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수의 이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큰 수의 이름은 한자 문화권, 서양 문화권 등 문화권별로 다양한 명명 체계를 가지며, 각기 다른 수의 단위를 사용한다. 한자 문화권에서는 일, 십, 백, 천, 만, 억, 조, 경, 해, 자, 양, 구, 간, 정, 재, 극, 항하사, 아승기, 나유타, 불가사의, 무량대수 등의 단위를 사용하며, 각 단위는 십진법, 만진법, 억진법, 상수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를 나타낸다. 서양 문화권에서는 쇼트 스케일과 롱 스케일 방식을 사용하며, 백만, 십억, 조 등의 단위를 사용한다. 또한, 구골, 구골플렉스와 같은 특별한 큰 수도 존재하며, 과학적 표기법을 통해 10의 거듭제곱을 나타내기도 한다. 큰 수의 이름은 금융, 경제 분야에서 활용되며, 아르키메데스부터 시작하여 많은 사람들이 큰 수를 개념화하고 명명하는 데 기여해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학에 관한 목록 - 작은 수의 이름
작은 수의 이름은 한자 수사, 국제단위계 접두어, 롱 스케일과 숏 스케일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되며, 현대에는 SI 접두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수학에 관한 목록 - 라이프니츠 공식
- 수 - 작은 수의 이름
작은 수의 이름은 한자 수사, 국제단위계 접두어, 롱 스케일과 숏 스케일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되며, 현대에는 SI 접두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수 - 소수점
소수점은 숫자의 정수 부분과 소수 부분을 구별하는 기호로, 십진법 표기에서 주로 사용되며 국가별로 마침표 또는 쉼표를 구분 기호로 사용한다. - 한자 - 한문
한문은 고대 중국어 문법에 기반한 문어체로, 동아시아 각국에서 현지화되었으며, 한자의 특성상 해석이 다양할 수 있고, 외교 및 문화 교류를 통해 수용되어, 현대에는 학술 연구, 고전 문학 등에서 사용되며 동아시아 문화와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한자 - 한자 부활
한자 부활은 과거 한자 문화권 국가에서 한자 사용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이나 주장을 의미하며, 대한민국에서는 한글 전용법 이후 제한된 한자 사용에 대한 논쟁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한자 교육 부활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한자 미사용이, 베트남에서는 로마자 보급 후 감소한 한자 사용에 대한 부활 주장이 나타나고 있다.
큰 수의 이름 |
---|
2. 한자 문화권의 큰 수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일본, 싱가포르를 비롯한 한자 문화권에서는 일(一)·십(十)·백(百)·천(千)·만(萬)·억(億)·조(兆)·경(京)·해(垓)·자(秭)·양(穰)·구(溝)·간(澗)·정(正)·재(載)·극(極)·항하사(恒河沙)·아승기(阿僧祇)·나유타(那由他)·불가사의(不可思議)·무량대수(無量大數) 등의 수사 (품사)|수사가 사용된다. 일·십·백·천·만이 나타내는 수는 각각 1·10·100·1000·10000으로 같으나, 그 뒤의 각 수사를 수에 대응시키는 방법은 다양하며, 이십체진(以十遞進), 이만체진(以萬遞進), 이억체진(以億遞進), 상수(上數) 등이 있다.
- 이십체진(以十遞進) 또는 십진법(十進法) 또는 하수(下數): 수사가 나타내는 수의 값과 이름이 열 배씩 변화한다. 다만 만만은 108이다.
- 이만체진(以萬遞進) 또는 만진법(萬進法) 또는 중수(中數): 만 다음부터 수사가 나타내는 수의 값과 이름이 만 배씩 변화한다. 오늘날 한국어에서 사용되는 명수법이다.
- 이억체진(以億遞進) 또는 억진법(億進法) 또는 중수(中數): 억 다음부터 수사가 나타내는 수의 값과 이름이 억 배씩 변화한다.
- 상수(上數): 만 다음부터 수사가 나타내는 수가 제곱씩 변화한다.
고대 중국 산학서 《수술기유(數術記遺)》·《오경산술(五經算術)》·《손자산경(孫子山經)》에는 억부터 재까지의 수사 및 하수·중수(이억체진)·상수가 소개되어 있으며, 중수만이 사용된다고 언급한다. 원나라 산학서 《산학계몽(算學啓蒙)》에서는 불교 용어에서 유래한 극부터 무량수까지의 수사가 추가되었다. 조선 산학서 《구수략(九數略)》·《산학입문(算學入門)》에는 중국에서 들어온 수사와 이억체진 명수법이 기록되어 있으며, 이들이 고대 한국부터 들어왔다는 견해가 존재한다. 일본의 《진겁기(塵劫記)》와 청나라의 《수리정온(數理精蘊)》에서 이만체진 명수법이 도입되었다. 한국은 18세기까지는 이억체진 명수법이 사용되다가 개화기에 들어 일본으로부터 이만체진 명수법이 도입되어 오늘날 사용되는 명수법이 되었으나, 많은 사전에는 이십체진 또는 이억체진 명수법에 의한 뜻풀이도 남아있다.
