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탈라르 아라스 데르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탈라르 아라스 데르비는 터키 축구 클럽 갈라타사라이 SK와 페네르바흐체 SK 간의 라이벌전으로, 단순한 스포츠 경쟁을 넘어 사회, 문화적 차이에서 비롯되었다. 1909년 첫 경기가 치러진 이래, 두 팀은 이스탄불 축구 리그 등에서 경쟁하며 초기 역사를 써 내려갔다. 1934년 폭동 사건으로 두 클럽 간의 우호적인 관계는 종말을 맞이했다. 1959년 터키 프로 축구 리그가 출범하면서 갈라타사라이는 23회, 페네르바흐체는 19회 우승을 기록하며 터키 축구의 주요 라이벌로 자리 잡았다. 두 팀의 경기는 터키 축구 역사상 중요한 사건들을 만들어냈으며, 현재까지도 많은 팬들의 관심과 사랑을 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갈라타사라이 SK (축구) - 빅터 오시멘
나이지리아 출신 축구 선수 빅터 오시멘은 2015 FIFA U-17 월드컵 득점왕을 시작으로, SSC 나폴리에서 세리에 A 우승 및 득점왕, 올해의 선수상, 아프리카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하는 등 뛰어난 활약을 펼친 장신 스트라이커이다. - 갈라타사라이 SK (축구) - 다빈손 산체스
다빈손 산체스는 콜롬비아 국적의 축구 선수로 센터백 포지션에서 뛰며,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AFC 아약스, 토트넘 홋스퍼 FC를 거쳐 현재는 갈라타사라이 SK에서 활약하고, 콜롬비아 국가대표팀 선수로서 2018 FIFA 월드컵, 2019, 2021 코파 아메리카에 출전했으며, 2016-17 시즌 AFC 아약스 올해의 선수로 선정되었고 2024 코파 아메리카 대회 베스트 팀에 포함되었다.
크탈라르 아라스 데르비 | |
---|---|
기본 정보 | |
이름 | 키탈라르 아라스 데르비 (튀르키예어) 대륙간 더비 (한국어 번역) |
다른 이름 | 에젤리 레카베트 (튀르키예어: 영원한 라이벌) 도스툴루크 데르비스 (튀르키예어: 우정 더비, 과거) |
![]() | |
도시 또는 지역 | 이스탄불, 튀르키예 |
첫 경기 | 갈라타사라이 2–0 페네르바흐체 (1909년 1월 17일) |
참여 팀 | 페네르바흐체 SK 갈라타사라이 SK |
최다 승리 | 페네르바흐체 (149승) |
최다 득점자 | 제키 르자 스포렐 (27골) |
최다 출장 선수 | 투르가이 셰렌 (55경기) |
최근 경기 | 페네르바흐체 1–3 갈라타사라이 (2024년 9월 21일) |
다음 경기 | 갈라타사라이 대 페네르바흐체 (2025년 2월 23일) |
총 경기 수 | 401 |
시리즈 | 페네르바흐체: 149승 무승부: 123회 갈라타사라이: 129승 |
최대 점수차 승리 | 공식 경기 최대 점수차 승리: 페네르바흐체 6–0 갈라타사라이 (2002년 11월 6일) 1923년 이전 최대 점수차 승리: 갈라타사라이 7–0 페네르바흐체 (1911년 2월 12일) |
경기장 | 알리 사미 옌 스포르 콤플렉시 쉬크뤼 사라졸루 경기장 |
스포츠 | 축구 |
추가 정보 | |
5억 8천 5백만 리라 상당의 대륙간 더비 | 휘리예트 |
대륙간 더비 | 포토마츠 |
타오르는 증오 | ESPN |
대륙간 더비 – 페네르바흐체 – 갈라타사라이 | derbys.org |
튀르키예 – 챔피언 목록 | RSSSF |
튀르키예 스포츠 언론의 혐오 발언 | dergipark.org.tr |
갈라타사라이와 페네르바흐체 간의 우정과 경쟁 | GelGez |
bilyoner.com 여론 조사 | htspor.com |
2. 역사
크탈라르 아라스 데르비는 페네르바흐체와 갈라타사라이 두 터키 축구 클럽 간의 오랜 라이벌 관계이며, 단순한 스포츠 경쟁을 넘어 사회, 문화, 지역적 차이를 반영한다.
