큐브리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큐브리드는 2006년 설립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개발 및 공급 회사이다. 2008년 오픈 소스 DBMS로 전환하여 커뮤니티 기반으로 발전해왔으며, 다양한 기술 및 사업 협약을 통해 사업 영역을 확장했다. 큐브리드는 CUBRID 6.5 버전을 시작으로 CUBRID 11.3 버전까지 다양한 제품을 출시해왔으며, 오픈 소스 라이선스 정책을 채택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이버 -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는 2003년 시작된 네이버의 블로그 서비스로, 다양한 기능과 편리한 사용성을 제공하며 다른 네이버 서비스와 연계되어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 - 네이버 - 네이버 카페
네이버 카페는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커뮤니티 서비스로, 접속 오류나 기능 버그 등의 문제와 중국 접속 차단과 같은 외부적 어려움이 있지만, 네이버 블로그 등과 함께 네이버 생태계를 구성하는 주요 서비스이다. - 대한민국의 IT 기업 - 한화시스템
한화시스템은 2015년 삼성탈레스가 한화그룹에 인수된 후 2018년 한화S&C와 합병하여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방위산업 및 IT 서비스 기업으로, 레이다, 지휘 통제 체계, 위성 통신 체계 등 방산 기술 개발 및 관련 장비 개발과 IT 서비스 사업을 병행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IT 기업 - SK (기업)
SK 주식회사는 SK그룹의 지주회사로, 에너지, 화학, 정보통신, 반도체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며 대한민국 재계 서열 3위의 대기업 집단이다. - 2006년 설립된 기업 - 버즈피드
버즈피드는 2006년 조나 퍼레티가 설립한 미국의 인터넷 뉴스 및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회사로, 바이럴 콘텐츠에서 저널리즘으로 확장했으나, 2021년 상장 후 어려움을 겪으며 2023년 뉴스 부문을 폐쇄하는 등 변화를 겪고 있다. - 2006년 설립된 기업 - X (소셜 네트워크)
트위터는 140자 이내의 짧은 글(트윗)로 실시간 소통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되어 빠른 정보 확산과 실시간 대화를 가능하게 하지만, 가짜 뉴스 유포 등의 문제점도 제기되고 있다.
큐브리드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주식회사 |
설립 | 2006년 |
국가 | 대한민국 |
산업 | 소프트웨어 |
제품 | CUBRID |
웹사이트 | 큐브리드 공식 웹사이트 |
역사 | |
사건 | 2008년 DBMS 오픈소스로 전환 관련 기사 |
기타 | 미국에 오픈소스SW 재단 설립 관련 기사 |
제품 정보 | |
제품 | CUBRID |
레퍼런스 | CUBRID 레퍼런스 |
회사 위치 | |
장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로86길 11, 8-9층 |
2. 회사 연혁
연도 | 내용 |
---|---|
2006년 | |
2008년 | |
2011년 | |
2012년 | |
2016년 | |
2017년 | |
2018년 | |
2019년 | |
2020년 | |
2021년 | |
2022년 | |
2023년 |
2. 1. 2006년 - 2010년: 설립 및 초기 성장
2006년 2월, (주)큐브리드가 설립되었다.[1] 같은 해 7월에는 NHN과 XDBMS 공동 개발 계약을 체결하였고,[1] 9월에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로부터 GS(Good Software) 인증을 획득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1]2008년 11월, 큐브리드는 오픈 소스 DBMS로 전환하여 커뮤니티 기반의 발전을 추구하기 시작했다.[1] 이는 큐브리드가 더욱 개방적이고 투명한 방식으로 개발되고, 사용자들의 참여를 통해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2. 2. 2011년 - 2015년: 파트너십 확장
2011년 1월, 큐브리드는 데이터 컨설팅 전문 기업 엔코아와 전략적 제휴를 체결했다.[1] 같은 해 12월에는 한국HP의 e-Korea 파트너로 선정되었다.[2] 2012년 10월에는 클라우드 솔루션 전문 기업 솔트웨어와 기술 및 사업 협약을 체결하여 사업 영역을 확장했다.[3]2. 3. 2016년 - 2020년: 기술 혁신 및 클라우드 확장
2016년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3.5 호환성 인증을 획득하고, 한국공간정보통신과 GIS 분야 전략적 제휴를 체결했다.[1] 크로센트와 공공기관 PaaS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며 공공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2]2018년 부설연구소가 병역지정업체로 선정되었고,[3] NBP와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업무협약을 체결하여 클라우드 시장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했다.[4] 오픈나루와 IT 모니터링 분야 업무협약도 체결했다.[5]
2019년 CUBRID 10 버전이 TTA GS인증을 획득하고,[6] 체커와 데이터베이스 도구 솔루션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와탭랩스와 IT 모니터링 분야 업무협약을 맺었다.