수사 | 수 | 비고 | ||||
---|---|---|---|---|---|---|
한국어 | 한자 | 이십체진 | 이만체진 | 이억체진 | 상수 | |
일 | 一/壹 | 100 | 100 | 100 | 100 | |
십 | 十/拾 | 101 | 101 | 101 | 101 | |
백 | 百/佰/陌 | 102 | 102 | 102 | 102 | |
천 | 千/仟/阡 | 103 | 103 | 103 | 103 | |
만 | 萬/万 | 104 | 104 | 104 | 104 | 무수히 많은 수를 나타내기 위해 구어|구어체 언어에서 사용될 수 있다.[21] |
억 | 億 | 105 | 108 | 108 | 108 | 춘추전국 시대까지의 중국에서는 10의 5제곱(105)을 의미했다. |
조 | 兆 | 106 | 1012 | 1016 | 1016 | 춘추전국 시대까지의 중국에서는 10의 6제곱(106)을 의미했으며, 18세기 전까지의 조선에서는 10의 16제곱(1016)을 의미했다. |
경 | 京 | 107 | 1016 | 1024 | 1032 | 춘추전국 시대까지의 중국에서는 10의 7제곱(107)을 의미했다. |
해 | 垓 | 108 | 1020 | 1032 | 1064 | 춘추전국 시대까지의 중국에서는 10의 8제곱(108)을 의미했다. |
자 | 秭 | 109 | 1024 | 1040 | 10128 | |
양 | 穰/壤 | 1010 | 1028 | 1048 | 10256 | |
구 | 溝 | 1011 | 1032 | 1056 | 10512 | |
간 | 澗 | 1012 | 1036 | 1064 | 101024 | |
정 | 正 | 1013 | 1040 | 1072 | 102048 | |
재 | 載 | 1014 | 1044 | 1080 | 104096 | |
극 | 極 | 1015 | 1048 | 1088 | 108192 | |
항하사 | 恒河沙 | 1016 | 1052 | 1096 | 1016384 | 인도의 갠지스강을 나타내는 단어인 항하(恒河)에서 비롯된 명칭이다. |
아승기 | 阿僧祇 | 1017 | 1056 | 10104 | 1032768 | 불경 ‘화엄경’에서 나온 산스크리트어 asaṃkhyasa (또는 아산키야 asaṃkhyeyasa)를 음역한 말로 승기, 아승기야(阿僧祇耶)라고도 하며, 무수겁(無數劫), 헤아릴 수 없는 많은 시간을 뜻한다. |
나유타 | 那由他 | 1018 | 1060 | 10112 | 1065536 | |
불가사의 | 不可思議 | 1019 | 1064 | 10120 | 10131072 | 본래 불교에서 말로 표현하거나 마음으로 생각할 수 없는 오묘한 이치 또는 가르침을 뜻하며, 언어로 표현할 수 없는 놀라운 상태를 일컫기도 한다. |
무량수/무량대수 | 無量數/無量大數 | 1020 | 1068 | 10128 | 10262144 | 한자 문화권에서 사용되는 수의 단위 중 그 값이 가장 큰 단위. |
2. 1. 명수법
2. 2. 역사적 변천
3. 서양 문화권의 큰 수
영어권을 비롯한 서양 문화권의 경우, 큰 수를 부를 때에는 천 배마다 단위가 바뀌는 쇼트 스케일(short scale)과 백만 배마다 단위가 바뀌는 롱 스케일(long scale)의 두 가지 방법이 존재한다. 현대 영어권에서는 주로 쇼트 스케일이 사용되며, 다른 서양 언어에서는 롱 스케일에 상응하는 표현이 사용된다.
"백만"과 "백만의 제곱"이라는 단어는 1475년 장 아담의 필사본에 처음 기록되었다. 그 후, 니콜라 쥐케는 ''수론 삼부작''이라는 책을 저술했는데, 이 책은 쥐케 생전에는 출판되지 않았지만, 대부분 에티엔 드 라 로슈가 1520년 저서 ''산술''의 일부에 복사했다. 쥐케의 책에는 큰 수를 6자리씩 묶어 표시한 구절이 있으며, "첫 번째 점은 백만, 두 번째 점은 백만의 제곱, 세 번째 점은 백만의 세제곱..."과 같이 설명되어 있다.
아담과 쥐케는 장음계를 사용했는데, 즉 아담의 "백만의 제곱"(쥐케의 "백만의 제곱")은 1012을, 아담의 "백만의 세제곱"(쥐케의 "백만의 세제곱")은 1018을 나타냈다.
전통적인 영국식 표기법은 백만의 각 거듭제곱에 새로운 이름을 할당하는 롱 스케일 방식이었다. 예를 들어 1,000,000은 백만, 1,000,0002은 10억, 1,000,0003은 1조 등으로 표기했다. 이는 프랑스어 사용법에서 유래되었으며, 츄케가 문서화하거나 고안한 시스템과 유사하다.
