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인민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캄보디아 인민당은 1951년 인도차이나 공산당에서 분리된 크메르 인민혁명당을 모체로 창당되었다. 1979년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수립 후 캄푸치아 인민혁명당을 재건하고 일당 지배 체제를 유지하다가, 1991년 캄보디아 인민당으로 당명을 변경하고 다당제를 도입했다. 이후 1993년 총선에서 푼신펙과 연립 정부를 구성했으며, 1998년 총선에서 승리한 이후 훈 센이 총리직을 수행하며 현재까지 집권하고 있다. 2023년 총선에서는 120석을 차지했으며, 2024년 상원 선거에서도 압승을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캄보디아의 정당 - 촛불당
-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 헹 삼린
헹 삼린은 크메르 루주 정권에서 활동하다 망명 후 캄푸치아 구국 민족 통일 전선을 결성, 베트남군과 함께 캄보디아를 침공하여 캄푸치아 인민 공화국을 수립하고 국가평의회 의장을 역임한 캄보디아의 정치인이다. -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국가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국가는 '우리 캄보디아'로도 알려진, 캄푸치아 인민공화국의 이상과 가치를 담은 사회주의 국가이며, 가사는 크메르어, 로마자, 베트남어, 영어로 번역되어 단결, 승리, 자유를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캄보디아 인민당 - [정당]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정당 이름 | 캄보디아 인민당 |
로마자 표기 | Keanapak Pracheachon Kampuchea |
원어 이름 | គណបក្សប្រជាជនកម្ពុជា |
약칭 | CPP, KPRP (1991년 이전) |
창당일 | 1951년 6월 28일 (재건: 1979년 1월 5일) |
창립자 | 손 응옥 민, 투 사뭇 |
본부 | 7월 1일 궁전, 203 노로돔 대로, 프놈펜, 캄보디아 |
당 색상 | 하늘색 |
슬로건 | "ឯករាជ្យ សន្តិភាព សេរីភាព ប្រជាធិបតេយ្យ អព្យាក្រឹត និងវឌ្ឍនភាពសង្គម" (독립, 평화, 자유, 민주주의, 중립 및 사회 발전) |
당가 | "បទចម្រៀងនៃគណបក្សប្រជាជនកម្ពុជា" ("캄보디아 인민당의 노래") |
정치 | |
정치 이념 | 캄보디아 민족주의, 사회 시장 경제, 사회 보수주의, 군주제 (1991년 이전: 공산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
정치 성향 | 좌익 정치 |
국제 연합 | 중도 민주 인터내셔널 |
국내 연합 | 캄보디아 조국 발전 연대 전선 |
군사 조직 | 캄푸치아 인민 혁명 무장 군대 (1979–1989), 캄보디아 인민 무장 군대 (1989–1993) |
청년 조직 | 캄푸치아 인민 혁명 청년 연합 (1979–1989), 캄보디아 인민당 중앙 청년 (현재) |
분파 | 인도차이나 공산당 |
당원 수 | 7,100,000명 (2023년) |
공식 웹사이트 | cpp.org.kh |
지도부 | |
총재 | 훈 센 |
부총재 | 사이 춤, 사르 켕, 티 반, 멘 삼 안, 훈 마넷 |
의회 의석 | |
상원 의석 | 55/62석 |
하원 의석 | 120/125석 |
코뮌 수장 | 1648/1652석 |
코뮌 의원 | 9376/11622석 |
지방, 시, 읍, 구 의원 | 3761/4114석 |
주지사 | 25/25석 |
관련 정보 | |
참고 | "레닌주의 정당 조직 원칙"을 따르며, "캄보디아의 모든 행정 수준 및 기관에 침투한 공산당 구조"를 유지함.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념에 기반한 공산주의 유산을 내재화하고 있음. |
2. 역사
캄보디아 인민당의 공식적인 역사는 1951년 9월 인도차이나 공산당에서 분리된 크메르 인민혁명당(KPRP)의 창당에서 시작한다. 그러나 1960년대 폴 포트, 이엥 사리 등 파리 유학파 세력이 당권을 장악하면서 당은 캄푸치아 공산당(CPK), 즉 크메르 루주로 변모하였다.