두 팀은 터키에서 가장 성공적인 축구 클럽으로, 쉬페르리그에서 갈라타사라이는 24회, 페네르바흐체는 19회 우승했다.[33] 터키 컵에서는 갈라타사라이가 18회, 페네르바흐체가 7회 우승했다.[34] 유럽 대항전에서는 갈라타사라이가 2000년 UEFA 컵과 2000년 UEFA 슈퍼컵에서 우승하여 페네르바흐체보다 더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페네르바흐체의 최고 성적은 2007-08 시즌 챔피언스 리그 8강[39]과 2012-13 시즌 유로파 리그 준결승 진출이다.
두 클럽의 라이벌 관계는 갈라타사라이 고등학교 학생들이 베이오을루 지역에서 창단한 갈라타사라이와 카디쾨이 지역의 중산층 남성들에 의해 창단된 페네르바흐체의 사회적, 지역적 차이에서 비롯되었다. 초기에는 갈라타사라이가 귀족, 페네르바흐체가 부르주아를 대표하는 경기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모든 사회 계층을 대표하는 팬층을 보유하고 있다.[40]
여론 조사에 따르면, 2011년에는 갈라타사라이가 35%, 페네르바흐체가 34%의 지지율을 기록했으나,[14][41] 2022년에는 갈라타사라이가 37.6%, 페네르바흐체가 32.3%의 지지율을 기록했다.[42] 소셜 미디어 팔로워 수는 갈라타사라이가 더 많다.
2. 1. 초기 역사 (1909년 ~ 1934년)
두 팀 간의 첫 경기는 1909년 1월 17일 일요일에 열린 친선 경기였다. 오늘날 쉬크뤼 사라졸루 경기장이 위치한 파파즌 차이르에서 열린 이 경기는 갈라타사라이가 2-0으로 승리했다. 1911년 2월 12일, 갈라타사라이는 페네르바흐체를 7-0으로 대파하며 역대 최다 점수 차 승리를 기록했다.[15][16][17] 페네르바흐체는 1914년 1월 4일, 이스탄불 축구 리그 경기에서 갈라타사라이를 4-2로 꺾고 첫 승리를 거두었다.
1912년, 갈라타사라이 회장 알리 사미 옌과 페네르바흐체 회장 갈리프 쿨락시조글루는 비터키 팀에 대항할 강력한 터키 팀을 구성하기 위해 '튀르크클뤼뷔'(터키 클럽)라는 통합 클럽 창단을 시도했다. 새 클럽은 빨간 별이 있는 흰색 유니폼을 입고 박물관을 설립하기로 합의했으나, 1913년 발칸 전쟁으로 인해 이 합의는 시행되지 못했다.
# | 날짜 | 대회 | 홈 | 결과 | 원정 | ||
---|---|---|---|---|---|---|---|
1 | 1909년 1월 17일 | 친선 경기 | 페네르바흐체 | 0–2 | 갈라타사라이 | 에민 뷜렌트 (?), 젤랄 (?) | |
2 | 1910년 1월 9일 | 이스탄불 리그 | 갈라타사라이 | 3–0 | 페네르바흐체 | 젤랄 (?), 아미티지 (?), 푸아트 휘스뉘 (?) | |
3 | 1910년 12월 4일 | 이스탄불 리그 | 갈라타사라이 | 5–0 | 페네르바흐체 | 리스 (2회?), 푸아트 휘스뉘 (2회?), 젤랄 (?) | |
4 | 1911년 2월 12일 | 이스탄불 리그 | 페네르바흐체 | 0–7 | 갈라타사라이 | - | 젤랄 4회(?), 에민 뷜렌트 2회(?), 이드리스 (?) |
5 | 1912년 4월 16일 | 친선 경기 | 페네르바흐체 | 0–1 | 갈라타사라이 | - | 에민 뷜렌트 (?) |
6 | 1913년 5월 4일 | 친선 경기 | 페네르바흐체 | 0–6 | 갈라타사라이 | - | 하스눈 2회(?), 에밀 3회(?), 베키르 (?) |
7 | 1913년 5월 25일 | 친선 경기 | 페네르바흐체 | 0–1 | 갈라타사라이 | - | 에민 뷜렌트 (80) |
8 | 1913년 10월 26일 | 친선 경기 | 페네르바흐체 | 0–3 | 갈라타사라이 | - | 에밀 2회(?), 미그르디치 |
9 | 1914년 1월 4일 | 이스탄불 리그 | 페네르바흐체 | 4–2 | 갈라타사라이 | 하산 카밀 3회(?), 사잇 (?) | ? |
10 | 1914년 5월 3일 | 이스탄불 리그 | 갈라타사라이 | 0–0 | 페네르바흐체 | - | - |
11 | 1914년 10월 2일 | 친선 경기 | 갈라타사라이 | 6–1 | 페네르바흐체 | 유수프 지야 2회(?), 하스눈 (?), ? | ? |
