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코벨 아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벨 아치는 고대 이집트와 칼데아에서 처음 사용된 건축 기술로, 돌이나 벽돌을 겹쳐 쌓아 만드는 아치 형태이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메이둠 피라미드, 붉은 피라미드 등에서 사용되었으며, 고대 근동 및 지중해 지역에서도 널리 발견된다. 특히 히타이트, 미케네, 마야 문명에서 발전했고, 아일랜드, 인도,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등 다양한 지역에서 건축 양식으로 활용되었다.

2. 역사적 배경

코벨 아치는 고대 이집트칼데아에서 처음 사용된 건축 기술이다.[1] 지보 아치는 양쪽 벽 끝에서 돌을 점차 튀어나오게 쌓아 올려 아치 꼭대기에서 만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때 꼭대기에는 평평한 돌을 놓아 양쪽을 연결한다. 지보 볼트는 이 기법을 3차원적으로 확장한 것이다.

지주와 수평 부재를 사용한 구조보다 하중 지지 효율은 높지만, 완전한 자립 구조는 아니어서 '유사 아치'(false arch)라고도 불린다. 진짜 아치와 달리 상부 구조물의 무게로 인한 인장 응력이 모두 압축 응력으로 바뀌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코벨 아치나 볼트는 중력을 견디기 위해 두꺼운 벽과 버트레스가 필요하며, 그렇지 않으면 아치 양쪽이 안으로 무너지기 쉽다.

코벨 아치는 콜럼버스 이전 메소아메리카 건축, 특히 마야 문명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고전기 초기(서기 250년경)에는 코벨 볼트가 마야 중심지인 페텐 저지대에서 거의 보편적인 건축 양식이 되었다.[11]

고대 미케네 유적에는 코벨 아치와 볼트가 많이 사용되었는데, 아테네의 보물 창고가 대표적인 예이다. 아르카디코 다리는 코벨 아치를 사용한 다리 중 현재도 사용되는 가장 오래된 다리 중 하나이다.

뉴그레인지의 지석묘는 묘실 지붕을 코벨 아치로 지지하는 구조로, 기원전 3000년경에 만들어졌다.

무굴 제국 이전 인도에서는 수평 부재 방식이나 코벨 아치가 주류를 이루었다. 뉴델리의 술탄 가리는 1231년에 코벨 아치를 사용해 만든 묘이다.

9세기부터 12세기까지 지어진 앙코르 유적의 사원들은 모두 코벨 아치를 사용하고 있다.

우가리트 궁전 입구


아테네 보물창고

2. 1. 고대 이집트

코벨 아치는 고대 이집트인과 칼데아인들이 처음 사용한 기술이다.[1] 이집트 제4왕조의 파라오 스네프루 (기원전 2600년경) 치세 동안, 고대 이집트피라미드는 일부 챔버에서 코벨 아치를 사용했다. 이러한 기념물에는 메이둠 피라미드 (기원전 2600년경), 굴절 피라미드 (기원전 2600년경)와 그 부속 피라미드, 그리고 붉은 피라미드 (기원전 2590년경)가 포함된다. 기자의 대피라미드 (기원전 2580–2560년경)는 그랜드 갤러리에서 코벨 아치를 사용한다. 이집트인들은 초기에 진정한 아치의 원리를 발견했지만, 많은 건물에서 코벨 아치를 계속 사용했으며, 때로는 같은 건물 내에서 두 가지를 혼합하기도 했다. 특히 이들은 사원이 건설되는 한, 직선 상인방이 있는 직사각형 개구부를 선호하면서, 사원에서는 진정한 아치를 피했다.

2. 2. 고대 근동 및 지중해

코벨 아치와 볼트는 고대 지중해 주변 여러 곳에서 발견된다. 특히, 바닥 아래에 건설된 코벨 무덤 볼트는 중기 청동기 II-III 시대의 에블라(시리아), 텔 엘-아줄, 하조르, 메기도, 타아나크(오늘날의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에서 발견된다.[3] -- 고대 북부 시리아의 항구 도시인 우가리트에도 코벨 구조물이 있다.

2. 2. 1. 히타이트 (아나톨리아)

하투사(아나톨리아, 터키)에서 발견된 후기 청동기 시대 히타이트 제국의 상형 문자가 새겨진 코벨식 챔버


고대 아나톨리아의 히타이트인들은 코벨식 아치를 건설했다. 가장 초기의 코벨식 아치는 기원전 16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히타이트와 미케네 문명의 건축 기술 사이에는 몇 가지 유사점이 발견되지만, 히타이트의 코벨식 아치가 약 300년 더 앞선다.[4]

2. 2. 2. 고대 그리스 (미케네, 고전, 헬레니즘)



그리스에는 미케네 그리스와 미노아 문명, 후기 고전 그리스, 헬레니즘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코벨 아치와 볼트가 많이 남아있거나 고고학적으로 연구되었다.[5]

고대 미케네의 유적에는 많은 코벨 아치와 볼트가 있으며, 기원전 1250년경에 건설된 아테우스 보물창고가 대표적인 예이다. 아르카디코 다리는 그리스 펠로폰네소스의 티린스와 에피다우로스 사이의 전차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이전 도로 네트워크의 일부인 4개의 미케네 코벨 아치 다리 중 하나이다. 그리스 청동기 시대 (기원전 13세기)에 건설된 이 다리는 현존하며 사용되고 있는 가장 오래된 아치교 중 하나이다.