1975년 크메르 루주가 민주 캄푸치아 정권을 수립한 후, 극단적인 정책과 내부 숙청으로 많은 이탈자가 발생하여 베트남으로 망명했다. 베트남과의 국경 분쟁이 격화되던 1978년 12월 2일, 베트남의 지원 아래 헹 삼린, 훈 센 등 전 크메르 루주 간부들과 베트남 망명자들이 연합하여 캄푸치아 구국 민족 통일 전선을 결성하고 크메르 루주에 대항하는 봉기를 일으켰다.
1978년 12월 25일 베트남군이 캄보디아를 침공하여 1979년 1월 7일 수도 프놈펜을 함락시키자, 크메르 루주 정권은 태국 국경 지대로 밀려났다. 캄푸치아 구국 민족 통일 전선은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수립을 선포하고, 캄푸치아 인민혁명당(KPRP)을 '재건'하여 펜 소반이 제1서기를 맡았다. 1981년 말 펜 소반 실각 후에는 헹 삼린이 당과 국가를 이끌었다. 이후 KPRP는 베트남군의 지원을 받으며, 시아누크 파, 손 산 파와 연합한 크메르 루주의 '민주 캄푸치아 연합 정부'와 내전을 벌였다.
1989년 베트남군 철수 후 평화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국호를 캄보디아로 변경했고, 1991년 10월 임시 전당대회에서 당명을 현재의 캄보디아 인민당(CPP)으로 바꾸고 다당제를 채택하며 마르크스-레닌주의를 공식적으로 포기했다. 같은 해 파리 평화 협정이 체결되어 4개 파벌이 참여하는 캄보디아 최고 국가 이사회(SNC)가 구성되었다.
1992년 설립된 유엔 캄보디아 과도통치기구(UNTAC)의 감독 하에 1993년 총선이 실시되었고, CPP는 노로돔 라나리드 왕자가 이끄는 푼신펙에 이어 제2당이 되었다. 두 당은 연립 정부를 구성하여 노로돔 라나리드가 제1수상, 훈 센이 제2수상을 맡는 타협안에 합의했으며, 입헌군주제를 채택한 신헌법 제정과 함께 노로돔 시아누크가 국왕으로 복위했다.
그러나 CPP는 강력한 기반을 유지하며 푼신펙과 긴장 관계를 이어갔고, 1997년 프놈펜에서의 무력 충돌을 통해 훈 센이 사실상 권력을 장악했다. 1998년 총선에서 CPP는 제1당이 되었고 훈 센이 단독 수상이 되었다. 이후 CPP는 선거를 거치며 의석 수를 꾸준히 늘려 장기 집권 체제를 공고히 했다. 2013년 총선에서는 야당 캄보디아 구국당(CNRP)의 부상으로 의석 수가 줄었으나 제1당 지위는 유지했다.
2018년 총선을 앞두고 훈 센 정권은 최대 경쟁자였던 캄보디아 구국당을 강제로 해산시켰고, 주요 야당이 배제된 선거에서 CPP는 국회 125석 전석을 차지하며 압승했다. 이러한 선거 결과와 과정에 대해 국제 사회는 민주주의 후퇴라며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2023년 총선에서도 유사한 상황 속에서 CPP는 125석 중 120석을 획득하며 압승했다.[38] 선거 직후 훈 센은 아들 훈 마넷에게 총리직을 세습했지만, 자신은 당수직과 국민의회 의원직을 유지했다.[39] 2024년 상원 선거에서도 압승하여 훈 센이 상원 의장에 취임하는 등[40], CPP 중심의 권력 구조는 지속되고 있다.
2. 1. 창당과 초기 활동 (1951년 ~ 1979년)
캄보디아 인민당의 기원은 프랑스 식민 통치에 맞서기 위해 1930년 결성된 초국가적 조직인 인도차이나 공산당(ICP)에 뿌리를 두고 있다. 당시 캄보디아, 베트남, 라오스의 민족주의자들은 프랑스로부터 독립하기 위해 협력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의 영향력 확대는 프랑스의 지배력을 약화시켰고, 각국에서 민족주의가 고조되었다. 특히 캄보디아에서는 고조된 민족주의 정서와 이웃 국가에 대한 역사적 불신이 결합되어 독자적인 노선을 추구하게 되었다.결국 1951년 6월 28일, 캄보디아 민족주의자들은 인도차이나 공산당에서 분리하여 '''캄푸치아 인민혁명당'''(KPRP)을 결성했다. 공식적인 창립 기념일은 같은 해 9월로 간주된다. 1955년에는 총선 참여를 위해 '프라체아촌'이라는 합법 정당을 설립하기도 했다.