12 | 1915년 2월 19일 | 친선 경기 | 페네르바흐체 | 4–0 | 갈라타사라이 | ? | - |
13 | 1916년 2월 11일 | 이스탄불 리그 | 페네르바흐체 | 3–1 | 갈라타사라이 | 사잇 셀라하틴 2회(?), 갈립 (?) | ? |
14 | 1916년 3월 3일 | 이스탄불 리그 | 갈라타사라이 | 2–2 | 페네르바흐체 | ? | 갈립 (?), 히크메트 (?) |
15 | 1916년 12월 22일 | 이스탄불 리그 | 페네르바흐체 | 4–1 | 갈라타사라이 | 사잇 셀라하틴 2회(?), 제키 르자 (?), 콘스탄틴 (?) | ? |
16 | 1917년 4월 6일 | 이스탄불 리그 | 갈라타사라이 | 2–3 | 페네르바흐체 | ? | 사잇 셀라하틴 (?), 제키 르자 (?), 콘스탄틴 (?) |
17 | 1917년 12월 21일 | 이스탄불 리그 | 갈라타사라이 | 3–2 | 페네르바흐체 | ? | 미초 (?), 제키 르자 (?) |
18 | 1918년 4월 12일 | 이스탄불 리그 | 페네르바흐체 | 3–0 | 갈라타사라이 | 몰수 게임 | |
19 | 1918년 9월 19일 | 친선 경기 | 페네르바흐체 | 4–0 | 갈라타사라이 | 제키 르자 (20, 75, 85), 알라아틴 (30) | - |
20 | 1919년 10월 3일 | 친선 경기 | 페네르바흐체 | 3–0 | 갈라타사라이 | 알라아틴 (55), 이스메트 (70), 사비흐 (80) | - |
21 | 1920년 3월 19일 | 친선 경기 | 갈라타사라이 | 4–1 | 페네르바흐체 | ? | ? |
22 | 1920년 5월 21일 | 친선 경기 | 페네르바흐체 | 4–0 | 갈라타사라이 | ? | - |
23 | 1920년 10월 1일 | 친선 경기 | 페네르바흐체 | 3–2 | 갈라타사라이 | 갈립 (7), 알라아틴 (26), 사비흐 (32) | 네지프 (5), 사디 (20) |
24 | 1920년 12월 17일 | 이스탄불 리그 | 갈라타사라이 | 1–4 | 페네르바흐체 | ? | 제키 르자 2회(?), 휘스뉘 (?), 사비흐 (?) |
25 | 1921년 4월 1일 | 이스탄불 리그 | 페네르바흐체 | 4–0 | 갈라타사라이 | 사비흐 (?), 제키 르자 (?), 알라아틴 (?), ? | - |
26 | 1921년 6월 2일 | 친선 경기 | 갈라타사라이 | 2–1 | 페네르바흐체 | ? | ? |
27 | 1921년 11월 4일 | 이스탄불 리그 | 갈라타사라이 | 5–1 | 페네르바흐체 | 파즐 2회(?), 네지프 샤힌 (?), 수아트 (?), ? | 제키 르자 (?) |
28 | 1922년 6월 30일 | 친선 경기 | 갈라타사라이 | 0–3 | 페네르바흐체 | - | ? |
29 | 1922년 11월 17일 | 이스탄불 리그 | 페네르바흐체 | 3–0 | 갈라타사라이 | 메흐메트 나지프 (? 자책골), 갈립 (?), 제키 르자 (?) | - |
30 | 1923년 3월 9일 | 이스탄불 리그 | 갈라타사라이 | 0–4 | 페네르바흐체 | - | 사비흐 (25), 외메르 (32), 제키 르자 (41), 알라아틴 (80) |
31 | 1923년 6월 15일 | 친선 경기 | 갈라타사라이 | 0–1 | 페네르바흐체 | - | ? |
32 | 1923년 11월 2일 | 이스탄불 리그 | 페네르바흐체 | 4–0 | 갈라타사라이 | ? | - |
33 | 1924년 3월 7일 | 이스탄불 리그 | 갈라타사라이 | 2–0 | 페네르바흐체 | ? | - |
34 | 1924년 8월 15일 | 이스탄불 리그 | 갈라타사라이 | 3–2 | 페네르바흐체 | 니하트 (?), 메흐메트 (? 페널티킥), 미트하트 (? 페널티킥) | 제키 르자 2회(? 페널티킥) |
35 | 1925년 1월 23일 | 친선 경기 | 갈라타사라이 | 0–0 | 페네르바흐체 | - | - |
36 | 1925년 4월 24일 | 친선 경기 | 갈라타사라이 | 0–0 | 페네르바흐체 | - | - |