전통적인 미국식 표기법(역시 프랑스어에서 유래되었지만 나중에 채택됨), 캐나다식, 현대 영국식 표기법은 천의 각 거듭제곱에 새로운 이름을 할당하는 숏 스케일 방식이다. 따라서, ''십억''은 1000 × 10002 = 109이고, ''조''는 1000 × 10003 = 1012이다. 금융계에서의 지배력(그리고 미국 달러) 때문에, 이는 공식적인 유엔 문서에 채택되었다.
전통적인 프랑스어 사용법은 다양했다. 1948년, 원래 전 세계적으로 숏 스케일을 대중화했던 프랑스는 롱 스케일로 되돌아갔다.
''Milliard''라는 용어는 명확하며 항상 109을 의미한다. 이는 미국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영국에서도 드물게 사용되지만, 유럽 대륙에서는 자주 사용된다. 이 용어는 프랑스 수학자 자크 펠르티에 뒤 망에게 기인하기도 하지만,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서는 이 용어가 고전 라틴어 이후의 용어인 ''milliartum''에서 유래되었다고 설명한다.
106''n''+3의 숫자에 대한 -illiard로 끝나는 이름과 관련하여, ''milliard''는 영어가 아닌 다른 언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더 큰 용어의 실제 사용 정도는 의문시된다. 이탈리아어의 "milliardo", 독일어의 "Milliarde", 네덜란드어의 "miljard", 터키어의 "milyar", 러시아어의 "миллиард," milliard(음역)는 금융 주제를 논의할 때 표준 사용법이다.
큰 숫자를 명명하는 절차는 103''n''+3 (숏 스케일) 또는 106''n'' (롱 스케일)에서 발생하는 숫자 ''n''을 가져와 단위, 십, 백의 자리에 대한 라틴어 어근을 접미사 ''-illion''과 함께 연결하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
Conway와 Guy가 설명한 시스템을 기반으로 접두사를 구성하면 다음과 같다.[5]
단위 | 십 | 백 | |
---|---|---|---|
1 | Un | N Deci | NX Centi |
2 | Duo | MS Viginti | N Ducenti |
3 | Tre | NS Triginta | NS Trecenti |
4 | Quattuor | NS Quadraginta | NS Quadringenti |
5 | Quin | NS Quinquaginta | NS Quingenti |
6 | Se | N Sexaginta | N Sescenti |
7 | Septe | N Septuaginta | N Septingenti |
8 | Octo | MX Octoginta | MX Octingenti |
9 | Nove | Nonaginta | Nongenti |
:(*) "tre"는 S 또는 X로 표시된 구성 요소 앞에 오면 "tres"로, "se"는 "ses" 또는 "sex"로 변경된다.[5] 마찬가지로 "septe"와 "nove"는 M 또는 N으로 표시된 구성 요소 앞에 오면 "septem"과 "novem" 또는 "septen"과 "noven"으로 변경된다.[5]
Conway와 Guy는 Allan Wechsler와 함께 이 시스템을 무한정 확장하여 모든 정수에 대한 영어 숏 스케일 이름을 제공할 수 있는 일관된 규칙을 고안했다.[5] ''n''이 1000 이상인 숫자 103''n''+3의 이름은 ''n''의 쉼표로 구분된 각 숫자 그룹을 나타내는 103''m''+3 형태의 숫자의 이름을 마지막 "-illion"을 제외하고 "-illi-"로 잘라내어 연결하여 형성된다.[5]
다음 표는 Conway와 Guy가 설명한 숏 스케일과 롱 스케일에 대해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숫자 이름을 보여준다.[3]
백만은 106, 십억은 109, 조는 1012와 같이 표현한다.[7][8][9][10][11][12][13][14][15] 백만을 제외하고, -''illion''으로 끝나는 단어들은 -''illion'' 어간에 라틴어에서 파생된 접두사(''bi''-, ''tri''- 등)를 추가하여 만들어진다.[16] ''센틸리언''[17]은 이러한 사전에 포함된 -"illion"으로 끝나는 가장 높은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x | 이름 (SS/LS, LS) | SS (103x+3) | LS (106x, 106x+3) | 권위자 | ||||||||
---|---|---|---|---|---|---|---|---|---|---|---|---|
AHD4[7] | CED[8] | COD[9] | OED2[10] | OEDweb[11] | RHD2[12] | SOED3[13] | W3[14] | HM[15] | ||||
1 | 백만 | 106 | 106 | ✓ | ✓ | ✓ | ✓ | ✓ | ✓ | ✓ | ✓ | ✓ |