1960년 9월 제2차 당대회 이후, 폴 포트, 이엥 사리 등 프랑스 유학파 출신들이 당내에서 부상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당명을 '''캄푸치아 노동당'''(WPK)으로 변경했고, 1966년에는 다시 '''캄푸치아 공산당'''(CPK)으로 바꾸었다. 이들은 노로돔 시아누크 왕자에 의해 '크메르 루주'라고 불리게 되었으며, 당 본부를 라타나키리주로 옮겼다.
1975년, 크메르 루주는 내전에서 승리하여 '민주 캄푸치아' 정권을 수립했다. 그러나 이들의 극단적인 공산주의 정책은 많은 사람들의 반발을 샀고, 특히 친베트남 성향의 당원들은 숙청을 피해 베트남으로 망명하는 경우가 많았다.
베트남과의 국경 분쟁이 격화되던 1978년 12월 2일, 베트남군의 지원 아래 캄보디아 동부 지역(일설에는 베트남 내부)에서 헹 삼린, 훈센 등 전 크메르 루주 하급 간부들과 베트남에 망명해 있던 펜 소반 등이 연합하여 '''캄푸치아 구국 민족 통일 전선'''을 결성하고 크메르 루주에 대항하는 반란을 일으켰다.
같은 해 12월 25일, 베트남군이 캄보디아 영토를 전면 침공했고, 이듬해인 1979년 1월 7일 수도 프놈펜이 함락되었다. 크메르 루주 정권은 태국 국경 지역으로 밀려났다. 캄푸치아 구국 민족 통일 전선은 캄푸치아 인민공화국의 수립을 선언하고, 캄푸치아 인민혁명당(KPRP)을 '재건'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폴 포트의 캄푸치아 공산당(CPK) 시기를 부정하고 1951년 창립된 KPRP의 정통성을 잇는다는 의미였으며, 펜 소반이 제1서기로 취임했다. 이 재건된 당의 존재는 1981년 제4차 당대회 이전까지는 비밀에 부쳐졌다.
2. 2.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수립과 일당 지배 (1979년 ~ 1991년)
1975년 크메르 루주가 민주 캄푸치아를 수립한 후, 극단적인 공산주의 정책으로 인해 많은 이탈자가 발생하여 베트남으로 망명했다. 베트남과의 국경 분쟁이 격화되던 1978년 12월 2일, 베트남군 점령 하의 캄보디아 동부 지역(일부에서는 베트남 내부라는 설도 있음)에서 헹 삼린, 훈 센 등 전 크메르 루주 하급 간부들과 펜 소반과 같은 베트남 장기 망명자들이 힘을 합쳐 캄푸치아 구국 민족 통일 전선을 결성하고 크메르 루주 정권에 대항하는 반란을 일으켰다.같은 해 12월 25일, 베트남군이 캄보디아 영토를 전면 침공하였고, 이듬해인 1979년 1월 7일 수도 프놈펜이 함락되었다. 크메르 루주 정권은 태국 국경 지역으로 밀려났다. 캄푸치아 구국 민족 통일 전선은 캄푸치아 인민공화국의 수립을 선포하고, 캄푸치아 인민혁명당(KPRP)을 재건하였다. 펜 소반이 당의 제1서기로 취임했다.
그러나 1981년 말, 펜 소반은 권력 투쟁에서 밀려나 실각하였고, 이후 헹 삼린이 국가 원수와 당 서기장을 겸임하게 되었다. 한편, 태국 국경 지대로 밀려난 크메르 루주는 1982년 시아누크 파, 손 산 파와 연합하여 '민주 캄푸치아 연합 정부'를 수립하고, 베트남군의 지원을 받는 캄푸치아 인민혁명당의 캄푸치아 인민공화국에 맞서 내전을 이어갔다.
