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큰살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큰살파는 최대 333mm까지 자라는 살파의 일종으로, 집계형과 단독형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집계형은 유성생식을 하며 최대 250mm 크기에 5개의 근육 띠를 가지고, 단독형은 무성생식을 하며 최대 300mm까지 자라고 약 20개의 근육 띠를 가진다. 단독형은 몸에 짙은 줄무늬가 있고, 어두운 색과 다채로운 색의 덩어리 모양 소화 기관을 가지며 배아의 크기는 10~15mm이다. 주로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의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하며, 난류를 따라 북대서양에서도 발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02년 기재된 동물 - 농발거미
    농발거미는 몸길이 2.2~2.8cm에 다리 길이 7~10cm의 거미로, 바퀴벌레 등을 잡아먹는 익충이지만 섬뜩한 외모로 불쾌 해충으로 여겨지기도 하는 외래종이다.
  • 탈리아강 - 불우렁쉥이
    불우렁쉥이는 밝은 생물 발광 특성을 가진 해양 생물로, 군체를 이루며 빛을 감지하고 방출하며, 바다거북 등 다양한 생물들의 먹이가 된다.
  • 탈리아강 - 살파과
    투명한 젤라틴 형태의 척삭동물인 살파는 남극해 등 차가운 바다에 분포하며 식물성 플랑크톤을 섭취하고 탄소 순환에 기여하며 세대 교번을 통해 번성하는 해양 동물이다.
큰살파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정보
큰살파 (Thetys vagina)
큰살파 (Thetys vagina)
동물계
척삭동물문
아문피낭동물아문
탈리아강
살파목
살파과
큰살파속 (Thetys)
큰살파 (Thetys vagina)
학명Thetys vagina
Tilesius, 1802

2. 상세

큰살파는 최대 333mm까지 자라며, 집계형과 단독형 두 가지 형태로 나뉜다.[5] 집계형은 유성생식을 하며, 크기는 최대 250mm이고 5개의 근육 띠를 가진다. 난생인 단독형은 무성생식을 하며, 최대 300mm까지 자라고 약 20개의 근육 띠를 가진다.[6]

단독형은 몸의 상반부와 하반부에 짙은 색의 짧은 줄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어두운 색 및 다채로운 색의 덩어리 모양 소화 기관을 가지며 배아의 크기는 10~15mm로 밝혀졌다.[7]

2. 1. 형태

큰살파는 최대 333mm까지 자라며, 집계형과 단독형 두 가지 형태로 나뉜다.[5] 집계형은 유성생식을 하며, 크기는 최대 250mm이고 5개의 근육 띠를 가진다. 단독형은 무성생식을 하며, 최대 300mm까지 자라고 약 20개의 근육 띠를 가진다.[6]

단독형은 몸의 상반부와 하반부에 짙은 색의 짧은 줄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어두운 색 및 다채로운 색의 덩어리 모양 소화 기관을 가지며 배아의 크기는 10~15mm로 밝혀졌다.[7]

2. 2. 소화 기관 및 배아

큰살파는 어두운 색 및 다채로운 색의 덩어리 모양 소화 기관을 가진다.[7] 배아의 크기는 10~15mm로 밝혀졌다.[7]

3. 분포

큰살파는 주로 원양 해양 환경에서 발견되며,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의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널리 분포한다.[7][6] 난류를 따라 북대서양의 온도가 낮은 해역에서도 종종 발견된다.[7][6] 널리 퍼져 있으나, 멀리 떨어져 살고 있어 잡히는 경우는 거의 없다.

3. 1. 전 세계적 분포

큰살파는 주로 원양 해양 환경에서 발견되며,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의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널리 분포한다.[7][6] 난류를 따라 북대서양의 온도가 낮은 해역에서도 종종 발견된다.[7][6] 널리 퍼져 있으나, 멀리 떨어져 살고 있어 잡히는 경우는 거의 없다.

3. 2. 한국 연안 분포 가능성

큰살파는 주로 원양 해양 환경에서 발견되며,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의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한다.[6][7] 난류를 따라 북대서양의 온도가 낮은 해역에서도 종종 발견된다.[7][6] 널리 퍼져 있지만, 멀리 떨어져 서식하기 때문에 잡히는 경우는 드물다.[6][7]

참조

[1] 서적 Zweiunddreißigster Abschnitt Von der Ostküste Südamerikas nach Südafrika oder dem Indischen Ozean DE GRUYTER 2015-11-13
[2] 논문
[3] 논문 D. Wrobel, C. Mills Pacific coast pelagic invertebrates. A guide to the common gelatinous animals. 108 p. Sea Challengers and Monterey Bay Aquarium, 1998. Price 1998-11
[4] 논문 Phyllosomata associated with large gelatinous zooplankton: hitching rides and stealing bites 2014
[5] 논문 A Rare Record of the Salp, Thetys Vagina (Tunicata: Thaliacea) From Western Scottish Waters 1996-08
[6] 논문 Horizontal distribution of ''Thetys vagina'' Tilesius (Tunicata, Thaliacea) in the Japan Sea during spring 2004 2006
[7] 논문 Occurrence of Thetys vagina Tilesius (Tunicata, Thaliacea) on the coast of Maine https://www.ingentac[...] 201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