10억 | 109 | ✓ | ✓ | ✓ | ✓ | ✓ | ✓ | ✓ | ||||
2 | 십억 | 109 | 1012 | ✓ | ✓ | ✓ | ✓ | ✓ | ✓ | ✓ | ✓ | ✓ |
3 | 조 | 1012 | 1018 | ✓ | ✓ | ✓ | ✓ | ✓ | ✓ | ✓ | ✓ | ✓ |
4 | 1000조 | 1015 | 1024 | ✓ | ✓ | ✓ | ✓ | ✓ | ✓ | ✓ | ✓ | ✓ |
5 | 100경 | 1018 | 1030 | ✓ | ✓ | ✓ | ✓ | ✓ | ✓ | ✓ | ✓ | ✓ |
6 | 10해 | 1021 | 1036 | ✓ | ✓ | ✓ | ✓ | ✓ | ✓ | ✓ | ✓ | |
7 | 10자 | 1024 | 1042 | ✓ | ✓ | ✓ | ✓ | ✓ | ✓ | ✓ | ✓ | |
8 | 10양 | 1027 | 1048 | ✓ | ✓ | ✓ | ✓ | ✓ | ✓ | ✓ | ✓ | |
9 | 10구 | 1030 | 1054 | ✓ | ✓ | ✓ | ✓ | ✓ | ✓ | ✓ | ✓ | |
10 | 10간 | 1033 | 1060 | ✓ | ✓ | ✓ | ✓ | ✓ | ✓ | ✓ | ✓ | |
11 | 10정 | 1036 | 1066 | ✓ | ✓ | ✓ | ✓ | ✓ | ||||
12 | 10해 | 1039 | 1072 | ✓ | ✓ | ✓ | ✓ | ✓ | ✓ | |||
13 | 10경 | 1042 | 1078 | ✓ | ✓ | ✓ | ✓ | ✓ | ||||
14 | 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 1045 | 1084 | ✓ | ✓ | ✓ | ✓ | ✓ | ||||
15 | 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 1048 | 1090 | ✓ | ✓ | ✓ | ✓ | ✓ | ||||
16 | 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 1051 | 1096 | ✓ | ✓ | ✓ | ✓ | ✓ | ||||
17 | 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 1054 | 10102 | ✓ | ✓ | ✓ | ✓ | ✓ | ||||
18 | 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 1057 | 10108 | ✓ | ✓ | ✓ | ✓ | ✓ | ||||
19 | 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 1060 | 10114 | ✓ | ✓ | ✓ | ✓ | ✓ | ||||
20 | 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 1063 | 10120 | ✓ | ✓ | ✓ | ✓ | ✓ | ✓ | ✓ | ✓ | |
100 | 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 10303 | 10600 | ✓ | ✓ | ✓ | ✓ | ✓ | ✓ |
구골은 10100, 구골플렉스는 10구골(1010100)으로 표현된다.[7][8][9][10][11][12][13][14][15] 여러 사전에는 ''구골''과 ''구골플렉스''가 포함되어 있으며, 카스너와 뉴먼의 저서와 카스너의 조카에게 공을 돌린다. ''옥스퍼드 영어 사전''은 ''구골''과 ''구골플렉스''가 "공식적인 수학적 용어로는 사용되지 않는다"고 언급한다.
3. 1. 쇼트 스케일과 롱 스케일
"백만"과 "백만의 제곱"이라는 단어는 1475년 장 아담의 필사본에 처음 기록되었다. 그 후, 니콜라 쥐케는 ''수론 삼부작''이라는 책을 저술했는데, 이 책은 쥐케 생전에는 출판되지 않았지만, 대부분 에티엔 드 라 로슈가 1520년 저서 ''산술''의 일부에 복사했다. 쥐케의 책에는 큰 수를 6자리씩 묶어 표시한 구절이 있으며, "첫 번째 점은 백만, 두 번째 점은 백만의 제곱, 세 번째 점은 백만의 세제곱..."과 같이 설명되어 있다.
아담과 쥐케는 장음계를 사용했는데, 즉 아담의 "백만의 제곱"(쥐케의 "백만의 제곱")은 1012을, 아담의 "백만의 세제곱"(쥐케의 "백만의 세제곱")은 1018을 나타냈다.
전통적인 영국식 표기법은 백만의 각 거듭제곱에 새로운 이름을 할당하는 롱 스케일 방식이었다. 예를 들어 1,000,000은 백만, 1,000,0002은 10억, 1,000,0003은 1조 등으로 표기했다. 이는 프랑스어 사용법에서 유래되었으며, 츄케가 문서화하거나 고안한 시스템과 유사하다.
전통적인 미국식 표기법(역시 프랑스어에서 유래되었지만 나중에 채택됨), 캐나다식, 현대 영국식 표기법은 천의 각 거듭제곱에 새로운 이름을 할당하는 숏 스케일 방식이다. 따라서, ''십억''은 1000 × 10002 = 109이고, ''조''는 1000 × 10003 = 1012이다. 금융계에서의 지배력(그리고 미국 달러) 때문에, 이는 공식적인 유엔 문서에 채택되었다.