1989년 베트남군이 캄보디아에서 철수하면서 평화의 분위기가 조성되었고, 국호를 캄보디아로 변경하였다. 1991년 10월에는 임시 전당대회를 열어 당명을 현재의 캄보디아 인민당으로 바꾸고 다당제를 채택하였으며, 공식적으로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념을 포기하였다. 이로써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시기의 일당 지배 체제는 공식적으로 막을 내렸다.
2. 3. 다당제 도입과 캄보디아 인민당으로의 변화 (1991년 ~ 현재)
1989년 베트남군 철수 후 평화의 분위기가 높아지면서, 국호를 캄보디아로 개칭하였다. 1991년 10월 임시 전당대회에서 당명을 '''캄보디아 인민당'''(គណបក្សប្រជាជនកម្ពុជា|크노악팍 프레아체아촌 캄푸체아km, Cambodian People's Party, CPP)으로 변경하고 다당제를 채택하며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념을 공식적으로 포기했다. 이 변화와 함께 정치국과 서기처는 새로운 상임위원회로 통합되었고, 쩨 심이 당 주석, 훈 센이 부주석이 되었다.1990년 캄보디아 평화 도쿄 회의를 거쳐, 1991년 10월 23일 파리에서 캄보디아 평화 협정이 체결되었다. 이 과정에서 CPP는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4개의 주요 파벌(CPP, 푼신펙, 크메르루즈, 손 산 파)은 캄보디아 최고 국가 이사회(SNC)를 결성했다.
1992년에는 평화 협정 이행을 감독하기 위해 유엔 캄보디아 과도통치기구(UNTAC)가 설립되었다. UNTAC의 감시 하에 1993년 4월, 자유 총선거가 실시되었다. 선거 결과, 노로돔 시아누크 국왕의 아들인 노로돔 라나리드가 이끄는 푼신펙이 120석 중 58석을 얻어 제1당이 되었고, CPP는 51석으로 제2당, 손 산의 불교 자유민주당이 10석, 기타 정당이 1석을 차지했다. 선거 결과에 따라 CPP는 푼신펙과 연립 정부를 구성하기로 합의했다. 제1수상에는 노로돔 라나리드, 제2수상에는 훈 센이 취임하는 타협안이 마련되었고, 입헌군주제를 채택한 신헌법이 제정되어 노로돔 시아누크가 다시 국왕으로 즉위했다.

그러나 CPP는 여전히 막강한 영향력과 지배망을 유지하며 푼신펙과의 연립 정부 내에서 미묘한 긴장 관계를 이어갔다. 결국 1997년 7월, 프놈펜에서 CPP 계열 군대와 라나리드 지지 세력 간의 무력 충돌이 발생했다. 이 사건은 사실상의 쿠데타로 평가받으며[9], 노로돔 라나리드는 축출되었고 이 과정에서 최소 32명이 사망했다. 이 사건 이후 CPP는 심각한 반대 세력 없이 권력을 더욱 공고히 하게 되었다.
1998년 7월 총선에서 CPP는 123석 중 64석을 얻어 제1당이 되었고, 훈 센이 단독 수상으로 취임했다. 이후에도 푼신펙과의 연립 정권은 유지되었지만, CPP의 지배력은 더욱 강화되었다. CPP는 이후 선거에서 꾸준히 의석 수를 늘려나갔다. 2003년 선거에서는 73석, 2008년 선거에서는 90석을 획득하며 58%가 넘는 득표율을 기록했다. 2006년에는 헹 삼린이 라나리드의 후임으로 국회 주석(하원 의장)에 취임했고, 같은 해 상원 선거에서도 승리하며 당세를 확장했다.
하지만 2013년 총선에서는 새로 부상한 야당인 캄보디아 구국당(CNRP)의 돌풍으로 인해 CPP의 의석 수가 68석으로 크게 줄어들었다. 제1당 지위는 유지했지만, 이는 CPP의 장기 집권에 대한 국민들의 피로감과 변화 요구를 보여주는 결과였다. 2015년 훈 센은 당 부주석에서 당 주석으로 공식 취임했지만, 이전부터 실질적으로 당을 장악하고 있었다.
2018년 총선을 앞두고 훈 센 정권은 최대 경쟁자였던 캄보디아 구국당(CNRP)을 강제로 해산시켰다.[25] 주요 야당이 배제된 선거에서 CPP는 국회 의석 125석 전부를 휩쓸며 압승했다. 상원에서도 62석 중 58석을 장악했다. 그러나 이러한 독점적 결과와 선거 과정의 공정성에 대해 미국, 유럽 연합 등 국제 사회는 심각한 우려와 비판을 제기했다.
