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크리스토퍼 벡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리스토퍼 벡위스는 중앙유라시아, 특히 고구려어와 일본어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학자이다. 2004년 저서 《고구려어 - 일본을 대륙과 연결시켜 주는 언어》에서 고구려어를 일본어의 친족어로 보고, 고구려-일본어 어족 가설을 제시하며 신라어와의 관련성을 배제했다. 그의 가설은 중국 요서 지방을 기원으로 하여 한반도와 일본으로 이동한 집단이 고구려, 부여, 예, 옥저 등을 형성하고, 현대 일본인의 조상이 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일본어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관련성, 퉁구스어족의 영향 등을 무시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그는 이 외에도 중앙 유라시아의 역사와 문화를 다룬 여러 저서를 집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동양학자 - 에드워드 사이드
    팔레스타인 출신 미국인 학자 에드워드 사이드는 컬럼비아 대학교 교수이자 문학 비평가, 음악가, 공공 지식인으로서, 오리엔탈리즘 연구를 통해 서구 중심주의와 제국주의를 비판하고 탈식민주의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팔레스타인 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과 서구-동부 디반 오케스트라 설립 등 음악 분야에서도 기여했다.
  • 미국의 동양학자 - 윌리엄 F. 올브라이트
    윌리엄 폭스웰 올브라이트는 미국의 성서 고고학자이자 동양학자로서, 성서 고고학 운동의 창시자로 여겨지며 고고학적 발굴과 연구를 통해 성서의 이스라엘 역사 기록이 대체로 정확하다는 견해를 제시하고 팔레스타인과 고대 근동 지역의 고고학적 연대 측정 방법 발전에 기여했다.
  • 티베트학자 - 스벤 헤딘
    스벤 헤딘은 중앙아시아 탐험과 고대 도시 유적 발굴에 기여한 스웨덴의 지리학자이자 탐험가이지만, 나치 독일과의 협력 관계로 비판을 받기도 하는 인물이다.
  • 티베트학자 - 나카자와 신이치
    나카자와 신이치는 대칭성 인류학을 제창하고 그린 액티브를 설립하여 활동하는 일본의 사상가, 인류학자, 종교학자로, 다수의 저서를 발표하고 여러 상을 수상했으나 옴진리교 옹호 발언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 튀르크학자 - 드미트리 페스코프
    드미트리 페스코프는 1967년 모스크바에서 태어나 모스크바 국립대학교를 졸업하고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2012년부터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대변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 튀르크학자 - 르네 그루세
    르네 그루세는 프랑스의 역사학자로서 아시아와 동양 문명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으며, 십자군 전쟁, 유라시아 유목 제국사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저술 활동을 펼쳤다.
크리스토퍼 벡위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크리스토퍼 I. 벡위스
원어 이름Christopher I. Beckwith
국적미국
출생일1945년 10월 23일
학력 및 경력
모교인디애나 대학교 블루밍턴교 박사
직업언어 연구자, 역사학자
직장인디애나 대학교 블루밍턴교 중앙유라시아학과 교수
주요 관심사중앙유라시아 연구

2. 고구려어-일본어족 가설

2004년 벡위스는 저서 《고구려어 - 일본을 대륙과 연결시켜 주는 언어》[29]에서 고구려어일본어의 친연성을 강조하며 가설상의 고구려-일본어 어족을 설정했지만, 신라어(를 잇는 한국어)와의 관련성은 배제하였다.

벡위스는 고구려-일본어 조어(祖語)를 말하는 집단이 중국 요서 지방에서 한반도와 일본 규슈로 이동하여 각각 부여어족과 현대 일본인의 조상이 되었다고 보았다. 반면 신라어(한계 언어)는 이들과 관계가 없다고 주장하며, 한국어와 일본어 사이의 어휘 유사성은 차용으로 보았다. 또한 기존의 알타이어족 설을 완전히 무시하였다.

그러나 벡위스의 주장은 일본어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와의 관련성, 고구려어에 보이는 퉁구스어족(알타이어족)의 영향 등을 무시하고, 재구 한자음의 자의성과 무리한 논리 전개 등에서 여러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벡위스의 연구는 일본의 알타이어 학자인 기요세 기사부로 노리쿠라, 한국어 학자 간노 히로오미, 고노 로쿠로 등에게 영향을 받았다. 벡위스의 저서는 고려대학교 교수 정광에 의해 한국어로 번역되었고, 정광은 벡위스의 주장에 대한 비판을 제기하기도 했다.

2. 1. 가설의 내용

2004년 벡위스는 저서 《고구려어 - 일본을 대륙과 연결시켜 주는 언어》[29]에서 고구려어를 대륙에 있는 일본어의 친족어라 주장하며 고구려어와 일본어의 친연성을 매우 강조하였다. 그는 가설상의 고구려-일본어 어족을 설정하고, 고구려어와 신라어(를 잇는 한국어)와의 관련성은 배제하였다.

