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차카 시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캄차카 시간은 러시아의 시간대 중 하나로, 캄차카 지방과 추코트카 자치구에 적용된다. 2010년 일광 절약 시간제 시행과 러시아의 시간대 통합 정책에 따라 마가단 시간에 통합되었다가, 주민들의 반발로 2014년 부활했다. 부활 이후 캄차카 시간은 UTC+12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캄차카 변경주 - 이텔멘족
이텔멘족은 러시아 캄차카 반도에 거주하는 원주민 부족으로, 코사크 정복 이후 인구 감소와 문화적 동화 과정을 겪었으나 전통적인 생활 방식과 문화를 유지하며 문화 부흥 운동을 펼치고 있고, 유전적으로 특정 하플로그룹과 연관되어 있다. - 캄차카 변경주 - 알류트족
알류트족은 알류샨 열도, 슈마긴 제도, 알래스카 반도의 극서부 지역에 거주하며 '우낭안' 또는 '우낭아스'라고 불리는 원주민으로, 해양 사냥 기술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켜왔으나 외부 세력과의 접촉으로 고난을 겪었고 현재는 고유 언어와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러시아의 시간 - 이르쿠츠크 시간
- 러시아의 시간 - 칼리닌그라드 시간
칼리닌그라드 시간은 모스크바 시간보다 1시간 느리고 협정 세계시보다 2시간 빠른 UTC+2 시간대이며, 러시아 칼리닌그라드주에서 사용된다. - 시간대 - 남아프리카 표준시
남아프리카 표준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레소토, 에스와티니에서 사용되며, 서머타임을 실시하지 않고 중앙아프리카 시간과 동일하다. - 시간대 - 한국 표준시
한국 표준시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사용되는 표준 시간으로, 동경 135도(UTC+09:00)를 기준으로 하며, 과거에는 변경된 역사가 있고 일광 절약 시간제(서머타임)가 시행되기도 했다.
캄차카 시간 | |
---|---|
일반 정보 | |
시간대 이름 | 캄차카 시간 |
협정 세계시 오프셋 | UTC+12 |
현재 시간 | 2023년 10월 26일 (목) 16:58 UTC+12 |
지역 | 캄차카 지방 |
기타 지역 | 축치 자치구 코마크 자치구 북부 |
상세 정보 | |
일광 절약 시간제 | 폐지됨 (2011년 3월 27일) |
IANA 시간대 데이터베이스 | Asia/Anadyr Asia/Kamchatka |
2. 역사
이전에는 동절기에 UTC+12, 하절기(PETST)에 UTC+13을 사용했다.
2010년 3월 28일 일광 절약 시간제 실시 때 캄차카 지방과 축치 자치구는 마가단 시간에 흡수되었으나, 다른 지역과 달리 시간을 당기지 않았다(UTC+12).[1] 그해 10월 31일 일광 절약 시간제가 해제되면서 UTC+11을 사용했고,[1] 이듬해 3월 27일부터 하절기 시간 고정제가 시행되면서 UTC+12로 고정되었다.[1]
2010년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정부는 시간대 통합 정책의 일환으로 캄차카 시간을 폐지하고 마가단 시간에 통합시켰다.[2] 그러나 캄차카 지역 주민들은 겨울철 일조 시간 감소, 전기료 증가, 교통사고 및 범죄 증가, 수면 부족 등의 이유로 반발했고,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에서 시위가 일어나기도 했다.[3]
2014년 7월 22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표준시를 동계 시간으로 되돌리는 법안에 서명했고,[4] 그해 10월 26일 러시아 시간대 변경으로 사마라 시간과 함께 캄차카 시간이 부활했다.
