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벌랜드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컴벌랜드 강은 켄터키주에서 시작하여 테네시주를 거쳐 켄터키주에서 오하이오 강과 합류하는 강이다. 켄터키주 할란 카운티에서 세 개의 지류로 시작하여 컴벌랜드 폭포를 지나 여러 댐과 호수를 형성하며 흐른다. 이 강은 역사적으로 쇼니족과 프랑스 상인들에게 중요한 통로였으며, 18세기 탐험가 토마스 워커에 의해 컴벌랜드 강으로 명명되었다. 남북 전쟁 당시 전투가 벌어졌으며, 현대에는 홍수 피해가 발생하기도 했다. 현재 컴벌랜드 강 유역은 국립 경관 하천 및 레크리에이션 지역으로 보호받고 있으며, 댐과 호수를 이용한 수자원 관리와 바지선 교통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테네시주의 강 - 테네시강
테네시 강은 미국 남동부를 흐르는 주요 강으로, 댐과 저수지 건설을 통해 홍수 방지, 수력 발전, 수운, 공업 용수 공급에 기여했으며, 다양한 수생 생물의 서식지이다. - 테네시주의 강 - 미시시피강
미시시피강은 북아메리카 대륙을 관통하며 세계에서 네 번째로 큰 배수 분지를 가지고, 미국 본토 육지 면적의 약 40%를 차지하며, 지리적으로 중요하고 상업 수로로 활용되는 강이다. - 오하이오강의 지류 - 테네시강
테네시 강은 미국 남동부를 흐르는 주요 강으로, 댐과 저수지 건설을 통해 홍수 방지, 수력 발전, 수운, 공업 용수 공급에 기여했으며, 다양한 수생 생물의 서식지이다. - 오하이오강의 지류 - 켄터키강
켄터키강은 켄터키주 동부에서 북포크, 미들포크, 사우스포크 세 지류가 합류하여 시작되어 북서 방향으로 흐르며 동부 석탄 지대와 다니엘 분 국유림을 지나 켄터키강 팔리세이드 협곡을 형성하고, 역사적으로 홍수가 잦았으며 현재는 낚시 명소이다. - 켄터키주의 강 - 미주리강
미주리강은 로키 산맥에서 발원하여 미시시피강과 합류하는 북아메리카의 주요 강으로, 서부 개척 시대 수송로이자 현재는 관개, 수력 발전, 레크리에이션 등에 활용되며 생태계 복원 노력도 진행 중이다. - 켄터키주의 강 - 테네시강
테네시 강은 미국 남동부를 흐르는 주요 강으로, 댐과 저수지 건설을 통해 홍수 방지, 수력 발전, 수운, 공업 용수 공급에 기여했으며, 다양한 수생 생물의 서식지이다.
컴벌랜드강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 | |
위치 | 미국 켄터키주, 테네시주 |
도시 | 바버빌, KY 윌리엄스버그, KY 버크스빌, KY 카르타고, TN 내슈빌, TN 클락스빌, TN 도버, TN |
길이 | 1,107 km |
하구 위치 | 오하이오 강 |
하구 표고 | 92 m |
유역 면적 | 45,916 km² |
발원지 | 포크 강, 클로버 포크 강, 마틴스 포크 강의 합류점 |
발원지 위치 | 켄터키주 할란 |
발원지 표고 | 353 m |
평균 방류량 위치 | 바클리 댐 하류, 하구에서 약 50km 지점 |
평균 방류량 | 1,055 m³/s |
최소 방류량 | 172 m³/s |
최대 방류량 | 5,918 m³/s |
지류 | |
왼쪽 | 마틴스 포크 강 클리어 포크 강 빅 사우스 포크 컴벌랜드 강 오베이 강 캐니 포크 강 스톤스 강 하페스 강 |
오른쪽 | 클로버 포크 강 포어 포크 강 로렐 강 록캐슬 강 레드 강 리틀 강 |
2. 지리
컴벌랜드 강은 켄터키주 할란 카운티에서 시작된다. 강의 발원지는 세 개의 주요 분기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은 배스터에서 합류한다.
- 마틴스 포크: 벨 카운티의 브러시 산(Brush Mountain)에 있는 헨슬리 정착촌 근처에서 발원하여 북쪽으로 흘러 배스터에 이른다.
- 클로버 포크: 버지니아주 경계 근처 홀름스 밀(Holmes Mill)의 블랙 마운틴에서 시작하여 서쪽으로 흘러 할란을 거쳐 배스터에 도달한다. 원래 할란 시내를 통과했으나, 1992년 홍수 방지 프로젝트로 리틀 블랙 산(Little Black Mountain) 아래 터널을 통해 우회하여 배스터에서 마틴스 포크와 합류하게 되었다.
