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아는 고대 이집트 제1왕조의 파라오로, 기원전 2916년경에 통치한 것으로 추정된다. 마네토는 카아를 'Biénechês'라고 불렀으며, 그의 통치 기간을 26년으로 기록했다. 카아는 아네제브 또는 세메르케트의 아들로 추정되며, 오랜 기간(약 33년) 통치하면서 두 번째 세드 축제를 기념했다. 그의 통치 말기에는 왕위 쟁탈전이 있었으며, 호루스 버드와 스네페르카가 등장하고 호텝세켐위가 제2왕조를 시작했다는 가설이 있다. 카아는 아비도스에 30 x 23미터 크기의 무덤을 가지고 있으며, 그곳에서 호텝세켐위의 인장 자국이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30세기 통치자 - 세메르케트
    세메르케트는 이집트 제1왕조 파라오로 통치 기간과 왕위 찬탈 논쟁이 있으며 네브티 칭호를 사용한 최초의 왕으로, 람세스 시대 서기관들이 그의 이름을 표기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무덤 발굴을 통해 초기 왕조 시대의 매장 방식을 보여주며, 통치 기간 동안 왕실 영지 건설과 세금 징수 축제가 있었으나 "이집트의 파괴" 사건이 발생했다는 기록이 있고 현대 학자들은 그의 왕위 찬탈 가능성에 회의적이다.
  • 기원전 30세기 통치자 -
    덴은 고대 이집트 제1왕조의 파라오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어머니의 섭정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되며, 숫자 표기법 도입과 시나이 반도 암벽 부조 제작, 그리고 아비도스에 위치한 계단과 화강암 바닥을 갖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 기원전 30세기 이집트 - 이집트 제1왕조
    이집트 제1왕조는 기원전 32세기부터 기원전 30세기까지 이집트를 통치하며 통일 국가를 형성하고 상형 문자, 건축, 예술 등을 발전시켰으며, 메네스, 호르-아하, 제르, 덴 등의 파라오들이 통치했다.
  • 기원전 30세기 이집트 - 세메르케트
    세메르케트는 이집트 제1왕조 파라오로 통치 기간과 왕위 찬탈 논쟁이 있으며 네브티 칭호를 사용한 최초의 왕으로, 람세스 시대 서기관들이 그의 이름을 표기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무덤 발굴을 통해 초기 왕조 시대의 매장 방식을 보여주며, 통치 기간 동안 왕실 영지 건설과 세금 징수 축제가 있었으나 "이집트의 파괴" 사건이 발생했다는 기록이 있고 현대 학자들은 그의 왕위 찬탈 가능성에 회의적이다.
  • 기원전 30세기 파라오 - 세메르케트
    세메르케트는 이집트 제1왕조 파라오로 통치 기간과 왕위 찬탈 논쟁이 있으며 네브티 칭호를 사용한 최초의 왕으로, 람세스 시대 서기관들이 그의 이름을 표기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무덤 발굴을 통해 초기 왕조 시대의 매장 방식을 보여주며, 통치 기간 동안 왕실 영지 건설과 세금 징수 축제가 있었으나 "이집트의 파괴" 사건이 발생했다는 기록이 있고 현대 학자들은 그의 왕위 찬탈 가능성에 회의적이다.
  • 기원전 30세기 파라오 - 제트 (파라오)
    제트는 이집트 제1왕조의 파라오로, 시리아 및 가나안과의 무역을 했으며 아비도스에 무덤이 있고, 그의 무덤에서 발견된 유물들은 당시 이집트 미술의 발달을 보여준다.
카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필라델피아 펜 박물관에 있는 카아의 복원된 무덤 비석
필라델피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고고학 및 인류학 박물관에 있는 카아의 복원된 무덤 비석
역할파라오
통치 기간기원전 2910년경 33년
왕조이집트 제1왕조
선왕세메르케트
후왕호테프세켐위(가장 유력) 또는 스네페르카, 호루스 새
호루스 이름호르-카아 (Ḥr-qˁ3, 호루스의 올려진 팔)
아비도스 왕 목록케베흐 (qbḥ, 북쪽에서 온 자)
사카라 목록케베후-켄티 (qbḥ.w-ḫntj, 시원한 북쪽에서 온 자)
토리노 왕 목록...베흐 (...bḥ)
개인 정보
배우자알려진 바 없음
자녀알려진 바 없음
아버지세메르케트(가장 유력) 또는 아네지브
어머니알려진 바 없음
매장지움 엘-카브, 무덤 Q

2. 정체성

아비도스 왕 목록에 기록된 카아의 카르투슈 이름 '''Qebeh'''


마네토는 카아를 '''Biénechês'''라고 불렀으며, 섹스투스 율리우스 아프리카누스가 보존한 버전에 따르면 26년간 통치했다고 한다.[2] 유세비우스의 버전에서는 '''Óubiênthis''', 유세비우스의 아르메니아어 버전에서는 '''Víbenthis'''와 같이 다른 헬레니즘화된 이름을 제공한다.[3][4][2]

3. 가족

카아의 부모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선임자였던 아네제브 또는 세메르케트가 그의 아버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왕위를 장남에게 물려주는 것이 관례였기 때문이다. 만에토가 정확하게 추측했다면 (관례를 기억하면), 세메르케트가 아버지였을 것이다.[4]

4. 통치

카아의 세레크와 넵티 이름 ''sn''이 새겨진 상아 라벨.


