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키넌 세이퍼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칼 키넌 세이퍼트는 미국의 천문학자이다. 하버드 대학교에서 천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맥도널드 천문대, 마운트 윌슨 천문대, 케이스 공과대학교, 밴더빌트 대학교 등에서 연구 및 교육 활동을 했다. 그는 활동 은하 연구를 통해 '세이퍼트 은하'로 명명된 은하의 특징을 밝혀냈으며, 세이퍼트의 육중주를 발견했다. 또한 천문 관측 기술 개발에도 기여했으며, 달 분화구와 다이어 천문대 망원경의 명칭에 그의 이름이 사용되었다.
칼 키넌 세이퍼트는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에서 태어나 하버드 대학교에서 천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36년 텍사스 맥도널드 천문대 설립을 도왔고, 1940년에는 마운트 윌슨 천문대에서 ''세이퍼트 은하'' 연구를 수행했다.[2] 케이스 공과대학교를 거쳐 1946년 밴더빌트 대학교 교수가 되었으며, 다이어 천문대 건립에 크게 기여했다. 1950년대에는 내슈빌 WSM-TV의 지역 기상 캐스터로도 활동했다. 1960년 6월 13일 내슈빌에서 자동차 사고로 사망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다이어 천문대 근처 도로가 "칼 세이퍼트 기념 드라이브"로 명명되었다.[3]
칼 키넌 세이퍼트는 항성 및 은하 천문학의 광범위한 주제와 관측 방법 및 기기에 관한 많은 논문을 천문학 문헌에 발표했다.
2. 생애
2. 1. 어린 시절과 교육
세이퍼트는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에서 태어나 자랐으며, 1929년부터 하버드 대학교에 다녔다. 1933년에 이학사 및 이학 석사 학위를, 1936년에 천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할로 섀플리의 지도 아래 작성한 그의 박사 학위 논문은 은하의 색상과 등급을 다룬 "외부 은하 연구"였다.[2]
1935년, 세이퍼트는 고리 성운 연구에 기여한 전직 하버드 컴퓨터 천문학자인 뮤리엘 머셀스 세이퍼트와 결혼했다.[1] 슬하에 딸 게일 캐롤과 아들 칼 키넌 세이퍼트 주니어를 두었다.[2]
2. 2. 가족
칼 키넌 세이퍼트는 1935년에 뮤리엘 머셀스 세이퍼트와 결혼했는데, 그녀는 고리 성운 연구에 기여한 하버드 전산 천문학자였다.[1] 이들 부부는 딸 게일 캐롤과 아들 칼 키넌 세이퍼트 주니어, 이렇게 두 자녀를 두었다.[2]
2. 3. 맥도널드 천문대 (1936-1940)
1936년 세이퍼트는 텍사스에 있는 신설 맥도널드 천문대의 직원이 되어 천문대 설립을 도왔다. 그는 1940년까지 머물면서 다니엘 M. 포퍼와 함께 희미한 B형 별의 특성에 대해 연구했고, 나선 은하의 색상에 대한 연구를 계속했다.
2. 4. 마운트 윌슨 천문대 (1940-1942)
1940년 세이퍼트는 미국 국립 연구 위원회의 펠로우로 마운트 윌슨 천문대에 갔다.[2] 그는 1942년까지 머물면서 현재 ''세이퍼트 은하''라고 불리는 활동 은하를 연구했다.[2]
2. 5. 케이스 공과대학교 (1942-1946)
1942년 세이퍼트는 케이스 공과대학교가 있는 클리블랜드로 돌아와 군인들에게 항해술을 가르치고 비밀 군사 연구에 참여했다. 그는 또한 케이스 공과대학교의 워너 앤 스와지 천문대에서 몇 가지 천문학 연구를 수행했다.[2]
2. 6. 밴더빌트 대학교와 다이어 천문대 (1946-1960)
1946년 세이퍼트는 테네시 내슈빌의 밴더빌트 대학교 교수가 되었다. 당시 밴더빌트의 천문학 프로그램은 매우 작았다. 대학교는 약 15.24cm 굴절 망원경이 장착된 작은 천문대만 가지고 있었고, 교육 프로그램도 미미했다.[2] 세이퍼트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하고 새로운 천문대를 건설하기 위한 기금을 모금하기 위해 부지런히 노력했다.[2] 몇 년 안에 그는 내슈빌 지역 사회로부터 상당한 대중의 지지를 얻었다.[2] 그 결과, 약 60.96cm 반사 망원경이 있는 다이어 천문대가 1953년 12월에 완공되었다.[2] 세이퍼트는 새로운 천문대의 관장이 되었으며, 그는 사망할 때까지 이 직책을 맡았다.[2] 세이퍼트는 또한 1950년대에 내슈빌의 NBC 계열사인 WSM-TV의 지역 기상 캐스터이기도 했다.[2]
2. 7. 죽음
1960년 6월 13일 테네시 내슈빌에서 자동차 사고로 사망했다.[3] 다이어 천문대 근처의 주거 지역 도로는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칼 세이퍼트 기념 드라이브"로 개명되었다. 하버드 전산원이었던 그의 아내 뮤리엘 머셀스 세이퍼트가 1949년에 그린 세이퍼트의 유화 초상화는 다이어 천문대에 걸려 있다.[3]
3. 천문학적 업적
1943년, 세이퍼트 은하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다. 메시에 77 (NGC 1068)은 그 예시 중 하나이다.
