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터 독트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터 독트린은 1980년 1월 지미 카터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외교 정책으로, 페르시아 만 지역에 대한 소련의 군사적 위협을 미국 안보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하고 군사력을 포함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격퇴하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1979년 이란 혁명과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으로 인한 에너지 위기 및 지정학적 불안정성에 대한 대응이었다. 카터 독트린은 중부군사령부 창설, 국방비 증액, 해군력 증강 등의 실행으로 이어졌으며, 이후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에 의해 '레이건 수정안'으로 확대되어 이란-이라크 전쟁 중 사우디아라비아의 안보를 보장하는 내용을 포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미 카터 - 로절린 카터
    로절린 카터는 미국의 영부인이자 사회 운동가, 작가이며, 정신 건강 문제 개선과 국제 분쟁 해결, 인권 증진, 질병 퇴치에 기여하고 여성 인권 및 아동 복지를 위해 활동했으며, 다섯 권의 책을 저술했다.
  • 지미 카터 - 플레인스 (조지아주)
    플레인스는 조지아주에 위치한 도시로, 인구는 1870년부터 2020년까지 변동을 겪었으며, 온화한 기후에 연평균 최고 24도, 최저 11도, 연간 강수량 약 1254mm를 나타낸다.
  • 1980년 1월 - 제37회 골든 글로브상
    1979년 영화와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1980년 1월 27일에 열린 제37회 골든 글로브상은 영화 부문에서 《크레이머 대 크레이머》, 텔레비전 부문에서 《앨리스》가 각각 4관왕을 차지했으며 헨리 폰다가 세실 B. 데밀 상을 받았다.
  • 1980년 1월 - 1980년 A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1980년 A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는 6개 팀이 참가하여 인도 코지코드에서 풀리그 및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중화 타이베이가 우승, 인도 (남부 선발 팀)가 준우승, 오스트레일리아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주 선발 팀)가 3위를 차지했다.
  • 1980년 미국 - 주이란 미국 대사관 인질 사건
    1979년 이란 학생 시위대가 테헤란 주재 미국 대사관을 점거하여 52명의 미국인이 444일간 인질로 억류된 주이란 미국 대사관 인질 사건은 팔레비 왕조의 친미 정책, 이란 이슬람 혁명, 팔레비 국왕의 미국 입국 허용 등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생했으며, 이란 혁명 정부의 요구와 미국의 외교적 노력 실패, 국제 정세 변화와 알제리 중재를 거쳐 인질이 석방되었으나, 미국-이란 관계 악화와 중동 지역 정세 불안 등 국제적 파장을 남겼다.
  • 1980년 미국 - 제52회 아카데미상
    제52회 아카데미상은 1980년 2월 25일에 개최되어 조니 카슨이 사회를 맡았으며, 《크레이머 대 크레이머》가 작품상, 감독상 등 5개 부문을 수상하며 최다 수상작이 되었고, 저스틴 헨리가 남우조연상 후보에 최연소로 지명되었다.
카터 독트린
지도
기본 정보
명칭카터 독트린
유형국가 안보 정책
발효일1980년 1월 23일
선언 주체지미 카터
역사적 배경
계기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주요 내용
핵심 내용페르시아만 지역에 대한 외부 세력의 침입을 미국의 핵심 이익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하고, 필요시 군사력을 포함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방어할 것이라는 미국의 정책 선언
목표 지역페르시아만 지역
핵심 목표중동 지역의 안정 유지 및 석유 공급 확보
영향
냉전 시대냉전 시대에 소련의 세력 확장을 견제하는 정책의 중요한 축으로 작용
현대이후 미국의 중동 정책의 기조가 되었으며, 이라크 전쟁 등 여러 중동 분쟁에 영향을 미침
관련 정책레이건 독트린, 부시 독트린 등 미국의 대외 정책에 영향을 줌
추가 정보
배경1979년 이란 혁명과 이란 인질 사태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관련 인물즈비그뉴 브레진스키
사이러스 밴스
관련 문서
관련 문서걸프만
레이건 독트린
부시 독트린
참고 문헌
참고 문헌A Cold War Legacy of Persian Gulf Conflict
Yergin (1991), pp. 140, 702.