카아의 통치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지만, 약 33년 동안 오랫동안 통치했던 것으로 보인다. 여러 석조 용기 비문에서 카아의 두 번째 세드 축제를 언급하고 있다. 팔레르모 석은 즉위 연도와 모든 왕 아래에서 기념되던 몇몇 일반적인 종교 의례 행사만을 언급하고 있다. 그의 치세에 해당하는 수많은 상아 태그 역시 장례 제물과 왕의 개인 소지품을 묘사하고 계산하는 것과 같은 전형적인 행정 절차만을 언급하고 있다.[5][6]

카아 치세 때 활동한 고위 관료로는 ''메르카'', ''헤누카'', ''네페레프'', ''사베프'' 등이 있다.

4. 1. 통치 기간의 증거

카아의 통치 기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지만, 오랫동안(약 33년) 통치했던 것으로 보인다. 여러 석조 용기 비문에서 카아의 두 번째 세드 축제를 언급하고 있는데, 이는 최소 33년 이상 통치했음을 시사한다. 첫 번째 축제는 일반적으로 통치 30년이 되기 전에 기념되지 않았으며, 그 이후의 축제는 3년마다 반복될 수 있었다. 팔레르모 석은 즉위 연도와 모든 왕 아래에서 기념되던 몇몇 일반적인 종교 의례 행사만을 언급하고 있다. 그의 치세에 해당하는 수많은 상아 태그 역시 장례 제물과 왕의 개인 소지품을 묘사하고 계산하는 것과 같은 전형적인 행정 절차만을 언급하고 있다.[5][6]

카아 치세의 고위 관료들의 마스타바 무덤은 다음과 같다.

이름무덤 번호비고
메르카S3505
헤누카불명매장지 불명
네페레프불명매장지 불명
사베프카아의 왕족 묘지에 매장[5][6]


5. 통치 말기와 왕조 교체

카아의 통치가 길고 번영했음에도 불구하고, 그가 사망한 후 여러 왕가들이 비어있는 왕위를 두고 쟁탈전을 벌이기 시작했다는 증거가 발견되었다. 고위 관료 '메르카'의 무덤에서는 스네페르카라는 왕의 이름이 새겨진 석조 용기가 발견되었다. "스네페르카"가 카아의 다른 이름인지, 아니면 별개의 단명한 통치자인지는 불분명하다.[4] 볼프강 헬크와 토비 윌킨슨 같은 이집트 학자들은 제1왕조 말기에 제작된 용기 조각에서 이름이 발견된 "호루스 버드"라는 또 다른 미스터리한 통치자를 지목한다. 스네페르카와 호루스 버드가 권력을 놓고 싸웠으며, 호텝세켐위가 그 싸움을 종식시키고 마침내 이집트 왕위에 올라 제2왕조를 시작했다는 가설이 제기된다.[4] 아비도스 왕실 무덤에서 발견된 무덤 도굴 및 방화 흔적은 이러한 이론을 뒷받침하는 강력한 단서이다. 카아의 무덤에서 발견된 호텝세켐위의 점토 봉인들은 그가 무덤을 복원했거나 카아를 매장했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이는 아마도 그의 통치를 정당화하려는 시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4][6]

6. 유물

카아의 무덤 지도. 주요 묘실 주변의 부속 매장을 참고하십시오.


카아는 아비도스에 30m x 23m 크기의 상당히 큰 무덤을 가지고 있었다.[7] 이 무덤은 1993년 독일 고고학 연구소의 독일 고고학자들에 의해 발굴되었으며 26개의 부속(희생) 매장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1990년대 중반 독일 고고학 연구소에 의해 카아의 무덤(Q 무덤) 입구 근처에서 호텝세켐위의 이름이 새겨진 인장 자국이 발견되었다.[8] 이는 카아가 매장되었고, 마네토의 기록대로 호텝세켐위가 이집트 제2왕조를 창시하며 그를 계승했음을 보여주는 증거로 해석된다. 카아의 아름다운 묘비는 현재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고고학 및 인류학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카아의 시대, 사카라에 있는 한 관료인 메르카라는 귀족의 무덤에는 많은 칭호가 새겨진 석비가 있었다. 여기에는 두 번째 세드 축제가 증명되어있다. 이 사실과 왕을 묘사한 여러 왕실 석비의 높은 품질은 카아의 통치가 상당히 안정적이고 번영했던 시기였음을 시사한다.

또한 그의 통치 시기인 아비도스의 움엘카아브 제1왕조 매장지에서 여러 해의 연도 라벨이 발견되었다. 카아는 기원전 2916년경 이집트를 통치한 것으로 여겨진다. 카아의 이름과 칭호가 새겨진 접시는 제2왕조 파라오 세트페리브센의 무덤(페트리의 P 무덤)에서 발견되었다.[9]

참조

[1] 웹사이트 Qa'a Ancient Egypt Online https://ancientegypt[...]
[2] 웹사이트 LacusCurtius • Manetho's History of Egypt — Book I https://penelope.uch[...]
[3] 서적 Chronicle of the Pharaohs Thames & Hudson Ltd 1994
[4] 서적 Untersuchungen zur Thinitenzeit. Harrassowitz, Wiesbaden 1987
[5] 간행물 La Pyramide a Degeres IV, Inscriptions Gravees sur les Vases Cairo 1959
[6] 서적 Early Dynastic Egypt Routledge, London/ New York 1999
[7] 서적 Chronicle of the Pharaohs Thames & Hudson Ltd 2006
[8] 간행물 MDAIK 52 1996
[9] 서적 Topographical Bibliography of Ancient Egyptian Hieroglyphic Texts, Reliefs, and Paintings, V. Upper Egypt: Sites Oxford 1937
[10] 서적 Chronicle of the Pharaohs Thames & Hudson Ltd 2006
[11] 기타 op. cit.
[12] 간행물 MDAIK 52 1996
[13] 기타 op. ci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