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클로디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로디오는 프랑크족의 왕으로, 이름은 게르만어 어원에서 유래되었다. 그는 445년 또는 448년경 로마 군대와 전투를 벌였으며, 투르의 그레고리우스의 기록에 따르면 캄브레를 점령하고 솜 강까지 영토를 확장했다. 클로디오는 메로빙거 왕조의 조상인 메로베흐와 관련이 있다는 설이 있으며, 클로비스 1세와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기록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로마의 군인 - 마그누스 막시무스
    4세기 후반 서로마 제국의 황제였던 마그누스 막시무스는 브리타니아 주둔 로마군에 의해 추대되어 갈리아를 정복하고 서로마 황제로 인정받았으나, 이탈리아 지배를 시도하다 테오도시우스 1세에게 패배하여 처형되었으며, 이단 박해와 브리튼 및 브르타뉴 지역 역사, 웨일스 전설과 관련된 영웅적 인물로도 알려져 있다.
  • 고대 로마의 군인 - 오도아케르
    오도아케르는 476년 서로마 제국의 마지막 황제를 폐위하고 이탈리아를 통치했으며, 게르만족, 훈족, 튀르크족과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있고, 로마 전통을 존중하며 통치했지만 테오도리크 대왕에게 패배하여 살해당했다.
  • 5세기 유럽의 군주 - 시아그리우스
    시아그리우스는 서로마 제국 말기 갈리아 지역의 지배자로 아버지 아에기디우스의 뒤를 이어 수아송 왕국을 건설했으나 프랑크 왕 클로비스 1세에게 패배하여 암살당했다.
  • 5세기 유럽의 군주 - 게이세리쿠스
    게이세리쿠스는 5세기 중반 반달 왕국의 왕으로서, 서로마 제국의 쇠퇴기에 북아프리카를 정복하고 지중해를 장악했으며, 로마 약탈과 동·서 로마 연합 함대 격파 등의 업적을 통해 서로마 제국의 몰락에 영향을 미치고 "반달리즘"의 어원이 된 인물이다.
  • 프랑크인의 왕 - 위그 카페
    위그 카페는 987년부터 996년까지 프랑크 왕국의 왕으로 재위하며 카페 왕조의 시조가 되었고, 왕위 계승을 위해 아들 로베르 2세를 공동 왕으로 임명하여 카페 왕조 세습의 기반을 다졌다.
  • 프랑크인의 왕 - 루도비쿠스 2세 이우니오르
    루도비쿠스 2세 이우니오르는 로타르 1세의 아들로 이탈리아를 수호하려 노력했으나 동생과의 갈등, 포로로 잡히는 등의 어려움을 겪고 사망했으며, 그의 사후 서프랑크의 카를 2세가 황제관을 차지했다.
클로디오 - [인물]에 관한 문서
클로디오
클로디오의 상상 초상화 (약 1720년)
칭호프랑크인의 왕
재위20년
본명클로디오
계승자이름: 메로베우스 (불확실하지만, 아마도 친척)
자녀메로베우스 1세 (불확실하지만, 아마도 친척)
아버지파라몽 또는 테오데메르
사망일450년 이후
이름
라틴어Clodio

2. 이름

''클로디오''는 프랑크어 이름, 예를 들어 ''*Hlodowig'' (클로비스, 루이, 루드비히와 같은 이름) 또는 ''*Hlodhari'' (클로타르, 현대의 로타르)의 약칭으로, 게르만어 어원 *''hlod''- ('유명한')에서 파생되었다.

3. 가계

후기 중세 연대기에서는 클로디오의 가계에 대해 여러 가지 다른 계보가 제시되었는데, 초기 로마 역사 기록에서 알려진 프랑크족의 이름을 언급하고 있다. 오늘날 이러한 계보는 신뢰할 수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3. 1. 파라몬드를 아버지로 보는 기록

동시대가 아닌 《프랑크 왕국 연대기》는 클로디오의 아버지를 파라몬드라고 말하는데, 파라몬드는 중세 기록에서만 알려진 프랑크 왕이다. 파라몬드는 다시 로마와 싸운 것으로 알려진 마로메르라는 실제 프랑크 왕의 아들이라고 전해진다.[1]

3. 2. 테우데메레스를 아버지로 보는 기록

《프레데가르 연대기(Chronicle of Fredegar)》는 클로디오를 테우데메레스의 아들로 묘사하는데, 그레고리우스 투로넨시스는 테우데메레스가 어머니와 함께 로마인에 의해 처형되었다고 보고했다.