2. 역사적 배경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페르시아 만 지역은 미국의 핵심 이익 지역으로 부상했다. 석유는 현대 군사력 유지에 필수적인 자원이었고, 미국은 자국의 석유 공급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중동 지역, 특히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관계를 강화했다.

페르시아 만 지역의 석유 및 가스 자원


2차 대전 중 영국과 소련은 이란을 공동으로 침공하여 분할했지만, 전쟁이 끝난 후 소련은 이란에서 철수하지 않고 아제르바이잔 인민 정부와 마하바드 공화국을 지원하여 1946년 이란 위기를 초래했다. 이는 냉전의 초기 갈등 중 하나였으며, 미국의 압박으로 소련은 결국 이란에서 철수했다.[6][7]

이후 트루먼 독트린, 아이젠하워 독트린, 닉슨 독트린 등 미국의 역대 대통령들은 중동 지역에서 미국의 이익을 보호하고 소련의 영향력을 억제하기 위한 정책들을 추진했다. 이러한 정책적 기조는 1979년 이란 혁명과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을 거치면서 카터 대통령의 '카터 독트린'으로 이어졌다.

2. 1. 제2차 세계 대전과 미국의 중동 정책



페르시아 만 지역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처음으로 미국의 국가적 이익 지역으로 선포되었다. 석유는 현대 군대에 중대한 중요성을 지니는데, 당시 세계 최대 산유국이었던 미국은 연합군에 필요한 석유 대부분을 공급했다. 많은 미국 전략가들은 전쟁으로 인해 미국의 석유 공급이 위험할 정도로 감소할 것을 우려하여, 대규모 석유 매장량을 보유한 사우디아라비아 왕국과의 관계 개선을 추진했다. 1943년 2월 16일, 미국 대통령 프랭클린 루즈벨트는 "사우디아라비아의 방위는 미국의 방위에 필수적이다"라고 말했다.[4]

1945년 2월 14일, 얄타 회담에서 돌아오는 길에 루즈벨트는 수에즈 운하의 그레이트 비터 호에서 사우디아라비아 국왕 압둘아지즈 이븐 사우드를 만났는데, 이는 미국 대통령이 페르시아 만 지역을 방문한 최초의 사례였다. 1990년 사막 방패 작전 당시 미국 국방장관 딕 체니는 루즈벨트와 이븐 사우드 간의 이 중요한 만남을 사우디아라비아 국경을 보호하기 위해 군대를 파병한 근거 중 하나로 제시했다.[5]

2. 2. 냉전 시기 미국의 중동 정책

페르시아 만 지역은 냉전 시기에도 미국에게 매우 중요한 지역으로 여겨졌다. 냉전 시대의 세 가지 미국 대통령 독트린 (트루먼 독트린, 아이젠하워 독트린, 닉슨 독트린)은 카터 독트린의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특히 트루먼 독트린은 소련 공산주의의 위협을 받는 국가에 군사 원조를 제공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는 이란사우디아라비아의 안보를 강화하는 데 사용되었다. 1950년 10월, 트루먼 대통령은 이븐 사우드에게 서한을 보내 "미국은 사우디아라비아의 독립과 영토 보전에 관심이 있다. 당신의 왕국에 대한 어떠한 위협도 미국에 즉각적인 우려가 되지 않을 수 없다"라고 강조했다.[8]

아이젠하워 독트린은 소련의 지원을 받는 적대 세력으로부터 미국의 동맹국을 보호하기 위해 미군을 중동에 파병할 것을 촉구했다. 닉슨 독트린은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에 군사 원조를 제공하여 미국의 동맹국이 해당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보장하도록 했다. 1979년 이란 혁명과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개입은 카터 독트린이라는 형태로 이 지역에 대한 미국의 이익을 재확인하게 만들었다.[9] 또한, 소련이 남예멘을 지원한 1979년 예멘 전쟁 역시 카터의 외교 정책 변화에 영향을 준 요인으로 작용했다.[10]