제이슨 존 나소와 함께 성운과 항성 스펙트럼의 최초의 훌륭한 컬러 이미지를 얻었으며, NGC 6027 주변의 은하 그룹( 세이퍼트의 육중주)을 관측하고 묘사했다. 그는 광전 증배관과 텔레비전 기술의 천문학적 사용, 그리고 전자 제어 망원경 구동과 같은 새로운 기술에 참여하며, 기기 개발에 적극적인 혁신가였다.
세이퍼트 달 분화구(북위 29.1도, 동경 114.6도, 지름 110km)와 다이어 천문대의 약 60.96cm 망원경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3. 1. 세이퍼트 은하 발견
1943년, 칼 키넌 세이퍼트는 특징적으로 넓어진 방출선을 가진 방출선 스펙트럼으로 빛을 내는 밝은 핵을 가진 은하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다. 전형적인 예는 메시에 77(NGC 1068)이다. 이 은하 종류가 그의 이름을 따서 현재 세이퍼트 은하로 알려져 있다.[1]
3. 2. 컬러 사진 촬영
칼 키넌 세이퍼트는 제이슨 존 나소와 함께 성운과 항성 스펙트럼의 최초 컬러 이미지를 얻었다.[1] 그는 광전 증배관과 텔레비전 기술의 천문학적 사용, 전자 제어 망원경 구동과 같은 새로운 기술에 참여하며, 기기 개발에 적극적으로 혁신하였다.[1]
3. 3. 세이퍼트 육중주 발견
1943년, 칼 키넌 세이퍼트는 특징적으로 넓어진 방출선을 가진 방출선 스펙트럼으로 빛을 내는 밝은 핵을 가진 은하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다. 전형적인 예는 메시에 77(NGC 1068)이다. 이 은하 종류는 그의 이름을 따서 현재 세이퍼트 은하로 알려져 있다.
1951년, 그는 NGC 6027 주변의 은하 그룹을 관측하고 묘사했으며, 이 그룹은 현재 세이퍼트 육중주로 알려져 있다.
3. 4. 천문 관측 기술 개발
칼 키넌 세이퍼트는 항성 및 은하 천문학의 광범위한 주제와 관측 방법 및 기기에 관한 많은 논문을 천문학 문헌에 발표했다. 그는 광전 증배관과 텔레비전 기술의 천문학적 사용, 그리고 전자 제어 망원경 구동과 같은 새로운 기술에 참여하며, 기기 개발에 적극적인 혁신가였다. 1951년에는 NGC 6027 주변의 은하 그룹을 관측하고 묘사했으며, 이 그룹은 현재 세이퍼트의 육중주로 알려져 있다.
4. 저서
Carl K. Seyfert영어가 1943년에 《천체물리학 저널》에 기고한 논문 〈나선 성운의 핵 방출〉이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Muriel E. Mussells Seyfert (b. 1909)
https://siarchives.s[...]
1936-03-16
[2]
서적
The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Astronomers
Springer
2007
[3]
웹사이트
Seyfert, Dr. Carl K.
https://tnportraits.[...]
2021-02-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