전통적인 프랑스어 사용법은 다양했다. 1948년, 원래 전 세계적으로 숏 스케일을 대중화했던 프랑스는 롱 스케일로 되돌아갔다.
''Milliard''라는 용어는 명확하며 항상 109을 의미한다. 이는 미국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영국에서도 드물게 사용되지만, 유럽 대륙에서는 자주 사용된다. 이 용어는 프랑스 수학자 자크 펠르티에 뒤 망에게 기인하기도 하지만,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서는 이 용어가 고전 라틴어 이후의 용어인 ''milliartum''에서 유래되었다고 설명한다.
106''n''+3의 숫자에 대한 -illiard로 끝나는 이름과 관련하여, ''milliard''는 영어가 아닌 다른 언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더 큰 용어의 실제 사용 정도는 의문시된다. 이탈리아어의 "milliardo", 독일어의 "Milliarde", 네덜란드어의 "miljard", 터키어의 "milyar", 러시아어의 "миллиард," milliard(음역)는 금융 주제를 논의할 때 표준 사용법이다.
큰 숫자를 명명하는 절차는 103''n''+3 (숏 스케일) 또는 106''n'' (롱 스케일)에서 발생하는 숫자 ''n''을 가져와 단위, 십, 백의 자리에 대한 라틴어 어근을 접미사 ''-illion''과 함께 연결하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
Conway와 Guy가 설명한 시스템을 기반으로 접두사를 구성하면 다음과 같다.[5]
단위 | 십 | 백 | |
---|---|---|---|
1 | Un | N Deci | NX Centi |
2 | Duo | MS Viginti | N Ducenti |
3 | Tre | NS Triginta | NS Trecenti |
4 | Quattuor | NS Quadraginta | NS Quadringenti |
5 | Quin | NS Quinquaginta | NS Quingenti |
6 | Se | N Sexaginta | N Sescenti |
7 | Septe | N Septuaginta | N Septingenti |
8 | Octo | MX Octoginta | MX Octingenti |
9 | Nove | Nonaginta | Nongenti |
:(*) "tre"는 S 또는 X로 표시된 구성 요소 앞에 오면 "tres"로, "se"는 "ses" 또는 "sex"로 변경된다.[5] 마찬가지로 "septe"와 "nove"는 M 또는 N으로 표시된 구성 요소 앞에 오면 "septem"과 "novem" 또는 "septen"과 "noven"으로 변경된다.[5]
Conway와 Guy는 Allan Wechsler와 함께 이 시스템을 무한정 확장하여 모든 정수에 대한 영어 숏 스케일 이름을 제공할 수 있는 일관된 규칙을 고안했다.[5] ''n''이 1000 이상인 숫자 103''n''+3의 이름은 ''n''의 쉼표로 구분된 각 숫자 그룹을 나타내는 103''m''+3 형태의 숫자의 이름을 마지막 "-illion"을 제외하고 "-illi-"로 잘라내어 연결하여 형성된다.[5]
다음 표는 Conway와 Guy가 설명한 숏 스케일과 롱 스케일에 대해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숫자 이름을 보여준다.[3]
3. 2. 주요 수사
백만은 106, 십억은 109, 조는 1012와 같이 표현한다.[7][8][9][10][11][12][13][14][15] 백만을 제외하고, -''illion''으로 끝나는 단어들은 -''illion'' 어간에 라틴어에서 파생된 접두사(''bi''-, ''tri''- 등)를 추가하여 만들어진다.[16] ''센틸리언''[17]은 이러한 사전에 포함된 -"illion"으로 끝나는 가장 높은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x | 이름 (SS/LS, LS) | SS (103x+3) | LS (106x, 106x+3) | 권위자 | ||||||||
---|---|---|---|---|---|---|---|---|---|---|---|---|
AHD4[7] | CED[8] | COD[9] | OED2[10] | OEDweb[11] | RHD2[12] | SOED3[13] | W3[14] | HM[15] | ||||
1 | 백만 | 106 | 106 | ✓ | ✓ | ✓ | ✓ | ✓ | ✓ | ✓ | ✓ | ✓ |
10억 | 109 | ✓ | ✓ | ✓ | ✓ | ✓ | ✓ | ✓ | ||||
2 | 십억 | 109 | 1012 | ✓ | ✓ | ✓ | ✓ | ✓ | ✓ | ✓ | ✓ | ✓ |
3 | 조 | 1012 | 1018 | ✓ | ✓ | ✓ | ✓ | ✓ | ✓ | ✓ | ✓ | ✓ |
4 | 1000조 | 1015 | 1024 | ✓ | ✓ | ✓ | ✓ | ✓ | ✓ | ✓ | ✓ | ✓ |
5 | 100경 | 1018 | 1030 | ✓ | ✓ | ✓ | ✓ | ✓ | ✓ | ✓ | ✓ | ✓ |
6 | 10해 | 1021 | 1036 | ✓ | ✓ | ✓ | ✓ | ✓ | ✓ | ✓ | ✓ | |
7 | 10자 | 1024 | 1042 | ✓ | ✓ | ✓ | ✓ | ✓ | ✓ | ✓ | ✓ | |
8 | 10양 | 1027 | 1048 | ✓ | ✓ | ✓ | ✓ | ✓ | ✓ | ✓ | ✓ | |
9 | 10구 | 1030 | 1054 | ✓ | ✓ | ✓ | ✓ | ✓ | ✓ | ✓ | ✓ | |