- 푸어 포크: 버지니아주 플랫 갭(Flat Gap) 근처 레처 카운티의 파인 산에서 발원하여 남서쪽으로 흘러 배스터에서 다른 두 포크와 합류한다.

세 분기점이 합류한 후, 강은 컴벌랜드 강이라는 이름으로 켄터키 산맥을 가로질러 서쪽으로 흐르다가 컴벌랜드 폭포를 향해 북쪽으로 방향을 튼다.[5]
컴벌랜드 폭포를 지나면 강은 다시 서쪽으로 방향을 틀고, 여러 지류가 합류하며 강폭이 넓어진다. 북동쪽에서 로렐 강과 락캐슬 강이, 남쪽에서 빅 사우스 포크가 합류한다. 빅 사우스 포크의 계곡은 빅 사우스 포크 국립 경관 하천 및 레크리에이션 지역으로 지정되어 미국 국립공원청에 의해 보호받고 있다. 이후 강은 울프 크릭 댐에 의해 형성된 인공 호수인 컴벌랜드 호수로 흘러 들어간다. 이 호수는 160km(약 160.93km) 이상 뻗어 있으며, 미국 동부에서 가장 큰 인공 호수 중 하나이다.
셀리나 근처에서 강은 남쪽으로 테네시주로 넘어가 오베이 강과 케니 포크와 합류한다. 내슈빌 북동쪽에서는 코델 헐 호수와 올드 히코리 호수가 댐으로 인해 형성되어 있다. 내슈빌 시내를 통과한 후 스톤스 강과 합류하고, 다시 댐으로 막혀 치텀 호수를 형성한다. 이후 강은 북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클락스빌을 지나며 레드 강과 합류한다.
강은 다시 켄터키주로 북쪽으로 흘러 들어가 랜드 비트윈 더 레이크스 국립 휴양지 지역을 지나며 바클리 호수를 형성한다. 최종적으로 컴벌랜드 강은 켄터키주 스미스랜드에서 오하이오 강과 합류하며 여정을 마친다. 컴벌랜드 강은 현재도 바지선 운송 등을 통해 중요한 유통로로 이용되고 있다.
2. 1. 컴벌랜드 폭포
켄터키주 산맥을 가로질러 서쪽으로 흐르던 강은 컴벌랜드 폭포 앞에서 북쪽으로 방향을 튼다. 21m(약 20.73m) 높이의 이 폭포는 미국 남동부에서 가장 큰 폭포 중 하나로[5] "리틀 나이아가라"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 항상 안개가 짙게 끼어 있어 서반구에서 무지개를 볼 수 있는 몇 안 되는 장소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2. 2. 댐과 호수
컴벌랜드 강 본류와 지류에는 여러 개의 댐이 건설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큰 저수지들이 형성되었다. 댐에는 수문이 설치되어 있어 선박의 항해가 가능하다.컴벌랜드 강 본류의 주요 댐과 호수는 상류에서 하류 순서로 다음과 같다.
- 켄터키주 남부의 울프 크릭 댐은 컴벌랜드 호수를 형성한다.
- 테네시주 내슈빌 동쪽에는 올드 히코리 호수가 있다.
- 내슈빌 서쪽에는 치텀 호수가 있다.
- 켄터키주 서부에는 바클리 호수가 있다.
주요 지류에도 댐과 저수지가 건설되었다.
- 켄터키주 남부의 로렐 강에는 로렐 강 댐(Laurel River Dam)에 의해 로렐 리버 호(Laurel River Lake)가 만들어졌다.
- 테네시주의 오베이 강에는 데일 할로우 저수지가 있다.
- 내슈빌의 스톤스 강에는 퍼시 프리스트 호수가 있다.
3. 역사
컴벌랜드 강은 18세기 중반 토마스 워커에 의해 명명되었으며, 그 이전에는 쇼니족 등 미국 원주민에게 "와리오토"(Warioto), 프랑스 상인들에게는 "쇼바논 강"(Shauvanon) 등으로 불렸다.[2] 초기에는 사냥꾼과 정착민들의 중요한 이동 통로였고, 이후 오하이오강과 미시시피강을 잇는 수상 교역로로 발전하여 강 주변으로 도시들이 성장했다. 남북 전쟁 시기에는 강 유역에서 도넬슨 요새 전투를 비롯한 여러 전투가 벌어졌다. 또한, 미국 해군 함정 중에는 이 강을 기려 "컴벌랜드"라는 이름이 붙여진 것도 있다.