4. 기록

클로디오에 대한 기록은 주로 투르의 그레고리의 저술에 나타나며, 후대의 문헌들에서도 일부 언급된다.

투르의 그레고리는 클로디오가 "도리스기움" 요새를 거점으로 활동했으며, 이 요새는 라인 강 서쪽, 루아르 강 북쪽의 로마화된 갈리아 지역 북쪽에 위치했다고 기록했다(II, 9). 도리스기움의 정확한 위치는 뒤스부르크, 뒤스부르크, 디에스트 등 여러 가지로 해석된다. 이러한 위치 비정은 클로디오가 프랑크족의 영역과 로마화된 북부 갈리아의 최북단 지역을 장악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투르의 그레고리 이후에 쓰여진 ''프랑크족 역사서''와 ''프레데가르 연대기''는 클로디오가 ''실바 카르보나리아''를 통해 서쪽으로 진격하여 투르네를 점령하고, 남쪽으로 캄브레까지 이동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4. 1. 투르의 그레고리우스의 기록

투르의 그레고리는 "클로지오"(그레고리가 라틴어로 표기한 방식)가 "도리스기움" 요새에서 공격을 가했는데, 이곳은 "도린기안" 영토 내 또는 경계에 위치했으며, 라인강 서쪽, 루아르강 북쪽의 로마화된 갈리아 인구 북쪽에 있었다고 기록했다(II, 9). 그레고리가 쓴 내용을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8][9]

: 프랑크족은 원래 판노니아에서 왔으며, 처음에는 라인강 유역에 정착했다고 알려져 있다. 그들은 강을 건너 튀링기아를 통과하여 각 지역구와 각 도시(civitas)에 그들의 종족 중 가장 뛰어나고 고귀한 가문에서 선택된 장발의 왕들을 세웠다. [...] 또한 그들은 클로디오가 그의 백성들 사이에서 출신이 좋고 능력이 뛰어난 인물로 프랑크족의 왕이었고, 튀링기아 영토의 도리스베르크 성에 살았다고 말한다. 그 지역, 즉 남쪽으로 로마인들은 루아르 강까지 영토를 점령했다. [...] 클로디오는 캄브레시에 스파이를 보냈다. 그들이 알아야 할 모든 것을 알아낸 후, 그가 직접 따라가 로마인들을 격파하고 도시를 점령했다. 그는 그곳에서 잠시 머물다가 솜 강까지 영토를 점령했다. 어떤 이들은 메로베크가 클로디오의 아들이라고 말한다.

이러한 위치 묘사는 중세 시대와 현대의 "튀링기아"와는 맞지 않는데, 튀링기아는 라인강 동쪽 내륙 깊숙이 자리 잡고 있으며, 프랑크족 지역과 멀리 떨어져 있다.

따라서 도리스기움은 라인강 자체의 뒤스부르크, 브뤼셀 근처의 뒤스부르크, 또는 벨기에의 디에스트 등으로 해석되어 왔다. 뒤의 두 가지 제안은 지리적으로 잘 맞는데, 실바 카르보나리아와 가까이 있으며, 율리아누스 황제 시대에 살리족이 정착했던 톡산드리아와 가깝기 때문이다. 이는 "''Thoringorum''"(속격)이 "''Civitas Tungrorum''"을 지칭하는 것임을 시사한다. 이는 프랑크족이 라인강 유역에 먼저 정착한 후 라인강의 왼쪽으로 "''Thoringia''"로 이동했다는 그레고리의 이전 언급과 일치한다.

이 설명에 따르면, 클로디오는 아직 로마화된 북부 갈리아의 최북단 지역과 이미 프랑크족이었던 것으로 보이는 지역을 장악하고 있었다.