2. 1. 2010년 이전
이전에는 동절기에 UTC+12, 하절기(PETST)에 UTC+13을 사용했다.2010년 3월 28일에 일광 절약 시간제가 실시될 때 캄차카 지방과 축치 자치구는 효율성 문제로 마가단 시간에 흡수되면서 다른 지역과 달리 시간을 당기지 않았다(UTC+12).[1] 같은 해 10월 31일에 일광 절약 시간제가 해제되면서 UTC+11을 사용했다.[1] 이듬해 3월 27일부터 하절기 시간 고정제가 시행되면서 UTC+12로 고정되었다.[1]
2. 2. 2010년 시간대 통합과 주민 반발
2010년 3월 28일 하계 시간(서머타임) 시행과 동시에 캄차카 시간은 폐지되어 마가단 시간에 통합되었다. 이는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정권의 국내 시간대 통합 정책("시간 개혁")의 일환이었다.[2] 기존 캄차카 시간을 적용하던 지역에서는 시계가 기존보다 1시간 느리게 가게 되었다(평상시 UTC+11, 하계 시간에는 UTC+12). 2011년에는 기존 하계 시간이 연중 적용되어 결과적으로 기존 캄차카 시간 지역에서는 2010년까지의 표준시("동계 시간")와 동일하게 되었다.이러한 정부 정책에 대해 해당 지역 주민들은 "특히 겨울철에는 어린이들의 수업 시간 중에 해가 지고", "밤이 길어져 전기료가 증가하고 교통사고와 범죄가 증가하며", "해가 일찍 떠서 편히 잠을 잘 수 없다"는 등의 이유로 반발했고, 캄차카 지방의 주도인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에서는 시위가 발생하여 러시아 외신에서도 보도되었다.[3]
국민들의 불만을 받아들여 2014년 7월 22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표준시를 동계 시간으로 되돌리는 법안에 서명함에 따라,[4] 같은 해 10월 26일부터 러시아의 시간대 변경이 이루어져 사마라 시간과 함께 캄차카 시간이 부활했다.
2. 3. 2014년 시간대 부활
이전에는 동절기에 UTC+12영어, 하절기(PETST)에 UTC+13영어를 사용했다.2010년 3월 28일에 일광 절약 시간제가 실시될 때 두 지역은 효율성 문제로 마가단 시간에 흡수되면서 다른 지역과 달리 시간을 당기지 않았다(UTC+12영어).[2] 같은 해 10월 31일에 일광 절약 시간제가 해제되면서 UTC+11영어을 사용했다. 이듬해 3월 27일부터 하절기 시간 고정제가 시행되면서 UTC+12영어로 고정되었다.
이러한 정부 정책에 대해 해당 지역 주민들은 "특히 겨울철에는 어린이들의 수업 시간 중에 해가 지고", "밤이 길어져 전기료가 증가하고 교통사고와 범죄가 증가하며", "해가 일찍 떠서 편히 잠을 잘 수 없다"는 이유로 반발했고,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에서는 시위가 발생하여 러시아 외신에서도 보도되었다.[3]
국민들의 불만을 받아들여 2014년 7월 22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표준시를 동계 시간으로 되돌리는 법안에 서명했다.[4] 같은 해 10월 26일부터 러시아의 시간대 변경이 이루어져 사마라 시간과 함께 캄차카 시간이 부활했다.
3. 적용 지역
- 캄차카 지방
- 추코트카 자치구
캄차카 시간은 러시아 연방 지도에서 가장 동쪽에 있는 2개 구역으로, 캄차카 지방과 추코트카 자치구에 적용된다.
4. 같이 보기
- 러시아 시간
참조
[1]
웹사이트
Постановление Правительств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от 19 марта 2010 г. N 171 г. Москва «О применении на территории Камчатского края и Чукотского автономного округа времени десятого часового пояса»
http://www.rg.ru/201[...]
[2]
문서
러시아 시간대 개혁
[3]
블로그
러시아 진행 중인 "시간 개혁"
https://web.archive.[...]
NHK解説委員室ブログ
2011-02-28
[4]
뉴스
러시아, 연중 "겨울 시간"으로 10월부터 일본과 6시간 차이
https://web.archive.[...]
산케이 뉴스
2014-1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