10 | 10간 | 1033 | 1060 | ✓ | ✓ | ✓ | ✓ | ✓ | ✓ | ✓ | ✓ | |
11 | 10정 | 1036 | 1066 | ✓ | ✓ | ✓ | ✓ | ✓ | ||||
12 | 10해 | 1039 | 1072 | ✓ | ✓ | ✓ | ✓ | ✓ | ✓ | |||
13 | 10경 | 1042 | 1078 | ✓ | ✓ | ✓ | ✓ | ✓ | ||||
14 | 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 1045 | 1084 | ✓ | ✓ | ✓ | ✓ | ✓ | ||||
15 | 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 1048 | 1090 | ✓ | ✓ | ✓ | ✓ | ✓ | ||||
16 | 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 1051 | 1096 | ✓ | ✓ | ✓ | ✓ | ✓ | ||||
17 | 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 1054 | 10102 | ✓ | ✓ | ✓ | ✓ | ✓ | ||||
18 | 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 1057 | 10108 | ✓ | ✓ | ✓ | ✓ | ✓ | ||||
19 | 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 1060 | 10114 | ✓ | ✓ | ✓ | ✓ | ✓ | ||||
20 | 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 1063 | 10120 | ✓ | ✓ | ✓ | ✓ | ✓ | ✓ | ✓ | ✓ | |
100 | 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 10303 | 10600 | ✓ | ✓ | ✓ | ✓ | ✓ | ✓ |
구골은 10100, 구골플렉스는 10구골(1010100)으로 표현된다.[7][8][9][10][11][12][13][14][15] 여러 사전에는 ''구골''과 ''구골플렉스''가 포함되어 있으며, 카스너와 뉴먼의 저서와 카스너의 조카에게 공을 돌린다. ''옥스퍼드 영어 사전''은 ''구골''과 ''구골플렉스''가 "공식적인 수학적 용어로는 사용되지 않는다"고 언급한다.
4. 그 밖의 큰 수
아래로 내려갈수록 더 큰 수이다.
- 구골:
- 센틸리언(short scale):
- 센틸리언(long scale):
- 구골플렉스:
- 구골플렉시안:
- 그레이엄 수: (커누스 윗화살표 표기법 참조)
- 거대수 거대수 정원수:(f10제곱)
''구골''과 ''구골플렉스''라는 이름은 에드워드 카스너의 조카인 밀턴 시로타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카스너와 뉴먼의 1940년 저서 ''상상력과 수학''[18]에서 다음과 같이 소개되었다.
존 호턴 콘웨이와 리처드 K. 가이[5]는 10N에 대한 이름으로 ''N-플렉스''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이는 10구골플렉스 = 10}}}}에 대한 이름인 ''구골플렉스플렉스''를 낳았다. 콘웨이와 가이[5]는 10−N에 대한 이름으로 ''N-마이넥스''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으며, 이는 구골플렉스의 역수에 대한 이름인 ''구골마이넥스''를 낳았으며, 이는 10)}}로 표기된다. 이러한 이름은 널리 사용되지 않는다.
''구골''과 ''구골플렉스''라는 이름은 각각 닷컴 기업인 구글과 그 본사인 구글플렉스의 이름에 영감을 주었다.
5. 큰 수의 활용
큰 수의 이름, 예를 들어 ''백만'', ''십억'', ''조''는 인간의 경험에서 실제적인 지시 대상을 가지며, 특히 금융 및 경제 분야에서 자주 사용된다. 때로는 하이퍼인플레이션의 결과로 큰 수의 이름이 일반적인 용법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인쇄된 가장 높은 액면가의 지폐는 1946년 헝가리에서 발행된 1 섹스틸리온 펭괴 (1021 또는 인쇄된 1 밀리아드 빌펭괴) 지폐였다.[4] 2009년, 짐바브웨는 100조 (1014) 짐바브웨 달러 지폐를 발행했는데, 인쇄 당시 약 30달러의 가치를 지녔다.[4] 2024년, 세계 경제에서 훨씬 더 큰 수의 이름이 사용되었는데, 러시아 뉴스 매체 RBK는 러시아에서 구글에 대한 법적 청구액이 총 2 언데실리온 (2) 루블, 또는 20 데실리온 미국 달러 (2)에 달한다고 보도했다. 이는 전 세계의 모든 금융 자산을 합한 것보다 더 큰 가치이다.[1] 크렘린 대변인 드미트리 페스코프는 이 가치가 상징적이라고 말했다.[2]
그러나 큰 수의 이름은 정의, 목록, 그리고 큰 수의 명명 방법에 대한 논의 외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 불안정하고 인위적인 존재이다. ''섹스틸리온''과 같은 잘 확립된 이름조차도 거의 사용되지 않는데, 천문학을 포함한 과학 분야에서는 그러한 큰 수가 자주 발생하며, 거의 항상 과학적 표기법을 사용하여 표기되기 때문이다. 이 표기법에서는 10의 거듭제곱을 숫자 지수로 표현한다. 예를 들어 "전파 은하의 X선 방출은 1.3×1045 줄"과 같다. 1045와 같은 수를 단어로 나타내야 할 때는 단순히 "십의 사십오 제곱" 또는 "십의 사십오 승"으로 읽는다. 이는 "쿼투오데실리온"보다 말하기 쉽고 모호성이 덜한데, 이는 롱 스케일과 숏 스케일에서 다른 의미를 갖기 때문이다.