크레테에 있는 보존 상태가 좋은 헬레니즘 시대의 엘레우르나 다리는 거의 4m에 달하는 이례적으로 큰 경간을 가지고 있다.[6] 19세기 후반까지 살아남은 근처의 두 번째 다리는 후기 고전 시대로 추정된다.[6]

2. 3. 아일랜드

뉴그레인지는 기원전 3200년에서 2500년 사이에 건설된 신석기 시대 통로 무덤으로, 주 묘실 지붕을 지탱하는 온전한 코벨 아치(볼트)를 가지고 있다.[1] 뉴그레인지의 지석묘는 묘실 지붕을 내밀기 아치로 지지하는 구조이며, 기원전 30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3]

스켈리그 마이클에 있는 중세 시대 수도원 건물 또한 이 방식을 사용하여 건축되었다.[2]

2. 4. 마야 문명

코벨 아치는 선 콜럼비아 메소아메리카 건축, 특히 마야 문명에서 두드러지는 특징이다. 마야 건축에서 입구와 아치를 만들기 위해 사용된 이 방식은 많은 마야 유적지에서 나타나며, 형성기 또는 선고전기 시대부터의 구조물에서 알려져 있다. 고전기 초(기원후 250년경)에는 코벨 아치가 중앙 페텐 분지 지역의 중앙 마야 저지대에서 건축의 거의 보편적인 특징이 되었다.[7]

2. 5. 인도

인도-이슬람 건축에 진정한 아치가 도입되기 전에는 인도 건물에 있는 거의 모든 아치가 트라베이트 또는 코벨 아치였다. 오리사주 북인도에서 부바네스와르의 후기 사원은 코벨 볼팅의 원칙에 따라 건설되었으며, 이는 무크테스와르 사원(기원후 950년경 북인도 건축을 대표하는 사원이라고 함)의 현관에서 처음으로 보인다.[8]

1206년 무슬림 침략 이후 설립된 델리 술탄국의 가장 초기의 대형 건물은 힌두 사원 건축에 익숙한 인도인 노동자를 사용했지만, 후원자들은 진정한 아치를 많이 사용한 중앙 아시아 스타일에 익숙했다. 코벨 아치는 1193년에 시작된 델리의 쿠와트-울-이슬람 사원과 1229년경 라자스탄의 아즈메르에 있는 아다이 딘 카 존프라 사원의 거대한 스크린에서 예외적인 크기로 사용되었다. 이것들은 페르시아와 중앙 아시아에서 차용된 이슬람 건축의 예이며, 건축업자들은 인도 건축업자들이 익숙했던 코벨 아치를 고수하면서 진정한 아치에 익숙해졌다.[9]

1206년 델리 술탄국이 시작된 후 진정한 아치가 나타나기까지 거의 한 세기가 걸렸다. 1300년경에는 아치석을 사용한 진정한 돔과 아치가 건설되었으며, 델리의 쿠트브 단지에 있는 발반의 묘 (1287년 사망)의 폐허가 가장 초기의 생존물일 수 있다.[10] 뉴델리에 있는 술탄 가리는 1231년에 내밀어 쌓은 아치를 사용한 묘이다.

2. 6.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의 ''칸디''는 8세기에서 15세기 사이에 건설되었으며, 문이나 사원 내부 공간을 개방하기 위해 코벨 아치 기술을 사용했다. 보로부두르의 아치는 인도네시아 고전 사원 건축에서 코벨 아치의 주목할 만한 예시이다. 코벨 아치를 만드는 인터로킹 안산암 블록은 코벨 아치 상단 중앙에 "T"자 형태의 잠금 장치가 있어 눈에 띈다.

2. 7. 캄보디아

앙코르에 있는 모든 사원은 서기 9세기에서 12세기 사이에 코벨 아치를 사용했다. 지받이 아치는 양쪽 벽의 선단에서 돌을 점차 튀어나오게 쌓아올려 아치 정점에서 연결되도록 한 것이다(정점부에는 평평한 돌을 양쪽을 연결하도록 쌓는다). 지받이 볼트는 이 기법을 마주보는 2개의 벽 방향으로 3차원적으로 확장한 것이다.

9세기부터 12세기에 걸쳐 건조된 앙코르 유적의 사원은 모두 캔틸레버 아치를 사용하고 있다.

3. 갤러리

인도네시아 자바의 보로부두르에 있는 석조 내닫이 아치 (9세기). T자형 중앙 석재에 주목하십시오.


발리, 인도네시아 우붓의 벽돌 내닫이 아치


베트남 미선의 (4-14세기 힌두 사원) 천천히 붕괴되는 벽돌 내닫이 아치

참조

[1] 논문 Nakassis (2000), p. 364
[2] 서적 The Architecture of Ancient Egypt; ... with Remarks on the Early Progress of Architecture, Etc https://archive.org/[...] 1850
[3] 서적 Near Eastern Archaeology: A Reader. https://books.google[...] 2003
[4] 간행물 Corbelled Vaults in Hittite and Mycenaean Fortification Architecture https://www.academia[...] 2012
[5] 논문 Nakassis(2000), pp. 363–364
[6] 논문 The Bridges of Ancient Eleutherna https://www.jstor.or[...] 2020-08-25
[7] 서적 Coe (1987), p.65.
[8] 서적 Indian Temples and Palaces Hamlyn, London 1969
[9] 문서 Harle, 421-425
[10] 문서 Harle, 425
[11] 서적 Coe (1987), p.6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