2023년 7월 총선 역시 주요 야당이 참여하지 못한 가운데 치러졌으며, CPP는 125석 중 120석을 차지하며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38] 선거 직후인 2023년 8월 22일, 훈 센은 38년간의 총리직에서 물러나 아들인 훈 마넷에게 권력을 승계했다. 하지만 훈 센은 CPP 당수직과 국민의회 의원직을 유지하며 여전히 막후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39] 2024년 2월 25일에 실시된 상원 선거에서도 CPP는 58석 중 55석을 획득하며 압승했고, 훈 센은 상원 의장으로 선출되어 권력 기반을 더욱 다졌다.[40]
CPP 집권 하에 캄보디아 경제는 성장하여 2016년에는 저소득 중간 소득 국가로 분류되었다. CPP는 2030년까지 중상위 소득 국가, 2050년까지 고소득 국가로 발전시킨다는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이념적으로 CPP 지도부는 사회주의에서 벗어나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사이의 중도 노선을 추구하며, 사회적 시장 경제, 사회 및 환경 보호, 불교적 인본주의 등을 강조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존 시오르치아리와 같은 학자들은 CPP가 여전히 공산주의 시대의 당 조직 구조를 유지하고 있으며, 고위 간부 대부분이 과거 인민혁명당(KPRP) 출신이라는 점을 지적한다. 또한 라덱 부벤 등 일부 정치학자들은 훈 센 하의 CPP를 권위주의적 좌익 정당으로 분류하며, 과거 극좌 혁명 조직에서 개혁적인 통치 형태로 전환했지만 여전히 베트남 공산당과의 긴밀한 관계 유지, 사회주의적 수사와 정책(성평등 촉진 등), 조직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고 분석한다.[9][10][22][15][23][24]
=== 역대 국민의회 선거 결과 ===
선거 연도 | 총 의석 수 | 획득 의석 수 | 득표율 |
---|---|---|---|
1993년 | 120 | 51 | 38.23% |
1998년 | 123 | 64 | 41.4% |
2003년 | 123 | 73 | 47.35% |
2008년 | 123 | 90 | 58.11% |
2013년 | 123 | 68 | 49.36% |
2018년 | 125 | 125 | 76.85% |
2023년 | 125 | 120 | 82.30% |
1979년 크메르 루주 정권 붕괴 후 캄푸치아 인민공화국이 수립되고 캄푸치아 인민혁명당(KPRP)이 '재건'되면서 새로운 지도부가 구성되었다. 1979년 1월 5일 펜 소반이 초대 서기장으로 취임했으며[9], 헹 삼린은 혁명평의회(이후 국무원) 의장(1979–1992)을, 체아 심은 내무부 장관(1979–1981)을, 훈 센은 외무부 장관(1979–1986; 1987–1990)을 맡았다.
캄보디아 인민당은 캄보디아의 주요 선거인 국민의회 선거, 상원 선거, 코뮌 선거에 참여하고 있다. 1993년 첫 총선 이후 꾸준히 의석을 확보했으며, 1998년부터는 국민의회 제1당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2018년 이후로는 국민의회와 상원에서 절대다수 의석을 차지하며 압도적인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25] 코뮌 선거에서도 지속적으로 우위를 점하며 지방 권력 기반을 다지고 있다. 자세한 선거 결과는 하위 문단을 참고할 수 있다.
3. 당 지도부 (1979년 ~ 현재)
1981년 말, 펜 소반이 실각하면서 헹 삼린이 서기장(1981–1991)과 국가원수직을 겸임하게 되었다. 체아 심은 국회의장(1981–1992)으로 자리를 옮겼다. 이 시기 훈 센은 부총리(1981–1985)를 거쳐 1985년부터 총리직(1985-2023)을 맡으며 당내 영향력을 확대했다. 다른 주요 인물로는 찬 시(국방장관 1981–1982, 총리 1981–1984), 사이 프타(국무원 부의장 1979–1993), 체아 소트(기획부 장관 1982–1986, 부총리 1982–1992), 부 탕(부총리 1982–1992, 국방장관 1982–1986) 등이 활동했다.