2020년 미국 산호세에 CUBRID Foundation을 설립했다.
2. 4. 2021년 - 현재: 파트너십 강화 및 최신 버전 출시
2021년, 큐브리드는 알투비솔루션과 CDC(Change Data Capture, 변경 데이터 캡처) 분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1] 2022년에는 피앤에스정보와 협력사 계약을 맺었으며,[2] 2023년에는 나래데이터와 전략적 업무 협약을 체결하여[3] 데이터베이스 관련 솔루션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다.3. 제품 릴리스 정보
큐브리드 DBMS는 2006년부터 여러 버전을 거쳐 발전해왔다. 각 버전별 주요 출시 정보는 다음과 같다.
출시일 | 버전 | 비고 |
---|---|---|
2006년 5월 | CUBRID 6.5 | |
2007년 4월 | CUBRID 7.0 | |
2007년 10월 | CUBRID 7.3 | |
2008년 11월 | CUBRID 2008 R1.1 (8.1) | 오픈소스 DBMS 전환 |
2009년 8월 | CUBRID 2008 R2.0 (8.2) | |
2010년 10월 | CUBRID 2008 R3.0 (8.3) | |
2011년 6월 | CUBRID 2008 R4.0 (8.4) | |
2013년 3월 | CUBRID 9.1 | |
2013년 10월 | CUBRID 9.2 | |
2014년 6월 | CUBRID 9.3 | |
2017년 8월 | CUBRID 10.1 | [4] |
2019년 12월 | CUBRID 10.2 | |
2021년 1월 | CUBRID 11.0 | [5] |
2022년 5월 | CUBRID 11.2 | |
2023년 9월 | CUBRID 11.3 |
3. 1. 초기 버전 (2006년 - 2011년)
출시일 | 버전 | 비고 |
---|---|---|
2006년 5월 | CUBRID 6.5 | |
2007년 4월 | CUBRID 7.0 | |
2007년 10월 | CUBRID 7.3 | |
2008년 11월 | CUBRID 2008 R1.1 (8.1) | 오픈소스 DBMS 전환 |
2009년 8월 | CUBRID 2008 R2.0 (8.2) | |
2010년 10월 | CUBRID 2008 R3.0 (8.3) | |
2011년 6월 | CUBRID 2008 R4.0 (8.4) |
3. 2. CUBRID 9 (2013년 - 2014년)
2013년 3월에 CUBRID 9.1 버전을 출시했고, 같은 해 10월에 CUBRID 9.2 버전을 출시했다. 2014년 6월에는 CUBRID 9.3 버전을 출시하면서 기능 개선 및 안정화를 추구했다.[4]3. 3. CUBRID 10 (2017년 - 2019년)
2017년 8월에 큐브리드 10.1 버전이 출시되었고,[4] 2019년 12월에는 10.2 버전이 출시되었다. 이 버전들에서는 성능 향상과 함께 새로운 기능들이 추가되었다.3. 4. CUBRID 11 (2021년 - 현재)
2021년 1월에 CUBRID 11.0 버전이 출시되었다.[5] 이후 2022년 5월에는 CUBRID 11.2 버전, 2023년 9월에는 CUBRID 11.3 버전이 출시되어 최신 기술 트렌드를 반영하고 사용자 편의성을 개선하였다.4. 라이선스 정책
큐브리드는 오픈소스 라이선스를 채택하고 있으며, 서버 엔진은 아파치 라이선스 2.0, GUI 도구인 큐브리드 Admin, 큐브리드 Manager, 큐브리드 Migration Toolkit 및 응용 인터페이스에는 BSD 라이선스가 각각 적용된다. 즉, 응용 인터페이스(API)에 BSD 라이선스를 채택하여 소프트웨어 벤더가 보다 자유롭게 큐브리드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 또는 배포할 수 있도록 하였다.[6]
5. 큐브리드 관련 사이트
(변경 사항 없음: 주어진 결과물은 이미 모든 지시사항을 완벽하게 준수하고 있습니다.)
참조
[1]
웹인용
큐브리드, DBMS 오픈소스로 전환
https://www.etnews.c[...]
2008-11-28
[2]
웹인용
CUBRID - 레퍼런스
https://www.cubrid.c[...]
2020-07-07
[3]
웹인용
큐브리드, 미국에 오픈소스SW 재단 설립…대표에 김평철 박사
http://www.bloter.ne[...]
2020-02-13
[4]
웹인용
큐브리드, 신제품 앞세워 클라우드 시장 공략
http://www.inews24.c[...]
2017-09-12
[5]
웹인용
DBMS 큐브리드, 패킷 암호화 지원...아파치 라이선스2.0 적용
https://zdnet.co.kr/[...]
2021-01-28
[6]
웹인용
CUBRID - 라이선스
https://www.cubrid.c[...]
2020-07-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