퀴즈 천하통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퀴즈 천하통일은 2000년부터 2004년까지 EBS TV에서 방송된 퀴즈 프로그램이다. 컬트 삼총사, 최선규, 정재환, 정성한, 이윤석 등이 MC를 맡았으며, 학교 대항전, 개인전, 팀 대항전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방송 시간과 팀 구성 방식, 게임 방식은 방송 기간에 따라 여러 번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교육방송공사의 예능 프로그램 - 로봇파워
로봇파워는 로봇 제작 및 조종 능력자가 참여하는 EBS의 로봇 경연 프로그램으로, 휴머노이드 로봇과 주니어 로봇 분야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로봇 격투 코너는 폭력성 논란으로 비판을 받았다. - 한국교육방송공사의 예능 프로그램 - EBS 스페이스 공감
EBS 스페이스 공감은 2004년 4월 3일 첫 방송을 시작한 EBS의 음악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장르의 음악 공연을 선보이고 신인 뮤지션을 발굴하며 한국방송대상 작품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퀴즈 쇼 - 장학퀴즈
1973년 MBC에서 시작하여 EBS로 옮겨 대한민국 최장수 퀴즈 프로그램이 된 《장학퀴즈》는 고등학생 대상 퀴즈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진행 방식과 특집 방송, 한중 청소년 교류 등을 통해 사랑받았으나 2024년 7월 종영 예정이다.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퀴즈 쇼 - 아는 형님
JTBC 예능 프로그램 《아는 형님》은 형님학교 콘셉트로 출연자들이 학생, 게스트가 전학생이 되어 반말, 입학원서, 나를 맞춰봐 등의 코너와 특별 코너들로 웃음을 주는 프로그램이다.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게임 쇼 - 무한도전
《무한도전》은 2005년부터 2018년까지 MBC에서 방영된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으로, 유재석을 중심으로 다양한 멤버들이 미션과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높은 인기를 얻었으나 여러 논란과 주요 제작진 및 멤버들의 탈퇴로 종영되었다.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게임 쇼 - 남자의 자격
《남자의 자격》은 2009년부터 2013년까지 KBS 2TV에서 방영된 예능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미션과 도전을 통해 시청자들의 공감을 얻었으며, 2013년 MBC의 《아빠! 어디가?》에 밀려 종영되었다.
퀴즈 천하통일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퀴즈 천하통일 | |
장르 | 퀴즈 |
방송 시간 | 역대 방송시간 참조 |
방송 분량 | 역대 방송분량 참조 |
방송 기간 | 2000년 10월 2일 ~ 2004년 8월 27일 |
방송 횟수 | 554부작 |
방송 시즌 | 8기 |
방송 국가 | 대한민국 |
방송 채널 | EBS |
진행자 | 정찬우 외 |
2. 역대 MC
컬트삼총사 (정찬우, 정성한, 김태균): 2000년 10월 2일 ~ 2001년 3월 29일
문경훈, 최윤영 (MBC 아나운서 하기 전): 2001년 4월 2일 ~ 2001년 8월 23일
최선규: 2001년 8월 29일 ~ 2002년 8월 22일
정재환: 2002년 8월 28일 ~ 2003년 2월 20일
송승헌:
정성한: 2003년 2월 26일 ~ 2004년 2월 27일
이윤석: 2004년 3월 3일 ~ 2004년 8월 27일
2. 1. MC 목록
