다웅)는 북부와 중부 그룹의 과도기적 언어이다.[7] 가장 많은 화자를 가진 언어는 스가우어, 푸어, 파오어이다.

2. 2. Manson (2011)의 분류

Manson (2011)은 각 주요 분파가 음운론적 혁신으로 특징지어지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카렌어를 분류했다.[8]

카렌어
게커, 게코, 카야우 및 마누의 분류는 중부 또는 남부일 수 있으므로 모호하다.


2. 3. Shintani (2012)의 분류

신타니 타다히코 (2012:x)[9]는 카렌어가 한 분파인, 그가 "Brakaloungic" 언어라고 부르는 언어에 대한 2002년에 제안된 잠정적인 분류를 제시한다. 개별 언어는 이탤릭체로 표시되어 있다.
''카야어''
파도-타이다이-게코
* ''타이다이어''[10]
* 파도-게코
** ''게코어''[11]
** 파다웅
*** ''파다웅어'' (''카얀'')
*** ''게코'' (''야투 게코'')

  • ** 브웨

브웨바-카야우
* ''카야우어''
* 브웨바
** ''게바어''
** ''브레크어''

  • ** 스고-포

''포어''
몹와
* ''몹와어''
* ''블리마우어''[12]
파코-스고
* ''스고어''
* 파쿠브와
** ''파쿠어''
** ''모네브와''
** ''탈레브와''

그러나 출판 당시 신타니 (2012)는 40개 이상의 Brakaloungic 언어 및/또는 방언이 있으며, 이 중 많은 수가 최근에 보고되고 문서화되었다고 보고한다. 신타니는 또한 모든 Brakaloungic 언어에 몬족의 영향이 있으며, 일부는 버마어와 샨족의 상당한 영향을 받는다고 보고한다.

2. 4. Luangthongkum (2019)의 분류

Luangthongkum(2019)은 프로토 카렌어를 북부, 중부, 남부의 세 가지 분기로 인식하지만, 세 분기가 어떻게 서로 연결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입장을 보이지 않는다.[17]

카렌어군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북부'''
  • 북부 파오어
  • 남부 파오어
  • '''중부'''
  • 카얀어
  • 카야어
  • 서부 Bwe (블리마어, 게바어)
  • 카야어
  • '''남부'''
  • 북부 스고 카렌어
  • 남부 스고 카렌어
  • 북부 포 카렌어
  • 남부 포 카렌어


''참고'': 서부 Bwe 카렌어(블리마어, 게바어)는 파열음 또는 성문 파열 자음 ɓ/ʔb 및 ɗ/ʔd, 그리고 무성 자음 hn, hl 등을 보존하고 있다.

3. 주요 언어

학자에 따라 하위 분류는 다르다.[1] 주요 언어는 다음과 같다.


  • 스고 카렌어
  • 포 카렌어
  • * 동부 포 카렌어
  • * Western Pwo language|서부 포 카렌어영어
  • 파오어
  • Red Karen language|카렌니 어영어(카야어, 적 카렌어)
  • Padaung language|파다웅어영어(카얀어)
  • Geba Karen language|게버어영어


협의의 "카렌어"에 포함되는 스고 카렌어, 동부 포 카렌어, 서부 포 카렌어는 각각 의사 소통이 불가능할 정도로 다르다.[2] 이 때문에 스고 카렌어 화자와 포 카렌어 화자는 같은 "카렌족"이면서도 버마어를 사용하여 의사 소통을 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3][4] 동부 포 카렌어와 서부 포 카렌어는 종종 성조가 "역전"되어 있으며, 이것이 서로의 의사 소통에 있어 가장 큰 장벽이 된다.[5] 예를 들어, 동부 포 카렌어로 "개"를 의미하는 단어는 고평조의 /thwí/이다. 한편, 서부 포 카렌어의 "개"는 저평조의 /thwì/가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협의의 "카렌어"는 다른 카렌어에 비해 어휘적으로도 문법적으로도 매우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다음은 스고 카렌어, 동부 포 카렌어, 서부 포 카렌어, 게버어로 각각 "나는 밥을 빨리 먹는다"를 의미하는 문장이다.[6]

협의의 "카렌어"에서는 "나-먹다-밥-빠르다"라는 어순이 공통적인 데 반해, 게버어에서는 "나-먹다-빠르다-밥"이 된다.[7]

민족적 정체성의 관점에서도 카렌니족이나 파다웅족, 파오족은 스스로를 "카렌"과는 다른 민족으로 간주하는 경우가 많다.[8] 다만, 게버어 화자는 협의의 "카렌어"와의 언어 계통상의 거리에도 불구하고 종종 스스로를 "카렌"으로 간주한다.[9]

4. 언어적 특징

카렌어의 하위 분류는 학자에 따라 다르다.[1] 주요 언어는 다음과 같다.