벡위스의 언어-종족 가설에 따르면 고구려-일본어 조어를 말하는 집단은 중국 요서 지방을 원거주지로 하며 한반도와 일본 규슈로 이동하였다. 이 중 규슈로 이동한 집단은 현대 일본인의 조상이 되고, 한반도에 남은 집단은 고구려-부여-예-옥저 등 부여어족을 말하는 집단을 형성했다고 보고 있다. 반면 현대 한국어의 직계 조상이 되는 신라어(한계 언어)를 말하는 집단은 이들과 관계가 없다고 주장한다. 또한 한국어와 일본어 사이 기본 어휘 가운데 유사점으로 지적되었던 어휘 요소와 고구려어와 한국어 사이의 공통 어휘들을 동원사가 아닌 차용으로 보았으며, 기존의 알타이어족 설을 완전히 무시하고 있다.

그러나 벡위스의 주장은 오노 스스무 등에 의해 연구가 진척된 일본어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와의 관련성, 고구려어에 보이는 퉁구스어족(알타이어족)의 영향 등을 무시하였다는 비판을 받는다. 또한 연구에 사용된 재구 한자음의 자의성과 무리한 논리 전개 등에서 여러 헛점과 오류가 지적되고 있다.

2. 2. 가설에 대한 비판

벡위스의 가설은 오노 스스무 등에 의해 연구가 진척된 일본어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와의 관련성, 고구려어에 보이는 퉁구스어족(알타이어족)의 영향 등을 무시했고, 연구에 사용된 재구 한자음의 자의성과 무리한 논리 전개 등에서 여러 헛점과 오류가 지적되고 있다.[29]

2. 2. 1. 대한민국 학계의 비판

2004년 출간한 저서 《고구려어 - 일본을 대륙과 연결시켜 주는 언어》[29]에서 고구려어를 대륙에 있는 일본어의 친족어라 부르면서 고구려어와 일본어의 친연성을 매우 강조하여 주장하면서 가설상의 고구려-일본어 어족을 설정한 반면에, 고구려어와 신라어(를 잇는 한국어)와의 관련성은 배제하는 주장을 하였다.

벡위스의 언어-종족 가설에 따르면 고구려-일본어 조어를 말하는 집단은 중국 요서 지방을 원거주지로 하며 한반도와 일본 규슈로 이동하여 후자는 현대 일본인의 조상이 되고, 전자는 고구려-부여-예-옥저 등 부여어족을 말하는 집단을 형성했다고 보고 있으며, 현대 한국어의 직계 조상이 되는 신라어(한계 언어)를 말하는 집단은 이들과 관계가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한국어 일본어 사이 기본 어휘 가운데 유사점으로 지적되었던 어휘 요소와 고구려어와 한국어 사이의 공통 어휘들을 동원사가 아닌 차용으로 보고 있으며 기존의 알타이어족 설을 깡그리 무시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어 기원설 가운데 오노 스스무 등에 의해 상당히 연구가 진척된 일본어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와의 관련성, 고구려어에 보이는 퉁구스어족(알타이어족)의 영향 등을 무시하였고, 연구에 사용된 재구 한자음의 자의성과 무리한 논리 전개 등에서 여러 헛점과 오류가 지적되고 있다.

크리스토퍼 벡위스의 연구에 영향을 준 학자로는 일본의 알타이어 학자인 기요세 기사부로 노리쿠라, 한국어 학자 간노 히로오미, 고노 로쿠로 등이 있다. 벡위스의 위 저서는 고려대학교 교수 정광에 의해 한국어 번역본이 출간되었고, 같은 옮긴이에 의해 비판이 제기되었다.

3. 중앙유라시아 연구

크리스토퍼 벡위스는 중앙유라시아 연구에 있어 다양한 저서를 남겼다. 특히, 2009년에 출간된 ''실크로드 제국: 청동기 시대부터 현재까지 중앙 유라시아의 역사''Empires of the Silk Road: A History of Central Eurasia from the Bronze Age to the Present영어는 중앙유라시아의 역사를 폭넓게 다룬 책으로 평가받는다. 이 책은 2017년 일본어로 번역되어 출간되기도 했다.ユーラシア帝国の興亡 : 世界史4000年の震源地일본어 2023년에는 ''스키타이 제국: 페르시아에서 중국까지, 중앙 유라시아와 고전 시대의 탄생''The Scythian Empire: Central Eurasia and the Birth of the Classical Age from Persia to China영어을 출간하여 중앙유라시아 연구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3. 1. 주요 연구 분야