37 | 1925년 6월 12일 | 친선 경기 | 페네르바흐체 | 1–0 | 갈라타사라이 | 제키 르자 (78) | - |
38 | 1926년 4월 30일 | 이스탄불 리그 | 갈라타사라이 | 3–0 | 페네르바흐체 | 무슬리히딘 (25, 37), 니하트 (40 페널티킥) | - |
39 | 1926년 5월 14일 | 이스탄불 리그 | 페네르바흐체 | 1–3 | 갈라타사라이 | 알라아딘 (73) | 메흐메트 나지프 (43), 베다트 (60), 니하트 (78) |
40 | 1927년 4월 1일 | 이스탄불 리그 | 갈라타사라이 | 5–1 | 페네르바흐체 | 메흐메트 (15), 에르취멘트 (35, 48), 레비이 (41, 83) | 세다트 (80 페널티킥) |
41 | 1927년 5월 6일 | 친선 경기 | 갈라타사라이 | 1–1 | 페네르바흐체 | ? | ? |
42 | 1928년 8월 10일 | 가지 뷔스트 | 페네르바흐체 | 3–3 | 갈라타사라이 | 알라아딘 (15), 피크레트 (30 페널티킥), 사디 (45) | 케말 (25), 무슬리히딘 (73), 메흐메트 (82) |
43 | 1928년 8월 31일 | 가지 뷔스트 | 갈라타사라이 | 4–0 | 페네르바흐체 | 네지데트 (15, 80, 88), 샤들리 (60) | - |
44 | 1928년 11월 16일 | 이스탄불 리그 | 갈라타사라이 | 2–0 | 페네르바흐체 | 케말 (1, 21) | - |
45 | 1929년 5월 10일 | 이스탄불 리그 | 페네르바흐체 | 1–2 | 갈라타사라이 | 알라아딘 (44) | 니하트 (25), 라티프 (87) |
46 | 1929년 11월 29일 | 이스탄불 리그 | 페네르바흐체 | 3–2 | 갈라타사라이 | 제키 르자 (31, 77), 알라아딘 (40) | 라티프 (20), 카드리 (38 자책골) |
47 | 1930년 3월 14일 | 이스탄불 쉴드 | 페네르바흐체 | 3–1 | 갈라타사라이 | ? | ? |
48 | 1930년 3월 28일 | 이스탄불 리그 | 갈라타사라이 | 1–1 | 페네르바흐체 | 레비이 (83) | 제키 르자 (75) |
49 | 1930년 12월 26일 | 이스탄불 리그 | 갈라타사라이 | 1–1 | 페네르바흐체 | 레비이 (17) | 무자페르 (61) |
50 | 1931년 3월 20일 | 이스탄불 리그 | 페네르바흐체 | 2–0 | 갈라타사라이 | 니야지 (65), 제키 르자 (75) | - |
51 | 1932년 5월 13일 | 친선 경기 | 페네르바흐체 | 1–2 | 갈라타사라이 | 알라아딘 (40) | 메흐메트 (32), 레비이 (50) |
52 | 1932년 5월 27일 | 친선 경기 | 갈라타사라이 | 0–1 | 페네르바흐체 | - | ? |
53 | 1933년 2월 10일 | 이스탄불 리그 | 페네르바흐체 | 5–1 | 갈라타사라이 | 제키 르자 (12, 75), 메흐메트 레샤트 (16), 무자페르 (48), 피크레트 (54 페널티킥) | 메흐메트 (9) |
54 | 1933년 6월 2일 | 이스탄불 리그 | 갈라타사라이 | 0–2 | 페네르바흐체 | - | 사반 (53, 85) |
55 | 1933년 11월 24일 | 이스탄불 리그 | 페네르바흐체 | 1–0 | 갈라타사라이 | 니야지 (43) | - |
56 | 1934년 5월 11일 | 이스탄불 리그 | 갈라타사라이 | 0–0 | 페네르바흐체 | - | - |
57 | 1934년 9월 21일 | 이스탄불 쉴드 | 갈라타사라이 | 1–0 | 페네르바흐체 | ? | - |
58 | 1934년 10월 29일 | 친선 경기 | 페네르바흐체 | 1–0 | 갈라타사라이 | 피크레트 (47) | - |
59 | 1934년 11월 30일 | 이스탄불 리그 | 갈라타사라이 | 0–0 | 페네르바흐체 | - | - |
2. 2. 1934년 폭동 사건

1934년 2월 23일 금요일, 탁심 스타디움에서 열린 페네르바흐체와 갈라타사라이의 친선 경기에서 예상치 못한 폭동이 발생했다. 밀리예트는 이 경기에 대해 "어제 경기를 보러 온 사람들은 축구가 아닌 경찰의 추격을 봤다"고 보도했다.[24] 두 팀 모두 승리를 간절히 원했고, 이로 인해 거친 반칙으로 경기가 여러 번 중단되어야 했다. 경기장의 높은 긴장은 관중석의 긴장으로도 이어졌다. 경기는 선수들 간의 싸움으로 끝났고, 심판은 경기를 중단할 수밖에 없었다. 이는 두 클럽 간의 우호적인 모습의 종말이었다.
