쾰른-아헨 대관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쾰른-아헨 대관구는 나치 독일 시대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1926년 나치당의 지역 조직 개편으로 시작되어 1933년 독일의 주를 대체했다. 대관구지휘자는 요제프 그로헤였으며, 그는 대관구 설립부터 해체까지 이 직책을 맡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정당 행정뿐 아니라 정부 직책도 수행하며 선전, 국민돌격대 소집, 방어 작전을 지휘했다. 쾰른-아헨 대관구는 7,100km² 면적에 230만 명이 거주했으며, 아헨, 본, 쾰른 등 여러 지역을 포함했다. 종전 직전 그로에는 자살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체포되어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헨의 역사 - 엑스라샤펠 조약 (1668년)
엑스라샤펠 조약(1668년)은 삼국 동맹의 압박으로 프랑스가 플랑드르 일부를 확보하는 대신 다른 점령지를 스페인에 반환하며 플랑드르 전쟁을 종결시킨 강화 조약으로, 유럽 세력 균형에 영향을 주고 프랑스-네덜란드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 아헨의 역사 - 엑스라샤펠 조약 (1748년)
엑스라샤펠 조약은 1748년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을 종결했지만, 슐레지엔 확보, 파르마 공국 양도,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반환 등의 결과를 낳았음에도 불구하고 전쟁의 근본적인 문제들을 해결하지 못하여 7년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 쾰른의 역사 - 오드콜로뉴
오드콜로뉴는 1709년 독일 쾰른에서 조반니 마리아 파리나가 개발한 시트러스 기반의 향수로, 흑사병 퇴치에 대한 믿음과 상쾌한 향으로 유럽 왕가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쾰른의 파리나 가문, 4711, 장 마리 조제프 파리나 등의 역사적인 브랜드가 있다. - 쾰른의 역사 - 독일 신년전야 동시다발 성폭행 사건
2015년에서 2016년 사이 독일 쾰른에서 아랍인과 북아프리카인 남성들이 여성들을 대상으로 집단 성폭행 및 강도 범죄를 저질러 독일 사회에 충격을 주고 난민 문제와 이민 정책 논쟁을 일으켰으며, 유사한 사건들이 다른 유럽 국가에서도 발생하여 사회적 파장이 일었다. - 1931년 설립 - 한인애국단
한인애국단은 1931년 김구에 의해 결성되어 일본 요인 암살을 목표로 이봉창, 윤봉길 의거를 실행했으며, 1930년대 후반 공식 활동을 중단했다. - 1931년 설립 - 하르츠부르크 전선
하르츠부르크 전선은 1931년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에 나치당을 포함한 우익 세력들이 브뤼닝 내각에 대한 반대를 공유하며 결성되었으나, 이념 및 정치적 목표 차이로 통합에 실패하고 1932년 와해되었지만, 이후 나치당이 권력을 장악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쾰른-아헨 대관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명칭 | 쾰른-아헨 대관구 |
존속 기간 | 1931년 6월 1일 ~ 1945년 4월 8일 |
국가 | 나치 독일 |
수도 | 쾰른 |
현재 위치 | 독일, 벨기에 |
지도 | |
![]() | |
정치 | |
정치 체제 | 대관구 |
대관구지휘자 | [[파일:Gauleiter collar tabs.svg|30px]] 대관구지휘자 |
대관구지휘자 임기 | 1931년 ~ 1945년 |
역사 | |
시작 | 1931년 6월 1일 |
이전 국가 | 바이마르 공화국, 프로이센 자유주 |
이후 국가 | 연합군 군정기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
해체 | 1945년 4월 8일 |
통계 | |
면적 | 7100km² |
인구 (1941년) | 2,432,095명 |
기타 | |
대관구 등록 번호 | 제12번 |
2. 역사
원래 나치의 대관구(Gau) 조직은 1926년 5월 22일 나치당 회의에서 지역당 조직 구조 개선을 목적으로 창립한 구역이었다. 이후 1933년 나치가 독일의 권력을 장악하면서 독일의 주 단위 행정구역이 당의 대관구 행정구역으로 대체되었다.[48]
각 대관구를 지휘하는 대관구지휘자는 점점 더 권력이 세지면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외부에서 거의 간섭을 받지 않았다. 지역 대관구지휘자는 정당 행정 뿐 아니라 정부 직책에도 관여하여 선전 감시 등 다양한 작전을 수행했으며, 1944년 9월 이후에는 국민돌격대 소집과 각 대관구 방어작전 역할도 맡았다.[48][49]