1979년 에너지 위기에 대응하여 카터 대통령은 "신뢰의 위기" 연설을 통해 미국인들에게 에너지 사용을 줄여 외국 석유 공급에 대한 의존도를 낮출 것을 촉구했다.[12]

2. 3. 1970년대 에너지 위기와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1979년 이란 혁명으로 인한 에너지 위기는 미국이 외국 석유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에너지 안보를 강화해야 할 필요성을 부각시켰다.[12] 카터 대통령은 "신뢰의 위기" 연설을 통해 미국인들에게 에너지 사용을 줄일 것을 촉구했고, 일부 학자들은 카터의 에너지 계획이 완전히 시행되었다면 미국의 외국 석유 의존으로 인한 현재의 경제적 어려움을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13]

같은 해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은 중동 지역에서 소련의 영향력 확대를 우려하게 만들었고, 이는 카터 독트린 발표의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9] 이전까지 소련은 제3세계에서 신중한 지원과 은밀한 행동을 결합한 전략을 취했으나, 아프가니스탄 침공은 소련의 정책이 더욱 직접적이고 공격적으로 변했음을 보여주었다.[14] 이는 인도양에 대한 전략적 입지를 확보하려는 소련의 장기적인 목표를 달성 가능성에 더 가깝게 만드는 것으로 여겨졌다.[14]

이에 대응하여 카터 대통령은 SALT II 조약을 철회하고,[15] 모스크바 주재 미국 대사를 소환했으며,[16] 소련에 대한 곡물 판매를 제한했고,[17] 소련에 대한 첨단 기술 수출을 중단했다.[14]

3. 카터 독트린의 내용

미국 대통령 지미 카터


1980년 1월 23일, 지미 카터 대통령은 연두교서에서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으로 인해 중동 석유 공급에 대한 위협이 커진 상황에서, 페르시아 만 지역을 외부 세력이 통제하려는 시도는 미국의 중대한 이익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하고, 군사력을 포함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이를 격퇴할 것이라고 선언했다.[18]

3. 1. 카터 독트린의 핵심 내용

Jimmy Carter영어 대통령은 1980년 1월 23일 연방 의회 연설에서 아프가니스탄에 주둔한 소련군이 "중동 석유의 자유로운 이동에 심각한 위협"이 된다고 말한 후 다음과 같이 선언했다.[18]

:현재 아프가니스탄 소련군에 의해 위협받고 있는 지역은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합니다. 세계 수출 가능 석유의 3분의 2 이상이 이 지역에 있습니다. 아프가니스탄을 지배하려는 소련의 노력으로 인해 소련군은 인도양에서 약 482.80km 이내, 세계 석유의 대부분이 통과해야 하는 수로인 호르무즈 해협 근처까지 진출했습니다. 따라서 소련은 중동 석유의 자유로운 이동에 심각한 위협이 되는 전략적 위치를 확보하려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올해뿐 아니라 앞으로 수년간 신중한 고려, 침착함, 그리고 단호한 행동을 요구합니다. 페르시아만과 서남아시아의 새로운 안보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공동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중동산 석유에 의존하고 세계 평화와 안정에 관심 있는 모든 사람의 참여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위협받을 수 있는 지역 국가들과의 협의 및 긴밀한 협력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도전에 대처하려면 국가적 의지, 외교적·정치적 지혜, 경제적 희생, 그리고 물론 군사력이 필요합니다. 이 중요한 지역의 안보를 유지하기 위해 우리 안에 있는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우리의 입장을 명확히 하겠습니다. 외부 세력이 페르시아만 지역을 장악하려는 시도는 미국의 중대한 이익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될 것이며, 그러한 공격은 군사력을 포함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격퇴될 것입니다.