2. 3. 터키 축구의 프로화 (1959년 ~ 현재)
1959년, UEFA 창설 이후 터키 프로 축구 리그(현재 쉬페르리그)가 결성되었다. 이는 터키 전국 축구의 최상위 프로 리그이자 터키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 대회이다. 1959년 ''밀리 리그''(전국 리그)는 터키 프로 리그의 첫 번째 시즌이었으며, 터키 국기의 색깔을 딴 크르므즈 그룹(Red Group)과 베야즈 그룹(White Group)의 두 그룹으로 나뉘어 16개 클럽으로 구성되었다. 첫 시즌은 1958년에 예선이 진행되어 1958-59 시즌이 아닌 1959년에 열렸다. 각 그룹 우승팀 간의 2차전으로 결승전이 진행되었는데, 갈라타사라이는 레드 그룹에서, 페네르바흐체는 화이트 그룹에서 우승하여 챔피언 결정전을 치렀다. 갈라타사라이는 메틴 옥타이의 골(공이 그물을 찢은 골)로 1차전에서 1-0으로 승리했지만, 페네르바흐체는 2차전에서 4-0으로 승리하며 합계 4-1로 우승을 차지했다.1995-96 시즌, 갈라타사라이와 페네르바흐체는 컵 결승전에서 맞붙었다. 페네르바흐체의 낙승이 예상되었으나, 갈라타사라이는 1차전에서 데인 손더스의 페널티킥으로 승리했다. 경기 후 갈라타사라이 감독 그레이엄 수네스는 경기장 중앙에 커다란 갈라타사라이 깃발을 꽂는 행동을 했는데, 이는 페네르바흐체 감독의 모욕적인 언사에 대한 반응이었다고 한다.[25]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00 | 01 | 02 | 03 | 04 | 05 | 06 | 07 | 08 | 0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
3 | 3 | 3 | 3 | 3 | 3 | 3 | 3 | 3 | 3 | 3 | 3 | 3 | 3 | 3 | 3 | 3 | 3 | 3 | 3 | 3 | 3 | 3 | |||||||||||||||||||||||||||||||||||||
4 | 4 | 4 | 4 | 4 | 4 | 4 | 4 | ||||||||||||||||||||||||||||||||||||||||||||||||||||
5 | 5 | 5 | 5 | 5 | 5 | 5 | 5 | 5 | |||||||||||||||||||||||||||||||||||||||||||||||||||
6 | 6 | 6 | 6 | ||||||||||||||||||||||||||||||||||||||||||||||||||||||||
8 | 8 | 8 | 8 | ||||||||||||||||||||||||||||||||||||||||||||||||||||||||
9 | 9 | ||||||||||||||||||||||||||||||||||||||||||||||||||||||||||
10 | 10 | ||||||||||||||||||||||||||||||||||||||||||||||||||||||||||
11 | 11 |
2. 4. 주요 사건
1995-96 시즌, 갈라타사라이는 터키 컵 결승에서 페네르바흐체를 꺾고 우승했다. 당시 갈라타사라이 감독이었던 그레이엄 수네스는 경기 후 경기장 중앙에 커다란 갈라타사라이 깃발을 꽂아 논란을 일으켰다.[25]2002년 11월 6일, 페네르바흐체는 갈라타사라이를 6-0으로 대파하며 쉬페르리그 역대 최다 점수 차 승리를 기록했다. 특히 페네르바흐체는 한 명이 부족한 상황에서 4골을 몰아넣는 저력을 과시했다.[18][19][20][21][22][23]
2006-07 시즌에는 갈라타사라이 팬들이 경기장에 물병 등 수천 개의 물건을 투척하여 경기가 중단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이 경기는 '물 더비'(튀르키예어: ''술루 데르비'')라는 별명을 얻었다.