쾰른-아헨 대관구의 대관구지휘자는 수립부터 해체 내내 요제프 그로헤 혼자였다.[50][51]
이 대관구는 7,100km2크기에 2,300,000명이 살고 있었는데, 크기와 인구 순 대관구 목록에 중앙에 속했다.[53]
2. 1. 나치 대관구 체제의 성립
나치의 대관구(Gau) 조직은 1926년 5월 22일 나치당 회의에서 지역당 조직 구조 개선을 목적으로 창립되었다.[48] 1931년, 라인란트 대관구는 쾰른-아헨 대관구와 모젤란트 대관구로 분리되었고, 요제프 그로에가 쾰른-아헨 대관구의 대관구지휘자(가울라이터)로 임명되었다.[7] 1933년 나치가 독일의 권력을 장악하면서 독일의 주 단위 행정구역은 당의 대관구 행정구역으로 대체되었다.[48]각 대관구를 지휘하는 대관구지휘자는 점점 더 권력이 세지면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외부에서 거의 간섭을 받지 않았다. 지역 대관구지휘자는 정당 행정 뿐 아니라 정부 직책에도 관여하여 선전 감시 등 다양한 작전을 수행했으며, 1944년 9월 이후에는 국민돌격대 소집과 각 대관구 방어작전 역할도 맡았다.[48][49]
2. 2. 쾰른-아헨 대관구의 발전과 역할
쾰른-아헨 대관구는 1926년 5월 22일 나치당 회의에서 지역당 조직 구조 개선을 목적으로 창립되었다.[48] 1933년 나치가 독일의 권력을 장악하면서, 쾰른-아헨 대관구는 독일의 주 단위 행정구역을 대체하는 당의 대관구 행정구역이 되었다.[48]쾰른-아헨 대관구의 대관구지휘자는 요제프 그로헤였다.[50][51] 그는 대관구 수립부터 해체 내내 대관구지휘자를 맡았다.[50][51] 각 대관구를 지휘하는 대관구지휘자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외부에서 거의 간섭을 받지 않을 정도로 권력이 강했다.[48][49] 지역 대관구지휘자는 정당 행정 뿐 아니라 정부 직책에도 관여하여 선전 감시 등 다양한 작전을 수행했으며, 1944년 9월 이후에는 국민돌격대 소집과 각 대관구 방어작전 역할도 맡았다.[48][49]
요제프 그로헤는 종전 직전 자살을 시도했으나 실패하여 가명을 쓰고 탈출했다.[52] 하지만 1946년 체포되어 4년 6개월의 징역형을 선고받았고, 죄를 뉘우치는 등의 행동은 없었으며, 1987년 사망하였다.[52]
쾰른-아헨 대관구는 7,100km2 크기에 2,300,000명이 살고 있었으며, 크기와 인구 순 대관구 목록에서 중앙에 속했다.[53]
2. 3. 제2차 세계 대전과 쾰른-아헨 대관구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 쾰른-아헨 대관구의 대관구지휘자는 정당 행정뿐만 아니라 정부 직책에도 관여하여 선전 감시, 국민돌격대 소집과 대관구 방어작전 역할도 맡았다.[48][49] 1940년 5월, 나치 독일이 벨기에 침공하여 승리한 후, 오이펜-말메디가 쾰른-아헨 대관구에 편입되었다.[48] 그러나 망명 벨기에 정부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오이펜-말메디가 벨기에의 일부라고 주장했다.[48]
가우의 수도인 쾰른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 공군(RAF)에 의해 262차례의 공습을 받아 2만여 명의 민간인이 사망하는 등 큰 피해를 입었다.[3][4][5] 1942년 5월 30/31일 쾰른에 대한 공격은 최초의 1,000대 폭격 작전이었다.
1944년, 연합군이 쾰른-아헨 대관구 지역으로 진격하면서, 클리퍼 작전으로 가일렌키르헨 주변 지역을 점령하고, 휫겐 숲 전투에서 독일군의 저항에 직면했다. 1944년 12월, 독일군은 벌지 전투를 통해 공세에 나섰으나, 연합군은 블랙콕 작전등을 통해 독일군을 몰아냈다. 1945년 3월, 럼버잭 작전의 일환으로 쾰른이 함락되었고,[40] 연합군은 본을 점령했다.[15]

다음은 연합군의 쾰른-아헨 대관구 점령 타임라인이다.
점령 날짜 | 위치 | 참고 |
---|---|---|
1944년 9월 11일 | 오이펜 | [13] |
1944년 9월 14일 | 코르넬리뮌스터 | [16] |
1944년 9월 16일 | 셰벤휘테 | [17] |
1944년 9월 17일 | 말메디 | |
1944년 10월 2일 | [18] | |
1944년 10월 3일 | [19] | |
1944년 10월 4일 | 호버도르 | [20] |
1944년 10월 4일 | [20] | |
1944년 10월 5일 | - | [21] |
1944년 10월 8일 | 페어라우텐하이트 | [22] |
1944년 10월 8일 | 고지 231 | [22] |
1944년 10월 12일 | [https://www.fallingrain.com/world/GM/07/Birk2.html 비르크] | [23] |
1944년 10월 13일–21일 | 아헨 | [24] |
1944년 11월 18일 | {{Interlanguage link|Rischden|d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