숫자가 셈이 아닌 양을 나타낼 때는 SI 접두어를 사용할 수 있다. 즉, "펨토초"를 사용하는 것이지 "1천조 분의 1초"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다. 하지만 매우 크거나 작은 접두어 대신 10의 거듭제곱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어떤 경우에는, 천문학자의 파섹과 광년, 또는 입자 물리학자의 반과 같은 특수한 단위가 사용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큰 수는 지적인 매력을 가지고 있으며 수학적인 관심의 대상이며, 그 이름을 붙이는 것은 사람들이 이를 개념화하고 이해하려는 한 가지 방법이다.
이의 가장 초기의 예 중 하나는 아르키메데스가 큰 수의 명명 체계를 제시한 ''모래알을 세는 사람''이다. 이를 위해 그는 만 만 (108)까지의 숫자를 "첫 번째 숫자"라고 부르고, 108 자체를 "두 번째 숫자의 단위"라고 불렀다. 이 단위의 배수는 그 다음 두 번째 숫자가 되었고, 이 단위를 만 만 번, 즉 108·108=1016으로 곱한 값까지 이어졌다. 이것은 "세 번째 숫자의 단위"가 되었고, 그 배수는 세 번째 숫자가 되었으며, 이런 식으로 계속되었다. 아르키메데스는 이 방식으로 108번째 숫자의 단위의 만 만 배까지, 즉 숫자의 이름을 계속 지었고, 이 구조를 자체의 또 다른 복사본에 내장하여 까지의 숫자에 대한 이름을 만들었다. 아르키메데스는 그 후 알려진 우주를 채우는 데 필요한 모래알의 수를 추정했고, 그것이 "여덟 번째 숫자의 천 만" (1063)을 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 이후로, 상상 외에는 존재하지 않는 숫자를 개념화하고 명명하는 일에 많은 사람들이 참여해 왔다. 이러한 추구의 한 가지 동기는 단어 ''구골''의 발명가에게서 기인하는데, 그는 모든 유한한 숫자가 "이름을 가져야 한다"고 확신했다.
5. 1. 과학 분야
큰 수의 이름(예: 백만, 십억, 조)은 금융 및 경제 분야에서 자주 사용되며, 때로는 하이퍼인플레이션의 결과로 일반적인 용법으로 사용되기도 한다.[4] 인쇄된 가장 높은 액면가의 지폐는 1946년 헝가리에서 발행된 1 섹스틸리온 펭괴 지폐였다.[4] 2009년 짐바브웨는 100조 짐바브웨 달러 지폐를 발행했는데, 인쇄 당시 약 30달러의 가치를 지녔다.[4] 2024년, 러시아 뉴스 매체 RBK는 러시아에서 구글에 대한 법적 청구액이 총 2 언데실리온 루블(20 데실리온 미국 달러)에 달한다고 보도했다. 이는 전 세계 모든 금융 자산을 합한 것보다 큰 가치이다.[1] 크렘린 대변인 드미트리 페스코프는 이 가치가 상징적이라고 말했다.[2]그러나 큰 수의 이름은 정의, 목록, 명명 방법에 대한 논의 외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과학 분야에서는 과학적 표기법을 사용하여 10의 거듭제곱을 숫자 지수로 표현한다. 예를 들어, "전파 은하의 X선 방출은 1.3 × 1045 줄"과 같이 표현한다. 숫자가 양을 나타낼 때는 SI 접두어를 사용하거나, 천문학자의 파섹과 광년, 입자 물리학자의 반과 같은 특수 단위를 사용하기도 한다.
아르키메데스는 ''모래알을 세는 사람''에서 큰 수의 명명 체계를 제시했다. 그는 만 만 (108)까지의 숫자를 "첫 번째 숫자"라고 부르고, 108 자체를 "두 번째 숫자의 단위"라고 불렀다. 이런 식으로 108번째 숫자의 단위의 만 만 배까지, 즉 (108)(108)=108 · 108 숫자의 이름을 만들었다.