3. 1. 초기 정착과 교통
1748년, 버지니아 주 출신의 탐험가이자 측량가인 토마스 워커는 사냥꾼들을 이끌고 버지니아에서 애팔래치아 산맥을 넘었다. 그는 1746년 컬로든 전투로 미국에서도 알려진 컴벌랜드 공작 윌리엄 오거스터스를 기리기 위해 고원 지대에 "컴벌랜드"라는 이름을 붙였다. 워커 일행은 현재의 켄터키로 향하며 컴벌랜드 갭을 통과했고, 이때 컴벌랜드 산맥에서 흘러내리는 강을 발견하여 "컴벌랜드 강"이라고 명명했다. 워커는 1750년 4월 17일 자신의 기록에 "내가 사냥을 위해 계류를 따라 내려갔는데, 이 계류가 우리 캠프에서 약 약 1.61km 떨어진 곳에서 강과 합류하는 것을 발견했다. 나는 이 강을 컴벌랜드 강이라고 명명했다"라고 적었다. 다만, 이 이름이 컴벌랜드 공작을 기리기 위한 것인지, 아니면 영국 컴벌랜드 카운티를 기리기 위한 것인지는 명확하지 않다.[6]워커가 이름을 붙이기 전, 컴벌랜드 강은 이 지역에 살았던 쇼니족 미국 원주민에게는 "와리오토"(Warioto)로 불렸다. 프랑스 상인들은 이와 관련하여 Riviere des Chaouanons|프랑스어 , 즉 "쇼니의 강"이라고 불렀다. 워커의 명명 이후에도 한동안 강은 "쇼니 강"(Shawnee River) 또는 "쇼와노 강"(Shawanoe River)으로 알려졌다.[2]
컴벌랜드 강은 초기에 사냥꾼과 정착민들에게 중요한 이동 통로였다. 이후에는 오하이오강과 미시시피강으로 이어지는 수상 교역로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강을 따라 여러 마을, 읍, 도시가 선착장을 중심으로 발달했으며, 19세기 중반까지 정착민들은 무역과 이동을 위해 이 강에 크게 의존했다.
3. 2. 남북 전쟁
남북 전쟁 시기 컴벌랜드 강 유역에서는 여러 전투가 벌어졌으며, 그중 도넬슨 요새 전투가 유명하다.3. 3. 홍수
최근 역사에서 강이 흐르는 여러 지역에 심각한 홍수가 발생했다. 1977년 4월, 켄터키주 할란과 주변 많은 지역 사회가 홍수로 침수되어 강 유역의 대부분의 주택과 사업체가 파괴되었다. 이 사건으로 홍수 조절을 위한 마틴스 포크 댐 건설과 할란 시 주변의 클로버 포크(Clover Fork) 우회로 건설이 이루어졌다. 또한 강은 켄터키주 로열의 산을 관통하여 우회되었다.2010년 4월 말과 5월 초, 2010년 테네시 홍수로 인해 강이 범람하여 내슈빌과 테네시주 클락스빌을 침수시켰다. 내슈빌 도심 지역에는 대피령이 내려졌다.[7]
대규모 홍수가 2020년 2월 초 켄터키주 파인빌, 켄터키주 바보빌, 켄터키주 윌리엄스버그의 컴벌랜드 강을 따라 발생했다.[8]
4. 현대적 이용
컴벌랜드 강과 그 지류에는 여러 개의 댐이 설치되어 있으며, 큰 저수지가 형성되어 있다. 댐은 수문을 통해 항해가 가능하다. 상류부터 차례대로 켄터키주 남부의 울프 크릭 댐이 형성하는 컴벌랜드 호, 내슈빌 동쪽의 올드 히코리 호, 내슈빌 서쪽의 채텀 호, 켄터키주 서부의 바클리 호가 있다. 지류에는 켄터키주 남부의 로렐 강에 설치된 로렐 호, 테네시주의 오베이 강에 설치된 데일 할로우 저수지, 내슈빌의 스톤스 강에 설치된 퍼시 프리스트 호가 있다.
4. 1. 환경 보호
빅 사우스 포크의 계곡은 빅 사우스 포크 국립 경관 하천 및 레크리에이션 지역으로서 미국 국립공원청에 의해 보호되고 있다.참조
[1]
웹사이트
USGS Gage #03438220 on the Cumberland River near Grand Rivers, KY
http://nwis.waterdat[...]
U.S. Geological Survey
1965–1997
[2]
간행물
[3]
웹사이트
Boundary Descriptions and Names of Regions, Subregions, Accounting Units and Cataloging Units
http://water.usgs.go[...]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4]
웹사이트
National Hydrography Dataset high-resolution flowline data
http://viewer.nation[...]
U.S. Geological Survey
2012-03-29
[5]
웹사이트
Cumberland Falls Moonbow
http://www.2geton.ne[...]
2010-05-29
[6]
서적
The Register of the Kentucky State Historical Society, Volume 1
https://archive.org/[...]
Kentucky State Historical Society
[7]
웹사이트
At least 3 dead in Ky., hundreds of roads flooded
https://www.google.c[...]
2010-05-03
[8]
웹사이트
Major Flooding Inundates Southeast Kentucky Followed by Light Snow From February 6-7, 2020
https://www.weather.[...]
2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