  • The Tibetan Empire in Central Asia영어 (1987)
  • Medieval Tibeto-Burman Languages영어 1-3권, 편집 (2002, 2006, 2008)
  • Koguryo, the Language of Japan's Continental Relatives영어 (2004)
  • Phoronyms: Classifiers, Class Nouns, and the Pseudopartitive Construction영어 (2007)
  • Warriors of the Cloisters: The Central Asian Origins of Science in the Medieval World영어 (2012)
  • Empires of the Silk Road: A History of Central Eurasia from the Bronze Age to the Present영어 (2009, 2011)
  • ユーラシア帝国の興亡 : 世界史4000年の震源地일본어 (번역판, 2017)
  • Greek Buddha: Pyrrho's Encounter with Early Buddhism in Central Asia영어 (2015)
  • The Scythian Empire: Central Eurasia and the Birth of the Classical Age from Persia to China영어 (2023)

4. 저서

참조

[1] 웹사이트 Christopher Beckwith: Faculty: Department of Central Eurasian Studies http://www.indiana.e[...] Indiana.edu 2009-08-06
[2] 간행물 Christopher Beckwith, Philologist https://www.macfound[...] MacArthur Foundation 1986
[3] 웹사이트 Christopher I. Beckwith https://sgis.indiana[...] 2018-01-27
[4] 서적 Greek Buddha: Pyrrho's Encounter with Early Buddhism in Central Asia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5
[5] 뉴스 Information Highway: Camel Speed but Exotic Link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9-11-12
[6] 서적 How the Brahmins Won https://brill.com/di[...] Brill 2016-03-21
[7] 논문 Reviews https://poj.peeters-[...] 2016
[8] 논문 "Greek Buddha: Pyrrho's encounter with early Buddhism in central Asia" 2016
[9] 논문 "Neither Scythian nor Greek: A Response to Beckwith's Greek Buddha and Kuzminski's Early Buddhism Reconsidered"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8-07
[10] 논문 Reviewed Work: The Tibetan Empire in Central Asia: A History of the Struggle for Great Power among Tibetans, Turks, Arabs and Chinese during the Early Middle Ages by Christopher I. Beckwith 1990
[11] 간행물 Brill's Proceedings of the Ninth Seminar of the IATS: Medieval Tibeto-Burman Languages https://www.iias.asi[...] International Institute for Asian Studies 2002
[12] 논문 Christopher I. Beckwith—Koguryo, the Language of Japan's Continental Relatives (Leiden: Brill, 2004) http://actakoreana.k[...] 2017-11-07
[13] 논문 Koguryo, the Language of Japan's Continental Relatives: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ical-Comparative Study of the Japanese-Koguryoic Languages with a Preliminary Description of Archaic Northeastern Middle Chinese http://hal.archives-[...] University of Hawaii Press
[14] 논문 Empires of the Silk Road: A History of Central Eurasia from the Bronze Age to the Present http://www.ynlc.ca/y[...] 2015-01-02
[15] 논문 Empires of the Silk Road: A History of Central Eurasia from the Bronze Age to the Present http://www.clarkrile[...] 2015-01-02
[16] 웹사이트 Christopher Beckwith: Faculty: Department of Central Eurasian Studies http://www.indiana.e[...] Indiana.edu 2009-08-06
[17] 간행물 "文献学者 クリストファー・ベックウィズ" https://www.macfound[...] マッカーサー基金 1986
[18] 웹사이트 Christopher I. Beckwith https://sgis.indiana[...] 2018-11-23
[19] 서적 ギリシアのブッダ:ピュロンと初期仏教との出会い https://www.kinokuni[...] 紀伊國屋書店
[20] 서적 Greek Buddha: Pyrrho's Encounter with Early Buddhism in Central Asia プリンストン大学出版局 2015
[21] 뉴스 Information Highway: Camel Speed but Exotic Links https://www.nytimes.[...] ニューヨーク・タイムズ 2009-11-12
[22] 논문 Reviewed Work: The Tibetan Empire in Central Asia: A History of the Struggle for Great Power among Tibetans, Turks, Arabs and Chinese during the Early Middle Ages by Christopher I. Beckwith 1990
[23] 간행물 Brill's Proceedings of the Ninth Seminar of the IATS: Medieval Tibeto-Burman Languages https://www.iias.asi[...] 国際アジア研究センター 2002
[24] 논문 Christopher I. Beckwith—Koguryo, the Language of Japan's Continental Relatives (Leiden: Brill, 2004) http://actakoreana.k[...] 2017-11-07
[25] 논문 Koguryo, the Language of Japan's Continental Relatives: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ical-Comparative Study of the Japanese-Koguryoic Languages with a Preliminary Description of Archaic Northeastern Middle Chinese http://hal.archives-[...] ハワイ大学出版局
[26] 논문 Empires of the Silk Road: A History of Central Eurasia from the Bronze Age to the Present http://www.ynlc.ca/y[...] 2015-01-02
[27] 논문 Empires of the Silk Road: A History of Central Eurasia from the Bronze Age to the Present http://www.clarkrile[...]
[28] 웹인용 Christopher Beckwith :: Faculty http://www.indiana.e[...] 2012-09-24
[29] 문서 Koguryo, the language of Japan's continental relatives :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ical-comparative study of the Japanese-Koguryoic languages with a preliminary description of Archaic northeastern Middle Chine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