5. 2. 경제 및 금융 분야
하이퍼인플레이션의 결과로 큰 수의 이름이 일반적인 용법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인쇄된 가장 높은 액면가의 지폐는 1946년 헝가리에서 발행된 1 섹스틸리온 펭괴(1021 또는 인쇄된 1 밀리아드 빌펭괴) 지폐였다.[4] 2009년, 짐바브웨는 100조 (1014) 짐바브웨 달러 지폐를 발행했는데, 인쇄 당시 약 30달러의 가치를 지녔다.[4] 2024년, 세계 경제에서 훨씬 더 큰 수의 이름이 사용되었는데, 러시아 뉴스 매체 RBK는 러시아에서 구글에 대한 법적 청구액이 총 2 언데실리온 (2×1036) 루블, 또는 20 데실리온 미국 달러 (2×1034)에 달한다고 보도했다.[1] 이는 전 세계의 모든 금융 자산을 합한 것보다 더 큰 가치이다.[1] 크렘린 대변인 드미트리 페스코프는 이 가치가 상징적이라고 말했다.[2]5. 3. 정보 기술 분야
큰 수의 이름은 금융 및 경제 분야에서 실제적인 지시 대상을 가지며, 특히 하이퍼인플레이션 상황에서 자주 사용된다.[4] 예를 들어, 1946년 헝가리에서는 1 섹스틸리온 펭괴 지폐가 발행되었고, 2009년 짐바브웨에서는 100조 짐바브웨 달러 지폐가 발행되었다.[4] 2024년에는 러시아에서 구글에 대한 법적 청구액이 2 언데실리온 루블(20 데실리온 미국 달러)에 달한다는 보도가 있었는데, 이는 전 세계 금융 자산을 합한 것보다 큰 가치이다.[1] 크렘린 대변인 드미트리 페스코프는 이 가치가 상징적이라고 언급했다.[2]하지만 '섹스틸리온'과 같이 잘 알려진 큰 수의 이름도 과학 분야에서는 과학적 표기법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다.[4] 과학적 표기법은 10의 거듭제곱을 지수로 표현하며, 예를 들어 "십의 사십오 제곱"과 같이 읽는다. 숫자가 양을 나타낼 때는 SI 접두어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매우 크거나 작은 경우에는 10의 거듭제곱을 사용한다. 천문학의 파섹과 광년, 입자 물리학의 반과 같은 특수 단위도 사용된다.
아르키메데스는 ''모래알을 세는 사람''에서 큰 수의 명명 체계를 제시했으며, 이후 많은 사람들이 큰 수를 개념화하고 이름을 붙이는 데 참여했다. 국제수량계(ISQ)는 1024의 정수 거듭제곱을 나타내는 접두사를 정의한다.[20]
거듭제곱 | 값 | ISQ 기호 | ISQ 접두사 |
---|---|---|---|
1 | 10241 | Ki | 키비- |
2 | 10242 | Mi | 메비- |
3 | 10243 | Gi | 기비- |
4 | 10244 | Ti | 테비- |
5 | 10245 | Pi | 페비- |
6 | 10246 | Ei | 엑스비- |
7 | 10247 | Zi | 제비- |
8 | 10248 | Yi | 요비- |
6. 한국의 큰 수 인식과 교육
참조
[1]
웹사이트
Russian court levies huge $20 decillion fine against Google
https://www.upi.com/[...]
2024-10-31
[2]
뉴스
Russia says $20 decillion fine against Google is 'symbolic'
https://www.theguard[...]
2024-10-31
[3]
웹사이트
Conway's illion converter
https://kyodaisuu.gi[...]
[4]
웹사이트
Zimbabwe rolls out Z$100tr note
http://news.bbc.co.u[...]
BBC News
2009-01-16
[5]
서적
The Book of Number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6]
서적
Alex's Adventures in Numberland
https://books.google[...]
A&C Black
[7]
서적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8]
웹사이트
Collins English Dictionary
https://www.collinsd[...]
HarperCollins
[9]
웹사이트
Cambridge Dictionaries Online
http://dictionary.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서적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11]
웹사이트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www.oed.com
Oxford University Press
[12]
서적
The Random Hous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Random House
[13]
서적
The New Shorter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4]
서적
Webster's Thir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Unabridged
https://books.google[...]
Merriam-Webster
[15]
웹사이트
How Many? A Dictionary of Units of Measures
http://www.unc.edu/~[...]
Russ Rowlett and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16]
서적
The History of the English Language
https://books.google[...]
Macmillan and Co.
[17]
웹사이트
Entry for ''centillion'' in dictionary.com
http://dictionary.re[...]
dictionary.com
[18]
서적
Mathematics and the Imagination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19]
서적
Infinity: A Very Short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
웹사이트
IEC 80000-13:2008
https://www.iso.org/[...]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08-04-15
[21]
문서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www.oed.com/v[...]
2003-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