1991년 10월, 당은 임시 전당대회를 통해 당명을 캄보디아 인민당(CPP)으로 변경하고 마르크스-레닌주의를 포기했으며, 다당제를 채택했다. 이와 함께 지도부 체제도 개편되어, 헹 삼린이 서기장직에서 물러나고 체아 심이 당 주석, 훈 센이 부주석으로 선출되었다.
체아 심은 2015년 6월 8일 사망할 때까지 당 주석직을 유지했으며, 이후 훈 센이 2015년 6월 20일 당 주석으로 취임하여 현재까지 당을 이끌고 있다. 훈 센 주석 체제 하에서는 사 켄, 사이 춤, 멘 삼 안, 티아 반, 훈 마넷 등이 부주석을 역임했다. 헹 삼린은 이후 2006년부터 2023년까지 국회의장을 지냈다.
1990년 당시 정치국 위원으로는 헹 삼린(총비서), 체아 심, 훈 센, 체아 소트, 마트 리, 티아 반, 멘 삼 안, 응온 넬, 사 켄, 부 탕, 네이 페나, 사이 춤이 있었으며, 후보위원으로는 싱 송, 심 카, 폴 사로은이 있었다. 서기국 위원은 헹 삼린, 사이 푸탕, 부 탕, 멘 삼 안, 사 켄이었다. 이 외에도 콩 코름(외무장관 1986–1987), 호르 냠홍(외무장관 1990–1993) 등이 주요 직책을 거쳤다.
주요 당 지도자 및 임기는 다음과 같다.번호 초상화 이름
(생년-사년)임기 주요 직책 부주석 시작 종료 2 style="background-color:red"| style="text-align:center"| 펜 소반
ប៉ែន សុវណ្ណ|펜 소반km
(1936–2016)1979년 1월 5일 1981년 12월 5일 캄보디아 국방부 장관 (1979–1981)
총리 (1981)― 3 style="background-color:red"| 헹 삼린
ហេង សំរិន|헹 삼린km
(1934년생)1981년 12월 5일 1991년 10월 17일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인민혁명평의회 의장 (1979–1981)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국가평의회 의장 (1981–1992)
캄보디아 국회 의장 (2006–2023)― 4 style="background-color:#1E90FF"| 체아 심
ជា ស៊ីម|체아 심km
(1932–2015)1991년 10월 17일 2015년 6월 8일 캄보디아 국회 의장 (1981–1993)
캄보디아 국가평의회 의장 (1992–1993)
캄보디아 상원 의장 (1999–2015)훈 센 5 style="background-color:#1E90FF" rowspan="5"| 훈 센
ហ៊ុន សែន|훈 센km
(1952년생)2015년 6월 20일 현재 캄보디아 외교국제협력부 장관 (1979–1986, 1988–1990)
총리 (1985–2023)
캄보디아 상원 의장 (2024–)사 켄 사이 춤 멘 삼 안 티아 반 훈 마넷
4. 이념
1991년 10월 임시 전당대회에서 당명을 '''캄보디아 인민당'''(CPP)으로 변경하고 다당제를 채택하면서 공식적으로 마르크스-레닌주의를 포기했다. 사회주의에 뿌리를 두고 있음에도, 당은 권력 유지를 위해 실용적인 노선을 취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념적으로 CPP 고위 지도자들은 당이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사이의 중도적 길을 제시하는 중도 노선을 표방한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사회적 시장 경제의 가치와 원칙, 사회 및 환경 보호, 그리고 불교적 인본주의를 강조한다.[9]
그러나 비판적인 시각에서는 CPP가 여전히 공산주의 시대의 당 구조를 유지하고 있으며, 최고위급 구성원 대부분이 과거 캄푸치아 인민혁명당(KPRP) 출신이라는 점을 지적한다. 정치학자 라덱 부벤 등은 훈 센 하의 CPP를 좌익으로 분류하며, 권위주의적 통치 방식과 과거 극좌 혁명 조직에서 개혁적인 통치 형태로 전환했다는 점에서 니카라과의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과 비교하기도 한다.[9] 도이체벨레[10] 와 그린 레프트[22] 역시 CPP를 좌익으로 묘사한 바 있다.