컬트삼총사 (정찬우, 정성한, 김태균): 2000년 10월 2일 ~ 2001년 3월 29일문경훈, 최윤영 (MBC 아나운서 하기 전): 2001년 4월 2일 ~ 2001년 8월 23일
최선규: 2001년 8월 29일 ~ 2002년 8월 22일
정재환: 2002년 8월 28일 ~ 2003년 2월 20일
송승헌:
정성한: 2003년 2월 26일 ~ 2004년 2월 27일
이윤석: 2004년 3월 3일 ~ 2004년 8월 27일
3. 방송 시간
wikitable
방송 채널 | 방송 기간 | 방송 시간 | 방송 분량 |
---|---|---|---|
EBS TV | 2000년 10월 2일 ~ 2001년 3월 29일 | 매주 월요일 ~ 목요일 저녁 6:55 ~ 7:35 | 40분 |
2001년 4월 2일 ~ 2001년 6월 1일 | 매주 평일 저녁 6:55 ~ 7:25 | 30분 | |
2001년 6월 4일 ~ 2001년 8월 23일 | 매주 월요일 ~ 목요일 저녁 6:55 ~ 7:25 | ||
2001년 8월 29일 ~ 2003년 9월 25일 | 매주 수요일 ~ 목요일 저녁 6:55 ~ 7:25 | ||
2003년 10월 1일 ~ 2004년 8월 27일 | 매주 수요일 ~ 금요일 저녁 6:55 ~ 7:25 |
3. 1. 방송 시간 변천사
wikitable방송 채널 | 방송 기간 | 방송 시간 | 방송 분량 |
---|---|---|---|
EBS TV | 2000년 10월 2일 ~ 2001년 3월 29일 | 매주 월요일 ~ 목요일 저녁 6:55 ~ 7:35 | 40분 |
2001년 4월 2일 ~ 2001년 6월 1일 | 매주 평일 저녁 6:55 ~ 7:25 | 30분 | |
2001년 6월 4일 ~ 2001년 8월 23일 | 매주 월요일 ~ 목요일 저녁 6:55 ~ 7:25 | ||
2001년 8월 29일 ~ 2003년 9월 25일 | 매주 수요일 ~ 목요일 저녁 6:55 ~ 7:25 | ||
2003년 10월 1일 ~ 2004년 8월 27일 | 매주 수요일 ~ 금요일 저녁 6:55 ~ 7:25 | ||
4. 팀 구성
4. 1. 팀 구성 방식의 변화
2000년 10월부터 2001년 8월까지는 학교 대표 36명이 한 팀을 이루어 퀴즈에 참여했다. 2001년 8월부터 2002년 8월까지는 각 학교에서 학년별 대표 1명씩, 총 6명이 한 팀을 구성하여 대결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2002년 8월부터 2003년 2월까지는 개인전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라운드에서 패배한 참가자는 다음 회에 해당 라운드에 다시 도전할 수 있는 패자부활전 기회가 주어졌다. 2003년 2월부터 2004년 5월까지는 학교 대표 5명이 한 팀을 이루어 대결하는 방식으로 다시 변경되었고, 2004년 5월부터 마지막 회까지는 3명씩 3팀이 대결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5. 역대 게임
5. 1. 2000년 10월 ~ 2001년 4월
36명이 OX 퀴즈를 풀어 정답을 맞힌 사람만 불이 들어오며, 불 한 개당 1점, 가로, 세로, 대각선 빙고 한 줄당 10점의 보너스 점수를 얻는다. 36명 중 한 명을 임의로 정해 문제를 푸는 '선택 바로 너!' 코너가 있었다. DDR처럼 생긴 글자판을 밟아 정답을 입력하는 1:1 대결 방식의 '퀴즈 레볼루션' 코너도 있었다.가로세로 퍼즐로 문제를 풀며 정답을 아는 사람이 부저를 눌러 맞히는 '퍼즐 천하통일' 코너에서는 4개의 힌트까지 들어도 정답을 맞히지 못하면 정답을 공개하지 않았다. 2000년 12월까지는 100점, 50점, 30점, 0점으로 점수가 부여됐으나, 2001년 4월까지는 정답을 맞히면 십자포 공격을 막아주는 지뢰 아이템을 획득했다.
1:1 대결로 달리면서 보이는 문제를 보고 정답을 맞히는 '달려라 천하통일' 코너에서는 답을 모르면 끝까지 달리면 정답이 공개되었다. 1, 6, 31, 36번 학생이 감자 복장을 입고 객관식 문제의 정답 번호를 골라 탈락 여부를 가리는 '달려라 퀴즈감자' 코너도 있었다.
