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니어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캐니어닝은 흐르는 물이 있는 산악 협곡을 탐험하는 활동으로, 래펠링, 등반, 수영 등을 포함한다. 1870년대 유럽에서 시작되어, 웨트슈트와 무선 해머 드릴의 발달로 대중화되었다. 캐니어닝은 전 세계적으로 이루어지며, 아시아, 유럽, 북미, 오세아니아, 아프리카 등 다양한 지역에서 즐길 수 있다. 샤워 클라이밍과 혼동될 수 있지만, 하강을 주로 하는 스포츠이며, 위험 요소로는 돌발 홍수, 저체온증, 낙석 등이 있다. 캐니어닝 기술을 배우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존재하며, 국제 캐니어닝 위원회(CIC) 등 여러 기관에서 자격증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캐니어닝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다른 이름 | 협곡 탐험 계곡 타기 협곡 등반 |
활동 유형 | 아웃도어 스포츠 |
기술 | |
사용 기술 | 등반 수영 래펠 점프 |
환경 | |
활동 장소 | 협곡, 계곡 |
위험 요소 | 급류 폭포 미끄러운 바위 추락 |
장비 | |
개인 장비 | 헬멧 하네스 래펠 장비 로프 잠수복 구명조끼 특수 신발 |
기타 | |
활동 장소 예시 | 스위스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미국 일본 네팔 코스타리카 필리핀 캐나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
안전 주의 사항 | 충분한 훈련 및 경험 필요 항상 안전 장비 착용 기상 상황 확인 전문 가이드 동반 권장 |
2. 역사
등반, 래펠, 카누, 수영, 다이빙과 같은 특별한 요소를 사용하지 않는 계곡 놀이도 캐니어닝(캐니어니어링)이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본래의 캐니어닝(캐니어니어링)은 더욱 고도의 하강 기술(래펠, 로프워크, 앵커링, 등반)이나 고난도 다이빙, 수영 기술 등을 활용하여 협곡 내부에 있는 일반적으로 접근할 수 없는 지역으로 들어가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일반적으로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장소에 들어가기 때문에, 지도와 나침반을 사용한 내비게이션 기술 및 기타 야외 활동 기술이 필요하다.
캐니어닝 발상지로 여겨지는 유럽[18]에서는 백컨트리처럼 레저로 개인적으로 협곡에 들어가는 사람도 있지만, 국내에서는 상업화(액티비티화)된 캐니어닝 투어가 주류이다.
2. 1. 세계
1870년대 유럽(주로 남프랑스 피레네 산맥 주변)에서 현재 캐니어닝의 기원이라고 할 수 있는 활동이 이루어졌다.[18]1930년대 클로로프렌 고무가 생산되기 시작했고, 1960년대부터 레저용 웨트슈트가 일반화되면서 활동 가능한 지역이 늘어났다.
1980년대 무선 해머 드릴의 보급으로 앵커링이 용이해지고 가이드북이 편찬됨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캐니어닝을 즐기게 되었다.
1999년 여름 스위스에서 캐니어닝 중 21명이 사망하는 사고[19]가 발생했는데, 아이러니하게도 이 무렵부터 캐니어닝의 인지도가 높아졌다.
2. 2. 한국
Canyoning영어이 한국에 도입된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일본에는 1998년 뉴질랜드인 마이크 해리스(주식회사 캐니온즈(canyons.jp))에 의해 캐니어닝이 시작되었고, 군마현 미나카미정을 중심으로 점차 전국 각지로 확산되었다.[20] 2010년에는 '가이아의 밤새'에서 캐니어닝이 소개되면서[20] 인기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일본 전국으로 확산되었다.3. 샤워 클라이밍(사와노보리)과의 차이점
액티비티 예약 사이트 등에서는 샤워 클라이밍(사와노보리)과 혼동되는 경우가 많지만, 캐니어닝은 하강을 주로 하는 스포츠이며, 사와노보리를 액티비티화한 샤워 클라이밍과는 기본적으로 목적이 다르다.[1]
하지만 현재 일본에서 일반적인 캐니어닝은 간단한 다이빙이나 슬라이더 등의 요소를 즐기는 액티비티화된 상업 투어가 많으며, 그중에는 샤워 클라이밍(사와노보리)의 요소를 결합하여 캐니어닝이라고 부르는 것도 있다.[1]
4. 전 세계의 캐니어닝
세계 대부분 지역에서 캐니어닝은 흐르는 물이 있는 산악 협곡에서 이루어진다. 캐니어닝 관련 업체가 설립된 국가의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등반, 래펠, 카누, 수영, 다이빙과 같은 특별한 요소를 사용하지 않는 계곡 놀이도 캐니어닝이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본래의 캐니어닝은 더욱 고도의 하강 기술(래펠, 로프워크, 앵커링, 등반)이나 고난도 다이빙, 수영 기술 등을 활용하여 협곡 내부에 있는 일반적으로 접근할 수 없는 지역으로 들어가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일반적으로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장소에 들어가기 때문에, 지도와 나침반을 사용한 내비게이션 기술 및 기타 야외 활동 기술이 필요하다.