또한 스레이니스 텐과 같은 학자는 CPP가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념에 기반한 공산주의의 유산을 내재화"했으며, 성평등주의를 촉진하고 캄푸치아 혁명 여성 협회와 같은 국가 지원 단체를 설립하는 등 사회주의적 수사와 정책을 일부 유지하며 정당성을 확보한다고 분석한다.[15] 실제로 CPP는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회의를 주최하고, 베트남 공산당과 긴밀한 동맹 관계를 유지하며, 당원 상당수가 전직 공산주의자이다.[23] 당의 조직 구조 역시 사회주의 정당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는 평가가 있다.[24]
5. 선거 결과
5. 1. 총선
캄보디아 인민당(CPP)은 1993년 유엔 주도의 첫 총선 이후 꾸준히 국회의원 선거에 참여해왔다. 1997년에는 쿠데타를 통해 당시 연립정부 파트너이자 경쟁 세력이었던 푼신펙의 노로돔 라나릿 제1총리를 축출하고 권력을 공고히 했다.[25] 이 과정에서 최소 32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1998년 선거에서는 총 122석 중 64석을 얻어 처음으로 원내 1당이 되었으며, 2003년 선거에서는 73석, 2008년 선거에서는 90석을 확보하며 과반수를 크게 넘는 의석을 차지했다. 특히 2008년 선거에서는 58%가 넘는 득표율을 기록하며 압승했다. 그러나 2013년 선거에서는 야당인 캄보디아 구국당(CNRP)의 약진으로 이전 선거 대비 22석을 잃어 68석을 얻는 데 그쳤다.
2018년 선거에서는 국회 의석 125석 전부를 차지하는 전례 없는 결과를 얻었다. 하지만 이는 주요 경쟁 야당이었던 캄보디아 구국당(CNRP)이 선거 직전 대법원에 의해 강제로 해산된 상태에서 치러진 선거였다.[25] 2023년 선거에서도 CPP는 125석 중 120석을 확보하며 사실상 일당 독주 체제를 이어갔다.
=== 역대 국민의회 선거 결과 ===
선거 연도 | 획득 의석 수 | 득표율 (%) |
---|---|---|
1993년 | 51석 | 38.23% |
1998년 | 64석 | 41.4% |
2003년 | 73석 | 47.35% |
2008년 | 90석 | 58.11% |
2013년 | 68석 | 48.83% |
2018년 | 125석 | 76.85% |
2023년 | 120석 | 82.30% |
5. 2. 코뮌 선거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코뮌 선거'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5. 3. 상원 선거
년도 | 후보자 | 득표수 | 의석 수 | 순위 | |||
---|---|---|---|---|---|---|---|
# | % | ± | # | ± | |||
2006 | 체아 심 | 7,854 | 69.2% | — | 45 | +14 | 1위 |
2012 | 8,880 | 77.8% | +8.6%p | 46 | +1 | 1위 | |
2018 | 사이 춤 | 11,202 | 95.9% | +18.1%p | 58 | +12 | 1위 |
2024 | 훈센 | 10,052 | 85.9% | -10.0%p | 55 | -3 | 1위 |
참조
[1]
뉴스
DPMs Tea Banh and Men Sam An elected as VPs of ruling party
https://www.khmertim[...]
2021-12-24
[2]
뉴스
CPP set to mark anniversary, vows to maintain public trust
https://www.phnompen[...]
2019-06-26
[3]
서적
Entrepreneurship in the Polis
https://books.google[...]
Routledge
[4]
웹사이트
What lies ahead for Cambodia after its next election?
https://eastasiaforu[...]
2018-07-20
[5]
뉴스
40 Years After the Fall of the Khmer Rouge, Cambodia Still Grapples With Pol Pot's Brutal Legacy
https://time.com/548[...]
2019-12-07
[6]
뉴스
Cambodian government criminalizes insult of monarchy
https://www.reuters.[...]
2019-06-21
[7]
뉴스
Hun Sen, Former Opposition Leader in Row Over 'Loyalty to Royals'
https://www.voacambo[...]
2019-06-21
[8]
간행물
The Cambodian People's Party: Where Has It Come From, Where Is It Going?
https://www.proquest[...]