단체전 대결인 '결전 36대36'에서는 한 명씩 대결하며 정답을 맞히면 상대팀의 불을 끌 수 있었다. 두 문제 연속 정답을 맞히면 십자포를 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으며, 연속 공격도 가능했다. 한 팀이 10명 미만으로 남았을 때는 부활 퀴즈를 진행했다.
5. 2. 2001년 10월 ~ 2002년 8월
2001년 10월부터 2002년 8월까지는 주어진 주제와 관련된 문제를 푸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릴레이로 도전하며 각 코스마다 미션을 수행해서, 성공한 시간에 따라 점수가 주어졌다. 인어공주를 배경으로 한 플래시게임을 이용해 60초 동안 연상퀴즈를 맞히는 '인어공주 구출 대작전' 코너에서는 한 문제를 맞힐 때마다 6점을 획득하고, 인어공주 구출 성공 시 남은 시간만큼 보너스 점수와 상품을 획득했다. '퀴즈 심봤다' 코너에서는 6개의 키워드 중 하나를 골라 문제를 풀었으며, 60점에서 시작하여 10점까지 점수가 차감되는 방식이었다. 상대팀에게도 한 번의 기회가 주어졌으며, 정답을 맞히면 60점을 가져갔다.플래시게임을 이용해 팀 대결로 객관식 문제를 풀고, 정답이라고 생각하는 번호를 화살로 쏘는 '윌리엄 텔과 뉴튼의 사과 퀴즈'도 있었다. '운명의 맞대결'은 각 학년끼리 3판 2승제로 대결하는 방식으로, 1학년부터 시작하여 이긴 학생은 다음 학년 학생과 대결하는 방식이었다. 1학년 학생을 물리치면 10점, 2학년 20점, 3학년 30점, 4학년 40점, 5학년 50점, 6학년 60점을 얻었다. 2라운드까지 점수 차에 따라 지고 있는 팀이 출전할 수 있는 학생 수가 줄어들었으며, 210점 이상 차이가 나면 콜드게임으로 최종 우승팀이 결정되었다. 중반부에는 두 학생의 학년 합이 3, 6, 9인 경우 단판 승부로 대결이 진행되었다.
5. 3. 2002년 8월 ~ 2003년 2월
초반에는 5문제를 먼저 푼 학생이 승리하는 방식이었으나, 후반부에는 기본 불 개수 21개로 시작하여 상대방의 불을 모두 끄는 학생이 승리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정답을 아는 학생은 1개에서 5개까지 불을 걸 수 있으며, 정답을 맞히면 상대방의 불이 꺼지고, 틀리면 본인의 불이 꺼진다.5. 4. 2003년 2월 ~ 2004년 2월
달려라 큐브에서는 문제를 듣고 글자가 적혀있는 주사위를 골라 정답을 조합한다. 떡을 썰테니는 한석봉과 어머니 이야기를 소재로 했으며 자음을 보고 힌트를 이용해 자음에 해당하는 단어나 문장을 맞힌다. 점수는 50점, 40점, 30점씩 차감된다. 요까일엇무? 코너에서는 이철용 성우가 직접 중국인 분장을 하고 거꾸로 말한 질문을 듣고 정답을 맞히는 방식으로 진행된다.결전! 천하통일에서는 현재 쌓아올렸던 점수를 갖고 대결하며, 상대팀의 점수를 0점으로 만든 팀이 승리한다. 정답을 아는 팀은 상대팀에 점수 가운데 10점에서 100점까지 걸 수 있다. 정답을 맞히면 상대팀의 점수가 감점되며, 그렇지 않으면 본인팀의 점수가 감점된다. 찬스를 써서 맞히면 100점을 다시 획득할 수 있었다. 후반부에는 5명이 OX 퀴즈를 푸는데 맞힌 사람 수대로 20점씩 점수를 얻는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