2011-12 시즌, 갈라타사라이는 페네르바흐체의 홈구장인 쉬크뤼 사라졸루 스타디움에서 무승부를 기록하며 우승을 확정 지었다. 경기 후 갈라타사라이 선수들은 탈의실 벽에 '카디쿄이 메모리'(터키어: ''Kadıköy Hatırası'')라는 문구를 남겨 페네르바흐체 팬들을 자극했다.[31][32]
페네르바흐체는 1999년 12월부터 2020년 2월까지 홈에서 갈라타사라이를 상대로 20년간 무패 기록(23경기 연속)을 이어갔다.
3. 문화
갈라타사라이와 페네르바흐체 두 팀 간의 라이벌 관계는 사회적, 문화적, 지역적 차이에서 비롯되었다.[40] 갈라타사라이는 1905년 베이오을루 지역의 갈라타사라이 고등학교 학생들에 의해 창단된 반면, 페네르바흐체는 1907년 카디쾨이 지역의 중산층 남성들에 의해 창단되었다.
갈라타사라이는 이튼에 해당하는 이스탄불의 갈라타사라이 고등학교, 즉 오스만 제국 엘리트들에게 프랑스어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세워진 400년 된 기관의 졸업생들에 의해 창단되었다. 1905년, 알리 사미 옌은 친구들에게 자신의 신발 가죽으로 수리한 공을 제시하며 축구팀을 시작해야 한다고 설득했다. 한편, 페네르바흐체는 경제적으로 번영하는 아나톨리아의 새로운 자본을 기반으로 창단되었다. 그들은 야심차고, 근면하며, 재정적으로 뛰어난, 급속히 현대화되는 아나톨리아의 축소판으로 여겨졌다. 이러한 차이점 때문에 두 클럽 간의 더비 경기는 터키 귀족과 부르주아의 충돌로 간주되었다.
1970년대에 페네르바흐체는 추정상 국가의 60%의 지지를 받았고, 갈라타사라이는 여전히 이스탄불의 상류층 사회의 강력한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갈라타사라이는 1987년부터 특히 1990년대에 구단이 성장하기 시작하면서 두 클럽 간의 인기 격차를 좁히는 데 성공했으며, 결국 2000년에 UEFA컵과 2000년 UEFA 슈퍼컵에서 우승하여 페네르바흐체의 역사적 성공에 필적하거나 많은 경우 능가했다. 팬층 간의 계급 차이는 서서히 사라졌고, 한때 두 팀을 분리했던 사회적 격차는 수년에 걸쳐 좁혀졌다. 오늘날, 두 클럽 모두 모든 사회 계층을 대표하는 팬층을 자랑한다.[40]
2011년 한 여론 조사에서, 140만 명의 터키 시민들이 bilyoner.com에 의해 터키에서 지지하는 팀을 묻는 질문을 받았고, 그 결과 갈라타사라이가 35%의 득표율을 기록한 반면, 페네르바흐체는 34%를 기록하여 팬의 거의 7/10을 차지했다.[14][41] 페네르바흐체는 조사 대상 인원수와 조사 지역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이 여론 조사의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주장했다. 구단 관계자는 페네르바흐체를 "터키에서 항상 의심할 여지 없이 가장 인기 있는 클럽"이라고 밝혔다.
