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볏말뚝망둥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큰볏말뚝망둥어는 흑갈색 빛을 띠는 9cm 정도의 긴 몸을 가진 물고기로, 등지느러미가 두 개이며 꼬리 부분으로 갈수록 옆으로 납작해진다. 뺨을 제외한 몸 전체가 비늘로 덮여 있고, 눈 사이 간격은 좁으며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수컷은 암컷보다 등지느러미가 길고 생식기가 뾰족하며, 암컷의 생식기는 삼각형이다. 대한민국 남해안과 서해안의 연안이나 강 하구 기수역의 개펄 바닥에 주로 분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망둑어과 - 사백어
사백어는 홋카이도 남부에서 규슈 남부, 한반도 남부 경상남도 주변 연안에 서식하는 몸이 희고 뼈가 연한 망둑어과 물고기로, 식용으로 이용되지만 수질 오염과 하천 개발로 인해 일본 환경성에서 취약종으로 지정되었다. - 망둑어과 - 망둑어아과
망둑어아과는 열대 및 아열대 해양에 주로 서식하는 1120종의 조기어류 분류군으로, 일부 종은 갑각류와 공생하거나 식용 또는 관상어로 이용되지만 서식지 파괴와 남획으로 멸종 위협을 받기도 한다. - 공생 - 균근
균근은 식물 뿌리와 균류 사이의 공생체로, 식물에게 물과 영양분을 공급하고 식물은 광합성 산물을 제공하며, 농업, 산림 복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 공생 - 망둑어과
망둑어과는 전 세계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며 좌우 배지느러미가 합쳐진 흡반과 독특한 번식 전략이 특징인 농어목의 저서어류로, 식용이나 관상어로 이용되기도 하며 일부 종은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한국의 고유종 동물 - 쉬리
쉬리는 한강, 낙동강 등 동해로 흘러드는 하천에 서식하는 한국 고유종 물고기로, 노란색 또는 주황색 줄무늬와 영화 제목으로 대중적 인지도를 얻었으며, 학명은 아름다운 외형을 뜻한다. - 한국의 고유종 동물 - 가시납지리
가시납지리는 특정 시기에 민물조개에 알을 낳아 번식하며, 번식기 수컷은 등지느러미가 커지고 검은 점이 생기는 특징을 갖고 암컷은 산란관을 갖는다.
큰볏말뚝망둥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정보 | |
이름 | 큰볏말뚝망둥어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기어강 |
목 | 농어목 |
과 | 망둑어과 |
종 | 큰볏말뚝망둥어 |
학명 | Periophthalmus magnuspinnatus |
학명 명명자 | LEE, CHOI and RYU |
![]() |
2. 외형
큰볏말뚝망어는 두 개의 등지느러미를 가졌으며, 몸길이는 9cm 정도이다. 몸은 흑갈색을 띠고 꼬리 쪽으로 갈수록 옆으로 납작해진다. 뺨을 제외한 몸 전체는 비늘로 덮여 있다. 눈 사이 간격은 매우 좁고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주둥이는 둥글고 이빨이 있으며, 혀도 둥근 모양이다. 수컷은 암컷보다 등지느러미가 길고 생식기가 뾰족하지만, 암컷의 생식기는 삼각형 모양이다.[1][2][3]
큰볏말뚝망둥어는 연안이나 강 하구 기수역의 개펄 바닥에서 산다. 대한민국 전라남도 순천시(승주군이 1995년 순천시와 통합)를 포함한 남해안과 서해안으로 유입되는 강 하구와 인접 연안 지역 등에 분포한다.[4][5][1][2][3]
[1]
웹인용
생물자원정보 - 담수어류, 큰볏말뚝망둥어 [Mud hopper]
https://terms.naver.[...]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ISTI
2016-05-04
3. 분포 지역
참조
[2]
웹인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큰볏말뚝망둥어
https://terms.naver.[...]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05-04
[3]
웹인용
국립중앙과학관 - 어류정보, 큰볏말뚝망둥어
https://terms.naver.[...]
국립중앙과학관
2016-05-04
[4]
뉴스
남서해안 ‘생명의 보고’ 탐진강 하구를 보라
http://www.hani.co.k[...]
한겨레
2015-11-04
[5]
뉴스
미호종개·참마자 … '토종'이 살아나고 있다, 어자원 파수꾼 충북도 내수면연구소
http://www.jbnews.co[...]
중부매일
2015-0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