퀴어사자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퀴어사자상은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서 LGBT 또는 퀴어 관련 영화에 수여되는 상이다. 2003년 제안을 시작으로 2007년부터 시상했으며, 베니스 영화제 출품작 중 해당 주제를 다루는 영화를 대상으로 한다. 저널리스트, 영화 감독, 비평가 등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수상작을 선정하며, 2009년에는 영화 《싱글 맨》이 퀴어사자상과 함께 남우주연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퀴어사자상 - [상(Prize)]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수여 | 베네치아 영화제 |
시작 연도 | 2007년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2003년 시네마르테 협회 회장 다니엘 N. 카사그란데는 월간지 베네치아 뉴스(Venezia News)와의 인터뷰에서 당시 베니스 영화제 감독 모리츠 데 하델른에게 동성애를 주제로 한 영화를 특별히 기리는 상을 수여할 의향이 있는지 질문했다. 이는 20년 전 베를린 국제 영화제가 테디 베어 상을 수여한 것처럼 베니스 영화제도 특별상을 수여할 가능성을 질문한 것이다.[1] 긍정적인 답변을 얻었지만, 이듬해 영화제 감독이 바뀌면서 프로젝트 진행이 지연되었다.[1] 새로운 감독 마르코 뮐러가 이 상의 제정을 지지하고 지원하겠다는 의사를 밝히면서 프로젝트가 승인되었다.[1]
베니스 영화제의 모든 섹션(경쟁, 비경쟁, 오리존티, 콘트로캄포 이탈리아노, 조르나테 데 글리 아우토리, 세티마나 인터나치오날레 델라 크리티카)에서 상영되는 LGBTQ+ 테마, 이야기, 줄거리 또는 캐릭터가 포함된 모든 영화가 후보 자격을 갖는다.[1]
퀴어사자상은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의 부문 중 하나로, 성소수자(LGBT)를 소재로 한 영화에 수여되는 상이다. 2007년부터 시상되었으며, 역대 수상작은 다음과 같다.
3. 선정 방식
심사위원단은 영화에 대한 깊은 지식을 가진 저널리스트, 감독, 비평가 등으로 구성되며, 베니스 영화제 기간 동안 LGBTQ+ 요소가 주목할 만한 모든 영화를 보고 그 중에서 "최우수 영화"를 선정한다.[1]
4. 역대 수상작
연도 한국어 제목 원제 감독 제작 국가 2007 더 스피드 오브 라이프 The Speed of Life 에드워드 라드케 미국 2008 원 데이 인 어 라이프 Un altro pianeta 스테파노 투몰리니 이탈리아 2009 싱글맨 A Single Man 톰 포드 미국 2010 미래 En el futuro 마우로 안드리치 아르헨티나es 2011 와일드 살로메 Wilde Salome 알 파치노 미국영어 2012 무게 무게 전규환 대한민국한국어 2013 필로미나의 기적 Philomena 스티븐 프리어스 영국영어 2014 한 여름밤 'Les Nuits dété'' 마리오 판파니 프랑스프랑스어 2015 대니쉬 걸 The Danish Girl 톰 후퍼 미국영어 2016 하트스톤 Hjartasteinn 구드문두르 아르나르 구드문드손 아이슬란드is 2017 마빈 Marvin ou la belle éducation 안 퐁텐 프랑스프랑스어 2018 호세 José 리 청 과테말라es / 미국영어 2019 더 프린스 El príncipe 세바스티안 무뇨스 칠레es 2020 월드 투 컴: 그녀들의 세상 The World to Come 모나 파스트볼 미국 2021 라스트 챕터 La dernière seance 잔루카 마타레세 이탈리아 / 프랑스 2022 스킨 딥 Aus meiner Haut 알렉스 샤드 독일 2023 가족의 탄생 Domakinstvo za pocetnici 고란 스톨레프스키 북마케도니아 / 폴란드 / 크로아티아 / 세르비아 / 코소보 2024 소울 오브 더 데저트 Alma del Desierto 모니카 타보아다타피아 콜롬비아 / 브라질
4. 1. 2000년대
연도 | 한국어 제목 | 원제 | 감독 | 제작 국가 |
---|---|---|---|---|
2007 | 더 스피드 오브 라이프 | The Speed of Life | 에드워드 라드케 | 미국 |
2008 | 원 데이 인 어 라이프 | Un altro pianeta | 스테파노 투몰리니 | 이탈리아 |
2009 | 싱글맨 | A Single Man | 톰 포드 | 미국 |
4. 2. 2010년대
개최 연도 | 제목 (원제) | 감독 | 제작 국가 |
---|---|---|---|
2010년 | 미래 (En el futuro) | 마우로 안드리치 | 아르헨티나es |
2011년 | 와일드 살로메 (Wilde Salome) | 알 파치노 | 미국영어 |
2012년 | 무게 (무게) | 전규환 | 대한민국한국어 |
2013년 | 필로미나의 기적 (Philomena) | 스티븐 프리어스 | 영국영어 |
2014년 | 한 여름밤 (Les Nuits d'été) | 마리오 판파니 | 프랑스프랑스어 |
2015년 | 대니쉬 걸 (The Danish Girl) | 톰 후퍼 | 미국영어 |
2016년 | 하트스톤 (Hjartasteinn) | 구드문두르 아르나르 구드문드손 | 아이슬란드is |
2017년 | 마빈 (Marvin ou la belle éducation) | 안 퐁텐 | 프랑스프랑스어 |
2018년 | 호세 (José) | 리 청 | 과테말라es / 미국영어 |
2019년 | 더 프린스 (El príncipe) | 세바스티안 무뇨스 | 칠레es |
4. 3. 2020년대
The World to Come프랑스
Domakinstvo za pocetnici
Alma del Desier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