2022년 7월 소시오스가 터키인 45,77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갈라타사라이는 터키인들의 37.6%의 지지를 받았고, 페네르바흐체는 32.3%의 지지를 받았다.[42]
갈라타사라이와 페네르바흐체는 소셜 미디어에서 많은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다. 갈라타사라이의 소셜 미디어 계정 팔로워 수가 더 많다.
4. 경기장
페네르바흐체 | 갈라타사라이 |
---|---|
쉬크뤼 사라졸루 스타디움 | 튀르크 텔레콤 아레나 |
수용인원: 50,509명 | 수용인원: 52,652명 |
페네르바흐체는 쉬크뤼 사라졸루 스타디움을, 갈라타사라이는 튀르크 텔레콤 아레나를 홈구장으로 사용한다.
4. 1. 쉬크뤼 사라졸루 스타디움

수용 인원은 50,509명이다.
4. 2. 튀르크 텔레콤 아레나
튀르크 텔레콤 아레나의 수용 인원은 52,652명이다.[1]
5. 역대 전적
두 팀 간의 첫 경기는 1909년 1월 17일 일요일 친선 경기로, 파파즌 차이르(현재의 쉬크뤼 사라졸루 경기장 위치)에서 열렸으며 갈라타사라이가 2-0으로 승리했다.[52] 페네르바흐체는 1914년 1월 4일 이스탄불 축구 리그 경기에서 갈라타사라이를 4-2로 꺾고 첫 승리를 거두었다.[53]
2003년 9월 21일, 두 팀은 쉬페르리그 경기에서 71,334명의 관중 앞에서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가장 큰 점수 차 승리는 1911년 2월 12일 갈라타사라이가 7-0으로 승리한 경기이다.[15][16][17] 현대식 경기에서 가장 큰 점수 차 승리는 2002년 11월 6일 페네르바흐체가 갈라타사라이를 6-0으로 이긴 경기이며, 당시 페네르바흐체는 선수 한 명이 부족한 상황에서 4골을 넣었다.[18][19][20][21][22][23]
페네르바흐체는 쉬크뤼 사라졸루 경기장에서 갈라타사라이에게 홈 경기 패배를 거의 허용하지 않는 것으로 유명하다. 갈라타사라이는 1999년 12월 22일부터 2020년 2월 23일까지 20년(23경기 연속) 동안 페네르바흐체를 이기지 못하다가, 이후 연승을 끊었다. 그 이후로 갈라타사라이는 6경기 중 4경기에서 승리했다.
갈라타사라이와 페네르바흐체는 터키에서 가장 성공적인 축구 클럽으로, 1959년 창단 이후 쉬페르리그에서 갈라타사라이가 24회, 페네르바흐체가 19회 우승했다.[33] 튀르키예 쿠파스에서는 갈라타사라이가 18회, 페네르바흐체가 7회 우승했다.[34] 유럽 대회에서는 갈라타사라이가 2000년 UEFA 컵과 2000년 UEFA 슈퍼컵에서 우승했으며, 챔피언스 리그에서 가장 많은 포인트를 획득한 터키 클럽이다.[35][36][37][38] 페네르바흐체는 2007-2008 시즌 챔피언스 리그 8강[39]과 2012-2013 시즌 유로파 리그 준결승에 진출했다.
2024년 9월 21일 기준으로, 쉬페르리그에서는 페네르바흐체가 갈라타사라이를 상대로 53승 38패(44무)로 앞서고 있다. 전체 공식 경기에서는 페네르바흐체가 101승 87패(91무)를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튀르키예 쿠파스와 튀르키예 슈퍼 컵에서는 갈라타사라이가 17승 4패(12무)로 더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다.
총 68번의 쉬페르리그 시즌 중 33번의 시즌이 페네르바흐체 또는 갈라타사라이의 우승으로 끝났으며, 39번의 시즌에서 두 팀이 3위 안에 들었고, 그 중 19번은 1, 2위를 차지했다. 갈라타사라이의 최저 순위는 2021-22 시즌 13위였고, 페네르바흐체의 최저 순위는 1980-81 시즌 10위였다. 두 팀 모두 강등된 적은 없다.
5. 1. 종합 전적
페네르바흐체갈라타사라이
페네르바흐체
갈라타사라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