1994-01-01
[9]
간행물
The Return of Sultanism and Political Repression in Nicaragua
https://www.scielo.c[...]
SciELO
[10]
웹사이트
Unified opposition
https://www.dw.com/e[...]
2012-08-09
[11]
웹사이트
New $30M CPP Headquarters Inaugurated
https://cambodianess[...]
2024-05-30
[12]
웹사이트
Cambodian PM elected as ruling party's vice president
https://english.news[...]
Xinhua
2024-01-16
[13]
뉴스
Ministry: Councillors to be appointed by next Monday
https://www.phnompen[...]
2019-06-17
[14]
간행물
Political Party Development in Post-War Societie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Parties and Party Systems in El Salvador and Cambodia
https://core.ac.uk/d[...]
University of Warwick
[15]
서적
Cambodia: Women's Legislative Representation 1993-2013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16]
간행물
Revising the Past in Democratic Kampuchea: When Was the Birthday of the Party?
1983
[17]
서적
The Handbook of Contemporary Cambodia
Routledge
[18]
웹사이트
In Cambodia, A Close Friendship With The PM Leads To Vast Wealth For One Power Couple
https://www.forbes.c[...]
2014-10-28
[19]
서적
Political Transition in Cambodia 1991–99: Power, Elitism and Democrac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7-09-12
[20]
간행물
External actors and the relative autonomy of the ruling elite in post-UNTAC Cambodia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4-09-12
[21]
서적
The Political Economy of Southeast Asia Politics and Uneven Development Under Hyperglobalisation
https://www.google.c[...]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4-09-12
[22]
웹사이트
Afghanistan: A new colonialism?
https://www.greenlef[...]
2001-11-07
[23]
간행물
Social Democratic Parties in Southeast Asia - Chances and Limits
https://library.fes.[...]
2009-01
[24]
간행물
Transitions of Cambodia: War and Peace, 1954 to the present
https://researchport[...]
Institute for Development and Peace (INEF)
2008-10
[25]
뉴스
Cambodian electoral clean-sweep – DW – 08/15/2018
https://www.dw.com/e[...]
[26]
웹사이트
Report on the Commune Council Elections – 3 February 2002
https://docs.google.[...]
Committee for Free and Fair Elections in Cambodia (COMFREL)
2018-09-04
[27]
웹사이트
Final Assessment and Report on 2007 Commune Council Elections
https://docs.google.[...]
Committee for Free and Fair Elections in Cambodia (COMFREL)
2018-09-04
[28]
웹사이트
Final Assessment and Report on 2012 Commune Council Elections
https://docs.google.[...]
Committee for Free and Fair Elections in Cambodia (COMFREL)
2018-09-04
[29]
웹사이트
Final Assessment and Report on 2017 Commune Council Elections
https://docs.google.[...]
Committee for Free and Fair Elections in Cambodia (COMFREL)
2018-09-04
[30]
웹사이트
Provisional Results Give Cambodian Ruling Party Victory in Local Elections
https://thediplomat.[...]
2022-06-10
[31]
웹사이트
カンボジア人民党
https://kotobank.jp/[...]
2018-12-24
[32]
웹사이트
Cambodia changes political rules in 'triumph of dictatorship', critics say
http://www.abc.net.a[...]
2017-03-03
[33]
간행물
Elections Without Democracy: Thinking About Hybrid Regimes
http://web.pdx.edu/~[...]
2018-12-24
[34]
간행물
Cambodia: Getting Away with Authoritarianism?
http://www.polis.lee[...]
2018-12-24
[35]
간행물
Consolidation in the Midst of Crisis
http://researchrepos[...]
2018-12-24
[36]
웹사이트
カンボジア人民党
https://kotobank.jp/[...]
2018-12-24
[37]
웹사이트
គណបក្ស, ប្រជាជន, កម្ពុជា
https://en.wiktionar[...]
[38]
뉴스
カンボジア総選挙 フン・セン首相率いる与党が圧勝の見通し
https://www3.nhk.or.[...]
2023-07-24
[39]
웹사이트
カンボジア首相退任、発展と独裁の38年 在任「世界最長」続く院政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23-07-27
[40]
뉴스
Cambodia’s ruling party wins 55 of 58 seats in rubber-stamp Senate
https://www.rfa.org/[...]
2024-02-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