투르의 그레고리 이후에 쓰여진 ''프랑크족 역사서''와 ''프레데가르 연대기''는 신뢰할 수 없는 세부 사항을 추가했지만, 다른 출처에서 파생된 사실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프랑크족 역사서''는 클로디오가 먼저 브뤼셀에서 삼브르까지 뻗어 있는 ''실바 카르보나리아''를 통해 서쪽으로 진격한 다음, 투르네를 점령하고 남쪽으로 캄브레로 이동했다고 명시한다. Lanting & van der Plicht (2010)에 따르면, 투르나쿰과 카메라쿰에 대한 프랑크족의 정복은 445-450년 사이에 일어났을 것이다. Syvänne (2020)는 프랑크 전쟁이 441년에서 446년 사이에 일어났다고 결론 내린다.

445년[8] 또는 448년[9], 클로디오의 프랑크족 결혼 행렬은 비쿠스 헬레나라는 마을에서 플라비우스 아에티우스, 갈리아의 로마 군대 사령관에게 공격받아 패배했다. 이는 마요리아누스가 참석했기 때문에 알려졌으며, 이 사건은 시도니우스 아폴리나리스가 쓴 찬사에서 기념되었다. 이 구절은 "클로이오"가 아르투아 (솜 강 북쪽, 투르네와 캄브레 사이)의 땅을 유린했다고 묘사한다.

4. 2. 기타 기록

투르의 그레고리에 따르면, 클로디오는 "도리스기움" 요새에서 공격을 가했는데, 이곳은 "도린기안" 영토 내 또는 경계에 위치해 있었으며, 라인강 서쪽, 루아르강 북쪽의 로마화된 갈리아 인구 북쪽에 있었다.[8] 도리스기움은 라인강 자체의 뒤스부르크, 브뤼셀 근처의 뒤스부르크, 또는 벨기에의 디에스트 등으로 해석되어 왔다. 이러한 위치 비정은 클로디오가 이미 프랑크족의 영역으로 보이는 지역과 로마화된 북부 갈리아의 최북단 지역을 장악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투르의 그레고리 이후의 ''프랑크족 역사서''와 ''프레데가르 연대기''에서는 클로디오가 먼저 로마인이 거주하는 ''실바 카르보나리아''를 통해 서쪽으로 진격하여 투르네를 점령하고, 남쪽으로 캄브레까지 이동했다고 기록하고 있다.[8] 투르나쿰과 카메라쿰에 대한 프랑크족의 정복은 445년에서 450년 사이에 일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8]

445년경 또는 448년, 클로디오의 프랑크족 결혼 행렬은 비쿠스 헬레나에서 플라비우스 아에티우스가 이끄는 로마 군대에게 공격받아 패배했다.[8] [9] 이 사건은 마요리아누스가 참석하여 시도니우스 아폴리나리스가 쓴 찬사에 기념되었다.[8]

5. 메로빙거 왕조와의 관계

투르의 그레고리는 '메로빙거 왕조'의 조상인 메로베흐가 클로디오의 후손이라고 "어떤 사람들이 말했다"고 언급한다.

프리스쿠스는 아틸라가 프랑크족에 전쟁을 일으킨 구실이 그들의 왕의 죽음과 그의 자녀들이 왕위 계승에 대해 이견을 보인 것이라고 기록했는데, 맏이는 아틸라와 동맹을 맺고 막내는 아에티우스와 동맹을 맺었다. 이 프랑크 왕위 계승 분쟁이 클로디오와 메로베흐를 포함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왕족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추측이 있다.[11] 반면에, 이 이야기 속 프랑크족은 아에티우스와 다양한 교류를 가졌던 라인란트 프랑크족일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12]

5. 1. 클로비스 1세와의 관계

투르의 그레고리는 '메로빙거 왕조'의 조상인 메로베흐가 클로디오의 후손이라고 "어떤 사람들이 말했다"고 언급한다. 메로베흐의 아들로 추정되는 킬데리크 1세는 로마화된 북부 갈리아와 관련된 기록에서만 알려져 있다. 킬데리크의 아들 클로비스 1세가 그 지역에서 권력을 잡은 후에야 그는 전통적인 프랑크족 지역에서 여전히 통치하고 있던 프랑크 왕국으로 향했다. 그레고리의 이해에 따르면, 라인강 서쪽에 살던 원래의 프랑크족은 각 로마 구역(''파구스'' 또는 ''키비타스'')에 서로 다른 왕을 두고 있었지만, 그들은 모두 클로디오를 포함했던 특정 귀족 가문의 일원이었다.