4. 카터 독트린의 실행

카터 행정부는 중부군사령부의 모체가 된 신속전개부대를 창설했다.[19][20] 이와 함께 의회에 징병제(Selective Service) 등록 재개를 요청하고, 향후 5년간 매년 5%의 국방비 증액을 제안했으며, 페르시아만과 인도양에 미 해군 주둔을 확대했다.[19][20]

로널드 레이건(Ronald Reagan) 대통령은 1981년 10월, 이른바 "카터 독트린에 대한 레이건 수정안"을 발표하며 정책을 확대했다. 이 수정안은 이란-이라크 전쟁사우디아라비아의 안보가 위협받을 경우, 미국이 사우디아라비아 보호를 위해 개입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카터 독트린이 역외 세력을 경고한 반면, 레이건 수정안은 역내 안정을 확보하겠다고 약속한 것이다. 외교관 하워드 타이처(Howard Teicher)는 "레이건 수정안 발표와 함께 사막의 폭풍 작전(Operation Desert Storm)을 위한 정책적 기반이 마련되었다"고 평가했다.[23]

4. 1. 비판과 논란

조지 F. 케넌(George F. Kennan)은 카터 독트린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21] 에드워드 케네디(Edward Kennedy) 상원의원은 카터가 소련의 위협에 대해 과잉 반응하고 과장했으며, 외교적 அணுக방식(접근 방식)을 취하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케네디는 1980년 대선 경선에서 패배한 후에도 이러한 주장을 반복했다.[22]

5. 레이건 독트린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은 카터 독트린을 확대하여 1981년 "레이건 수정안"을 발표했다. 이는 미국이 사우디아라비아의 안보가 위협받는 경우, 내부적인 요인에 의해서도 개입할 것이라고 선언한 것이다. 이는 이란-이라크 전쟁 발발과 관련이 깊다.

6. 카터/레이건 독트린과 한국

카터 독트린과 레이건 독트린은 대한민국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중동 지역의 안보와 석유 공급의 안정성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 대한민국은 1970년대 1차 석유 파동2차 석유 파동을 겪으면서 에너지 안보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중동 지역의 정세 불안은 한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인지하고 이 지역의 정세를 예의주시해 왔다.

참조

[1] 서적 Power and Principle: Memoirs of the National Security Adviser, 1977-1981 Farrar, Straus, Giroux
[2] 뉴스 A Cold War Legacy of Persian Gulf Conflict http://www.artsandme[...] Newsdesk.org 2008-10-16
[3] harv
[4] harv
[5] harv
[6] 학술지 The Iranian Crisis of 1945-46 and the Cold War https://www.jstor.or[...] 1974
[7] 학술지 From the Truman Doctrine to the Carter Doctrine: Lessons and Dilemmas of the Cold War https://www.jstor.or[...] 1983
[8] harv
[9] harv
[10] 웹사이트 Jimmy Carter and the Second Yemenite War: A Smaller Shock of 1979? https://www.wilsonce[...] 2021-11-13
[11] 서적 Grey wars : a contemporary history of U.S. special operations https://www.worldcat[...] 2021
[12] 웹사이트 Crisis of Confidence http://www.cartercen[...] The Carter Center 2008-07-27
[13] 뉴스 Second Hearing for Carter http://www.ajc.com/s[...] 2008-07-27
[14] 학술지 Oil Fueled? The Soviet Invasion of Afghanistan 2013-01-01
[15] 웹사이트 Carter withdraws SALT II accord, Jan. 2, 1980 http://politi.co/2qe[...] 2021-11-13
[16] 뉴스 U.S. Ambassador to Moscow Recalled https://www.washingt[...] 1980-01-03
[17] 웹사이트 The Soviet Grain Embargo https://www.heritage[...] 2021-11-13
[18] 웹사이트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77–1980, Volume I, Foundations of Foreign Policy https://history.stat[...] 2022-01-06
[19] 서적 From Colony to Superpower: U.S. Foreign Relations Since 1776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 서적 Restless Giant: The United States from Watergate to Bush v. Gor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1] 서적 Meeting the Communist Threat: Truman to Reaga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2] 서적 Edward Kennedy: An Intimate Biography https://archive.org/[...] Catapult
[23] 서적 Twin Pillars to Desert Storm: America's Flawed Vision in the Middle East from Nixon to Bush Morro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