캐니어닝 발상지로 여겨지는 유럽[18]에서는 백컨트리처럼 레저로 개인적으로 협곡에 들어가는 사람도 있지만, 한국에서는 상업화(액티비티화)된 캐니어닝 투어가 주류이다.
4. 1. 아시아
네팔은 등산, 트레킹, 캐니어닝, 래프팅, 패러글라이딩, 산악 자전거, 벌꿀 채취 등 다양한 모험 활동을 즐길 수 있어 모험 여행객들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다. 특히 수다리잘(카트만두), 포카라, 젤라비레(치트완) 등에서 캐니어닝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베트남 달랏은 캐니어닝과 래펠링으로 유명하다. 일본에서는 "캐니어닝(キャニオニング)"과 ''사와노보리(沢登り)''가 행해지는데, 사와노보리(沢登り)는 협곡을 올라가는 스포츠이다. 타이완에서는 캐니어닝과 함께 '강 추적(river tracing)'이라는 스포츠가 행해지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강 상류로 이동하는 것을 포함한다. 필리핀에서는 카와산 폭포, 바디안, 세부 등에서 캐니어닝을 즐길 수 있으며, 특히 외국인 여행객들에게 인기가 높다.[20]1998년 뉴질랜드인 마이크 해리스(주식회사 캐니온즈(canyons.jp))에 의해 일본 캐니어닝이 시작되었으며, 군마현 미나카미정을 중심으로 점차 전국 각지로 확산되었다.[20]
2010년 ‘가이아의 밤새’에서 캐니어닝이 소개되면서[20] 인기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전국으로 확산되었다.[20]
4. 2. 유럽
영국에서 캐니어닝은 최근 몇 년 동안 인기를 얻고 있다. 영국에서는 웨일스, 스코틀랜드, 컴브리아, 요크셔 그리고 콘월의 일부 지역이 이 활동의 주요 장소로 인정받고 있다. 웨일스어로 캐니어닝은 "cerdded ceunant"라고 한다. 또한 "협곡 걷기(gorge walking)" 또는 "길 험난하게 오르기(ghyllscrambling)"라고도 불린다.[1] 영국 스카우트 협회는 이를 "협곡을 따라 강바닥을 따라가는 활동으로, 환경에 따라 등반, 수영, 래펠, 그리고 길을 험난하게 오르는 것을 포함한다"고 정의한다.[2]스위스의 티치노는 화강암 암석, 수정처럼 맑은 녹색 수영장, 그리고 쾌적한 지중해성 기후 때문에 인기 있는 캐니어닝 명소이다. 슬로베니아, 이탈리아, 오스트리아에서도 몇몇 훌륭하고 인기 있는 캐니어닝 장소를 찾을 수 있다.
스페인은 따뜻한 기후와 캐니어닝에 적합한 풍부한 암석 지형 덕분에 인기 있는 캐니어닝 장소로 부상했다. 포르투갈은 아조레스 제도와 마데이라에서도 캐니어닝을 즐길 수 있다.
1870년대 유럽(주로 남프랑스 피레네 산맥 주변)에서 현재 캐니어닝의 기원이라고 할 수 있는 활동이 이루어졌다.[18] 1930년대 클로로프렌 고무가 생산되기 시작했고, 1960년대부터 레저용 웨트슈트가 일반화되면서 활동 가능한 지역이 늘어났다. 1980년대 무선 해머 드릴의 보급으로 앵커링이 용이해지고 가이드북이 편찬됨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캐니어닝을 즐기게 되었다. 1999년 여름 스위스에서 캐니어닝 중 21명이 사망하는 사고[19]가 발생했는데, 아이러니하게도 이 무렵부터 캐니어닝의 인지도가 높아졌다.