  • 스고 카렌어
  • 포 카렌어
  • * 동부 포 카렌어
  • * Western Pwo language|서부 포 카렌어|서부 포 카렌어영어
  • 파오어
  • 카렌니어(카야어, 적 카렌어)
  • 파다웅어(카얀어)
  • 게버어


좁은 의미의 "카렌어"에 포함되는 스고 카렌어, 동부 포 카렌어, 서부 포 카렌어는 서로 의사 소통이 불가능할 정도로 다르다.[2] 이 때문에 스고 카렌어 화자와 포 카렌어 화자는 같은 "카렌족"이면서도 버마어를 사용하여 의사 소통을 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3][4] 동부 포 카렌어와 서부 포 카렌어는 종종 성조가 "역전"되어 있으며, 이것이 서로의 의사 소통에 있어 가장 큰 장벽이 된다.[5] 예를 들어, 동부 포 카렌어로 "개"를 의미하는 단어는 고평조의 /thwí/이다. 한편, 서부 포 카렌어의 "개"는 저평조의 /thwì/가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좁은 의미의 "카렌어"는 다른 카렌어에 비해 어휘적으로도 문법적으로도 매우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다음은 스고 카렌어, 동부 포 카렌어, 서부 포 카렌어, 게버어로 각각 "나는 밥을 빨리 먹는다"를 의미하는 문장이다.[6]

좁은 의미의 "카렌어"에서는 "나-먹다-밥-빠르다"라는 어순이 공통적인 데 반해, 게버어에서는 "나-먹다-빠르다-밥"이 된다.[7]

민족적 정체성의 관점에서도 카렌니족, 파다웅족, 파오족은 스스로를 "카렌"과는 다른 민족으로 간주하는 경우가 많다.[8] 다만, 게버어 화자는 좁은 의미의 "카렌어"와의 언어 계통상의 거리에도 불구하고 종종 스스로를 "카렌"으로 간주한다.[9]

참조

[1] 서적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SIL International
[2] 서적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Edinburgh
[3] 서적 The Sino-Tibet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4] 웹사이트 Burmese/Myanmar script and pronunciation http://www.omniglot.[...] 2015-05-05
[5] 웹사이트 The Sino-Tibetan Language Family http://stedt.berkele[...] 2015-05-05
[6] 간행물 Sino-Tibetan Linguistics: Present State and Future Prospects Annual Reviews Inc.
[7] 서적 The Sino-Tibetan Languages Routledge
[8] 웹사이트 The subgrouping of Karen http://jseals.org/se[...] Southeast Asian Linguistics Society 2015-05-05
[9] 문서 A handbook of comparative Brakaloungic languages ILCAA
[10] 문서 The Thaidai language Research Institute for Languages and Cultures of Asia and Africa (ILCAA)
[11] 문서 The Gokhu language Research Institute for Languages and Cultures of Asia and Africa (ILCAA)
[12] 문서 The Blimaw language Research Institute for Languages and Cultures of Asia and Africa (ILCAA)
[13] 문서 The Nangki language Research Institute for Languages and Cultures of Asia and Africa (ILCAA)
[14] 문서 The Kadaw language Research Institute for Languages and Cultures of Asia and Africa (ILCAA)
[15] 문서 The Thamidai language Research Institute for Languages and Cultures of Asia and Africa (ILCAA)
[16] 웹사이트 Karenic https://sites.google[...] 2019
[17] 간행물 A View on Proto-Karen Phonology and Lexicon 2019
[18] 서적 The Sino-Tibet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 간행물 Phylogenetic evidence for Sino-Tibetan origin in northern China in the Late Neolithic. https://www.nature.c[...] 2019-04-24
[20] 저널 Sino-Tibetan Linguistics: Present State and Future Prospects Annual Reviews Inc.
[21] 서적 The Sino-Tibet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