그러나 ''캄브레의 주교들의 업적''에 따르면, 클로비스와 그의 고귀한 혈통의 경쟁자였던 캄브레의 왕 라그나차르 (클로디오가 프랑크족의 지배 하에 둔 도시)는 부계가 아닌 클로비스의 어머니 바시나, 즉 그의 아버지가 갈리아에서 추방되었을 때 만난 "튀링겐" 공주를 통해 관련되어 있었다. 그레고리는 클로비스가 라그나차르에게 "당신을 묶어 두는 것으로 우리 가문을 왜 모욕했는가? 죽는 편이 더 나았을 것이다."라고 말한 후 도끼로 그를 죽이고, 라그나차르의 동생 리차르에게 "네가 네 형을 도왔다면, 그는 묶이지 않았을 것이다"라고 말한 후 같은 방식으로 리차르를 죽였다고 전한다.

당대의 로마 역사가인 프리스쿠스는 로마에서 "뺨에 아직 솜털이 없고 머리카락이 어깨까지 흘러내리는" "소년"을 목격했는데, 아에티우스가 그를 양자로 삼았다고 기록했다. 프리스쿠스는 아틸라가 프랑크족에 전쟁을 일으킨 구실이 그들의 왕의 죽음과 그의 자녀들이 왕위 계승에 대해 이견을 보인 것이라고 기록했는데, 맏이는 아틸라와 동맹을 맺고 막내는 아에티우스와 동맹을 맺었다. 이 프랑크 왕위 계승 분쟁이 클로디오와 메로베흐를 포함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왕족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추측이 있다.[11] 반면에, 이 이야기 속 프랑크족은 아에티우스와 다양한 교류를 가졌던 라인란트 프랑크족일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12]

5. 2. 프리스쿠스의 기록

당대의 로마 역사가 프리스쿠스는 "뺨에 아직 솜털이 없고 머리카락이 어깨까지 흘러내리는" "소년"을 로마에서 목격했는데, 아에티우스가 그를 양자로 삼았다고 기록했다.[11] 프리스쿠스는 아틸라가 프랑크족에 전쟁을 일으킨 구실이 그들의 왕의 죽음과 그의 자녀들이 왕위 계승에 대해 이견을 보인 것이라고 기록했는데, 맏이는 아틸라와 동맹을 맺고 막내는 아에티우스와 동맹을 맺었다.[11] 이 프랑크 왕위 계승 분쟁이 클로디오와 메로베흐를 포함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왕족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추측이 있다.[11] 반면에, 이 이야기 속 프랑크족은 아에티우스와 다양한 교류를 가졌던 라인란트 프랑크족일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12]

참조

[1] 문서 Liber Historiae Francorum
[2] 서적 Die Franken
[3] 웹사이트 Chlodio https://www.degruyte[...] 1981
[4] 서적 The History of the Franks https://www.dmgh.de/[...] Penguin
[5] 서적 Die Franken
[6] 간행물 Kritische Jahrbücher für deutsche Rechtswissenschaft
[7] 서적 Palaeohistoria 51/52 (2009/2010) Groningen Institute of Archaeology 2010
[8] 서적 Military History of Late Rome 425–457 Pen & Sword Military 2020
[9] 서적 The Merovingian Kingdoms 450 - 751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6-23
[10] 문서 Sidonius https://archive.org/[...]
[11] 서적 Catalaunian Fields AD 451: Rome's Last Great Battle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5-09-20
[12] 서적 Die Franke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