4. 3. 북미
미국에서는 흐르는 물이 있는 산 협곡을 내려가는 것을 때때로 캐니어닝(canyoning)이라고 부르지만, "캐니어니어링(canyoneering)"이라는 용어가 더 일반적이다. 미국의 대부분의 캐니어니어링은 콜로라도 고원 전역에 걸쳐 발견되는 사암에 새겨진 많은 협곡에서 이루어진다.[3] 콜로라도 고원 이외에도 애리조나, 캘리포니아, 콜로라도, 유타, 태평양 북서부 전역에서 수많은 캐니어니어링 기회를 찾을 수 있다. 샌 가브리엘 산맥, 시에라 네바다 산맥, 캐스케이드 산맥, 로키 산맥에서 협곡을 찾을 수 있다.[4]애리조나에서는 그랜드캐니언 안에 수백 개의 협곡이 있다. 시에라 안차스, 마자찰 산맥, 산타 카탈리나 산맥, 오크 크릭 서쪽 지류, 웨스트 클리어 크릭 야생지역과 같은 여러 산맥과 야생 지역에도 많은 기술적인 협곡이 있다.
4. 4. 오세아니아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블루마운틴 국립공원의 많은 사암 슬롯 협곡에서 캐니어닝이 흔하며, 이곳은 기술적인 래펠 시작과 유속이 빠른 물이 부족한 것으로 유명하다.[5][6]4. 5. 아프리카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아프리칸스어 단어인 'kloof'(협곡 또는 계곡이라는 뜻)에서 유래한 "Kloofing"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이 용어는 주로 남아프리카의 영어 사용자들이 위에 설명된 활동을 가리키는 의미로 채택했다. 이 단어는 캐니어닝과 캐니어니어링과 유사한 의미로 사용된다. 이 단어(와 활동)는 1920년대부터, 아마 그 이전부터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사용되어 왔다.[7]5. 위험 요소
캐니어닝은 협곡 측면으로 탈출이 어려운 경우가 많고, 외진 곳에서는 구조가 수 시간에서 수 일까지 지연될 수 있어 위험할 수 있다.
수량이 많은 협곡에서는 수압, 역류, 여과지 등으로 인해 익사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1993년 미국 자이언 국립공원에서는 청소년 그룹 지도자 두 명이 협곡 수압에 의해 익사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8]
돌발 홍수는 캐니어닝의 주요 위험 요소 중 하나이다. 배수 지역에 많은 비가 내리면 협곡 수위가 급격히 상승하여 급류가 발생할 수 있다. 1999년 스위스 삭세텐바흐 협곡에서는 상업적 캐니어닝 여행 중이던 관광객 21명이 돌발 홍수로 익사했다.[9] 최근 스위스 당국은 안전 기준을 강화하여, "모험 안전" 라벨을 통해 안전 절차 준수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10] 산불 이후에는 적은 강수량에도 돌발 홍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캐니어닝 가이드 그룹에 심각한 영향을 미쳐 사망 사고로 이어지기도 했다.[11]
left]]
열사병과 저체온증 또한 주의해야 할 위험 요소이다. 건조한 사막 협곡에서는 탈수와 열사병을 예방하기 위해 충분한 수분 섭취와 햇볕을 피하는 조치가 필요하다. 물이 있는 협곡에서는 웨트슈트나 드라이슈트를 착용하여 저체온증을 예방해야 하지만, 방수 기능을 잘못 계산하면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2005년 유타주에서는 부적절한 찬물 보호로 인해 대학생 두 명이 익사하는 사고가 발생했다.[12]
"키퍼 포트홀"이라고 불리는 큰 웅덩이는 탈출하기 어려워 위험할 수 있다. 캐니어니어들은 에이드 클라이밍에 사용되는 갈고리나 무게추 달린 가방 등 특수한 장비를 사용하여 포트홀을 탈출한다.
좁은 슬롯 캐니언은 침니링이나 오프와이드 등반 기술을 필요로 할 수 있으며, 실패 시 구조가 어려운 상황에 처할 수 있다.
사암 슬롯 캐니언의 벽은 마모성이 강해 의류와 장비가 찢어지거나 피부에 상처를 입힐 수 있다.
물에 잠기면 렙토스피라증, 피부염, 위장염 등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14]
낙석 또한 협곡에서 흔히 발생하는 위험 요소이며, 2003년에는 아론 럴스턴이 낙석 사고로 팔을 절단해야 했다.[15]
많은 협곡은 외딴 지역에 위치하여 등산로가 제한적이므로, 험준한 환경에서 길을 잃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16]
캐니어닝은 모험 스포츠이므로 항상 위험을 수반한다. 특히 수량이 많은 계곡이나 증수 시에는 역류나 급류로 인해 수난 사고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21]
또한, 캐니어닝 지역은 대형 병원에서 멀리 떨어져 있거나 부상 시 탈출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훈련된 전문가(가이드)와 함께하는 것이 좋지만, 일본에서는 가이드의 신뢰성을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22]
6. 교육 및 훈련
캐니어닝이 스포츠로 성장함에 따라 안전하게 협곡을 하강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배우려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여러 단체에서 다양한 형태의 강좌를 제공하며, 일부는 자격증을 제공하기도 한다.[17]
6. 1. 주요 교육 기관
여러 신뢰할 수 있는 단체들이 다양한 형태의 캐니어닝 강좌를 일반인들에게 제공하고 있다.[17] 일부 단체는 자격증을 제공하는 교육 단체이고, 다른 상업 운영업체들은 레크리에이션 가이드 투어 외에 강좌도 제공한다.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여러 수준의 기술 강좌를 제공하는데, 낮은 수준에서는 래펠링, 로프 작업, 항해, 장비 및 의류 식별, 래펠 설치와 같은 기본 사항을 다룬다. 상위 수준에서는 앵커 구축 및 다양한 유형의 협곡 하강 전략과 같은 복잡한 상황을 다루며, 구조 상황, 야외 응급 처치, 급류 협곡을 다루는 강좌도 있다.전문 캐니어닝 가이드 교육을 위한 기관으로는 전 세계적으로 CIC(국제 캐니어닝 위원회), ICO Pro(국제 캐니어닝 전문가 기구), ICA(국제 캐니어닝 협회), ACA(미국 캐니어닝 협회), CGI(캐니어닝 가이드 국제기구) 등이 있다. 이들 기관은 여러 국가에서 교육 과정을 제공하며, 많은 국가에서 자체적인 인증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데, 이들 중 상당수는 기존 CIC 방법론을 기반으로 한다.
참조
[1]
뉴스
Gorge Scrambling
https://www.theguard[...]
2018-03-14
[2]
웹사이트
Gorge Walking
https://members.scou[...]
2017-08-19
[3]
서적
Technical Slot Canyon Guide to the Colorado Plateau
Kelsey
2008-07-00
[4]
웹사이트
Canyoneering for Beginners: What to Know Before You Go
https://www.seeker.c[...]
2012-07-16
[5]
웹사이트
Overseas visitors
http://ozultimate.co[...]
2018-02-13
[6]
웹사이트
Australia's remote slot canyons
http://www.bbc.com/t[...]
[7]
간행물
1922 Journal of The Mountain Club of South Africa
[8]
웹사이트
Whose fault? A Utah canyon turns deadly
http://www.hcn.org/s[...]
High Country News
2006-07-19
[9]
뉴스
Swiss river disaster: Black wall of water swept down the gorge, crushing everyone in its path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uk
2018-03-14
[10]
뉴스
Adventure sports safer ten years after tragedy
https://www.swissinf[...]
Swissinfo.ch
2018-03-14
[11]
논문
Wildfire-Induced Changes in Flood Risk in Recreational Canyoning Areas: Lessons from the 2017 Jerte Canyons Disaster
2022-00-00
[12]
웹사이트
Trip turns deadly for 2 BYU hikers
http://archive.sltri[...]
Salt Lake Tribune
[13]
웹사이트
Ropes and dish soap free woman wedged in slot canyon for 12 hours
https://www.ksl.com/[...]
KSL.com
2018-03-14
[14]
웹사이트
Water Safety (Waterborne diseases and immersion)
https://members.scou[...]
2017-08-19
[15]
서적
Between a Rock and a Hard Place
Simon and Schuster
2011-02-03
[16]
뉴스
Canyoner's death preventable, expert says
http://www.abc.net.a[...]
ABC
2018-03-14
[17]
서적
Canyoneering: A Guide to Techniques for Wet and Dry Canyons
Falcon Guides
2013-00-00
[18]
서적
Canyoning in New Zealand
[19]
웹사이트
キャニオニング事故から10年
https://www.swissinf[...]
2019-07-23
[20]
웹사이트
渓谷下りで自然を満喫!異色の体験型アドベンチャー
https://www.tv-tokyo[...]
2019-07-29
[21]
웹사이트
愛媛県宇和島市野川の滑床渓谷・雪輪の滝落合淵で「滝つぼから浮かんでこない」と119番通報 - 松山市立城西中学2年・松岡航さん(13)が死亡 - 増水で滝の水流が強く、水深約10mの滝つぼから浮上できなかったとみられる│The Current of the Times (TCT WachDogs) ニュースと情報
http://azarami.blog.[...]
2019-07-23
[22]
웹사이트
名護市ヒラ滝でキャニオニング中に事故
https://www.qab.co.j[...]
2019-07-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